_hbcom_41.jpg
남문기 / 미국뉴스타 대표이사 
 
내가 쓴 ‘잘하겠습니다’를 우연히 읽다가 생각이 나서 옮겨본다. “엄마, 3,000원만 주세요.” 1974년 1월 7일, 나는 동네 슈퍼마켓에라도 다녀오는 사람처럼 어머니가 건네준 3,000원을 들고 집을 나섰다. ‘아무나 해병이 될 수 있다면 해병이 되지 않았을 것’이라는 그 해병대가 되기 위해서였다.

나는 지금도 무슨 일이든 생각을 하면 행동에 바로 옮긴다. 아무리 ‘복잡다단한 문제’도 본질만 파악하면 시간을 허비할 필요가 없다고 믿는다. 어려움은 어려움대로, 즐거움은 즐거움대로 받아들이고 ‘행동’으로 밀어붙이면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이 내 믿음이다.

나는 해병 266기, 해군·해병 통합 1기로 입대해서 입대 1주일 만인 1월 14일에 해병대가 됨을 선서했다. 전반기 8주 동안은 진해와 상남(현재 창원)에서 해병대 훈련을 받고 포항으로 배치돼 다시 4주간의 후반기 훈련을 받게 되었다. 결국은 석달을 받는 것이다. 그런데, 포항에서 훈련을 받던 중 목에 큰 부상을 입고 말았다. 그리하여 난생 처음으로 병원이란 곳에 입원을 했다. 포항 국군통합병원이 내 첫 번째 병원이었는데 거기서 3주간의 입원치료를 받았다.
당시의 군대가 대개 그랬지만 포항 국군통합병원은 정말이지 병원이라 할 수도 없었다. 병원 내에서 환자끼리 이른바 ‘빠따’를 치는 일이 비일비재했고 툭하면 누가 더 주먹이 센지를 가리는 결투가 벌어졌다. 훈련병이나 졸병들은 엄청난 ‘빠따’를 맞아야 했다. 나 역시 참으로 많이 혼이 났다. 훈련병으로 입원한 환자는 환자도 아니란 것이 이유였다.

요즘은 많이 개선되었을 텐데 그 시절의 군대는 항상 춥고 배고픈 곳이었다.

특히 동해 바다에서 불어 오는 바람으로 인한 추위는 정말이지 살을 에는 듯했다. 손등과 발등이 쩍쩍 갈라지는 것은 예사였다. 포항으로 배치된 우리 동기 400여 명 가운데 200명 이상이 동상 환자였으니 더 말해 무엇 하겠는가? 그런 해병대 생활을 우리는 빡빡 기면서 했다고 표현한다. 지금은 고인이 되셨지만 그 당시 해병대 이동용 사령관이 내 큰형님과 서울대 행정대학원 동기여서 한 마디만 하면 다른 곳으로 전출을 가거나 포항에서도 더 좋은 보직을 얻을 수 있었으나, 나는 보병 생활을 감수했다. 옮겨 다니는 것 자체를 싫어하는 스타일이기도 하거니와 형님에게 부탁하는 성격도 아니었고 괜히 걱정을 끼치는 것이 싫어서였다. 무엇보다 스스로 고생을 원해서 지원 입대한 내가 편안함을 찾는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었다.

내가 해병이 된 이유는 두 가지였다. 첫째가 뭐든 한 번 밀어 붙이기로 하면 불같이 덤비는 성격이 해병대에 딱 어울린다는 판단 때문이었다. 또 다른 한 가지는 한 번 가는 군대이므로 이왕이면 훈련이 세다는 곳에 가서 고생을 진탕해 보자는 모험 심리 때문이었다. 설마 죽이기야 하겠냐는 것이 해병대 지원자들의 솔직한 심정이었다. 지금도 ‘설마 죽기야 하겠냐’라는 생각으로 죽기 살기로 매달릴 때가 있는데, 의외로 성공률이 아주 높다. 그렇게 해서 지금까지 목표를 이루지 못한 적이 없었다.

사실 그 시절의 해병대는 머리에 먹물깨나 들었다는 사람들은 ‘개병대’라며 기피하는 곳이었다. 소대는 물론 중대 단위에서도 대학교 물을 먹은 사람이 귀한 때였으니 해병대가 얼마나 터프하고 힘이 드는 곳이었는지 알 만하다. 그러나 나의 선택에 대해 단 한 번도 후회해 본 적이 없다. 아니 오히려 나이가 들어갈수록 자랑스러운 마음이 커져간다. “연장이 없어도 뭐든 할 수 있다!”, “아파도 금방 일어날 수 있다! 아니, 절대 아플 수가 없다”, “성공은 시간 문제다”, “누구나 다 할 수 있는 일, 나만 못할 이유가 없다”, “안된다고 생각을 해 본적이 없다”. 이것들이 해병대가 나에게 가르쳐 준 것들이다. 해병대는 ‘무에서 유를 창조할 수 있다’는 것을 가르쳐줬다. ‘CAN DO SPIRIT’, ‘안 되면 될 때까지, 못하면 할 때까지’라는 것이 그 유명한 해병대 정신이다. 해병대에 처음 입대할 때 배웠던 이 말을 나는 지금도 시간이 나면 중얼거려본다. “난 할 수 있다!” 이 말만큼 자신감을 북돋워주는 건 없기 때문이다.

해병대가 좋은 점은 또 있다. 그것은 해병 특유의 의리다. 해병대가 왜 유난히 잘 뭉치는 군대인가 하는 것은 학문적으로나 철학적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문제다. 하지만 그것은 인생을 살아가는 데 큰 힘이 된다.

맨주먹으로 제세실업이란 회사를 창업하여 한때 한국 실업계를 풍미했던 해병대 선배 이장우 씨가 본인이 쓴 책에서 ‘인간도처 유해병’(人間到處 有海兵)이란 재미있는 말을 했다. 사실 인간 세상 도처에 육군도 있고 공군도 있고 해군도 있다. 그런데 인간 도처 ‘유육군’이나 ‘유공군’, ‘유해군’이라는 말은 별로 안 쓰는데 ‘유해병’이란 말은 많이 쓰고 있다. 그것은 해병대의 단결력이 그만큼 뛰어나기 때문이다.

한국 해병대만 그런 것이 아니다. 미국 해병대나 영국 해병대도 마찬가지다. 미국에서도 자신이 타고 다니는 자동차에 해병대 마크를 부착하고 다니거나 가지고 있는 수첩에 전화기에 노트에 심지어 집에 해병대 기를 꽂아 놓고 사는 사람은 해병대 출신밖에 없다. 그만큼 자신이 나온 군대를 자랑스럽게 생각한다.

(213)999-4989
ceo@newstarrealty.com
남문기 / 뉴스타 부동산 대표

TAG •

  1. 효과기반작전의 한국해병대 적용방안

    - 다국적군(MNF/C-1)파견장교 복무경험을 기초로 - <자료출처 : 2006년 해병대지 27호>
    Date2011.02.13 Views2828
    Read More
  2. 군사전략달성을 위한 해병대의 역할

    자료출처 : 2006년 해병대지 27호
    Date2011.02.13 Views3144
    Read More
  3. No Image

    합동군사령부와 서북해역사령부 창설을 위한 원칙과 기본

    <이선호 ;한국시사문제연구소장> 합참과 합동군사령부의 분리개편 현재 국군조직법상 합참의장은 두 가지 직능을 수행한다. 하나는 국방장관의 군령참모기능이고, 다른 하나는 육해공군의 10개전투부대에 대한 작전지...
    Date2011.02.13 Views3570
    Read More
  4. No Image

    해병의 기도 - 이희복

    해병의 기도 - 해병대 제9118부대 중령 이희복 빗소리마저도 외롭고 적막하고 싸늘한 가슴을 더욱 절박하게 하는 칠흙 같은 적지의 밤 소리없는 해병의 투혼 이따금 항고와 무장 부딪히는 소리... 아무것도 볼 수 없...
    Date2011.02.13 Views4967
    Read More
  5. No Image

    말하는 빨간명찰 - 이전구

    말하는 빨간명찰 - 해병대 제1576부대 병장 이전구 옛날엔 술마시고도 돈 안냈다고 옛날엔 싸움해도 지지 않았다고 휴가 나가 술집서 만난 예비역 선임들의 전설같은 무용담들 한참 술 마시다 취하기 전 일어서려는데...
    Date2011.02.13 Views4876
    Read More
  6. 해병혼 - 김동근

    해병혼 - 해병대 청룡부대 1연대 1대대 상병 김동근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 없기를 갈망한 그 싱그럽고 풋풋한 어린 영혼의 기도 전우의 피로 고독을 씹고 전우의 눈물로 슬픔에 사뭇치고 전우의 사...
    Date2011.02.13 Views4987
    Read More
  7. No Image

    청룡을 맞이하자 - 권오설

    청룡을 맞이하자 - 소령 권오설 '싸우고 이겨서 살아서 돌아오라'던 그 깃발로 이기고 돌아오는 청룡을 맞이하자 기쁨에 넘쳐서 감격에 넘쳐서 구리빛 얼굴들을 부벼 안고 못다한 정성 눈물로 다하자 땀흘리며 피뿌리...
    Date2011.02.13 Views3864
    Read More
  8. 가난한 철모 - 김문기

    가난한 철모 - 청룡부대 포병대대 5중대 중위 김문기 이 총이 향하는 일점은 내 속에 숨겨진 불필요한 실체이다 아니 내가 걸어 온 저쪽에서 어느 소녀가 안겨 준 아쉬움 같은 집착이다. 작열하는 태양아래 정글을 누...
    Date2011.02.13 Views3372
    Read More
  9. No Image

    청룡의 넔을 위해 - 신충현

    청룡의 넔을 위해 - 청룡부대 중포중대 중사 신충현 침략자의 망상이 뺏어간 젊음이 이름모를 정글에 말없이 숨져 갔다. 아직도 꽃망울같이 덜핀 젊은이들이 세계 평화 위해 귀한 젊음을 바쳤다. 아-자유의 사도 젊은...
    Date2011.02.13 Views4672
    Read More
  10. No Image

    조국 - 장기복

    조국 - 청룡부대 공병소대 상병 장기복 그리운 나의 조국이 빗발치듯 쏟아지는 탄막 사이의 네가 한없이 아름답구나 자유와 평화에서 비치는 붉은 핏줄기 티없는 너의 모습에 수를 놓는다 자유 평화라고..... 굵지기 ...
    Date2011.02.13 Views3398
    Read More
  11. 무제 - 박관일

    무제 - 청룡부대 제3대대 10중대 1소대 하사 박관일 6시 20분의 영혼이여! 저녁의 하늘에 몰래 간직한 비운의 넋들아! 구비친 고동도 6시 20분의 영혼이여! 솟아오는 붉은 청룡의 피 높고 멀리 월남의 하늘아래 불러...
    Date2011.02.13 Views3574
    Read More
  12. 남십자성 - 강영남

    남십자성 - 청룡부대 제3대대 10중대본부 병장 강영남 포성도 잠에 취한 남국의 새벽 하늘에 가버린 그 사랑 못본척 웃자 그녀와 웃고 새던 그날 새벽에 영원해라 살포시 웃어주던 별 헤어져 외로우랴 찾아주누나 푸...
    Date2011.02.13 Views3921
    Read More
  13. No Image

    어느새 외국인이 되어 있었네 - 이창현

    청룡부대 제2대대 7중대 병장 이창현 가슴은 아직 울고 있는데 열풍 선회하는 이 남지나 해상 거짓말처럼 나는 어느새 외국인이 되어 있었네 오늘이 내 모국 떠난 생일날 혼자 '비어홀'에 가서 야자수 잎 아래 걸으며...
    Date2011.02.13 Views3247
    Read More
  14. 염원

    염원 - 청룡부대 본부 하사 이석조 미칠듯 조용하기만한 시간이 마술사의 신비와도 같이 벅차게 가슴에 달아오고 있다. 들리지 않는 베트콩의 거친 숨결이...... 따스한 대지에서 삭막한 시베리아로 사라져 갈 염원이...
    Date2011.02.13 Views3117
    Read More
  15. 전우의 영전에 드림

    전우의 영전에 드림 - 해병중사 이석조 잔뼈 굵어 파도 헤쳐 밟은 곳 쉬지 않을 뜨거운 피가 있기에 나는 말했도다 키워 주신 조국에 나 너를 위해 무엇을 드릴까요 라고 그대의 지워지지 않을 영원을 자유 위해 평화...
    Date2011.02.13 Views264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 37 Next
/ 37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