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세영 건양대학교 국방공무원학과 교수

 

지난달 4일 우리들은 강화도에서 들려온 정말 가슴 아픈 사건을 접하게 된다. 2005년 6월에 전방부대에서 발생했던 끔찍했던 총2011080322964133.jpg

격사건을 잊은 지 꽤 오래되었는데 그만 금번 사건으로 또다시 그때의 참혹한 모습이 떠올라 마음이 무척 아팠다. 사망자 수가 8명과 4명으로 다를 뿐 사건발생의 원인은 군 생활에 대한 스트레스와 선후임 간의 갈등에서 비롯된 유사한 사건이었다. 그런데 금번 사건이 더욱 큰 충격을 주는 것은 우리 군에 있어 가장 강한 이미지를 주고 있어 국민들로부터 무한한 신뢰와 믿음을 보여주고 있는 해병대에서 발생한 사건이기 때문이다.

사실 해병대는 가고 싶다고 해서 아무나 갈 수 있는 곳이 아니다. 우선 지원 입대이기에 매달 2차례씩 뽑는 까다로운 절차를 통과해야 한다. 그런데 예나 지금이나 그 경쟁이 4 대 1에서 10 대 1 정도 된다고 한다. 그 힘든 훈련과 군대생활을 알면서도 말이다. 그 지원 동기를 분석해 보면 50% 정도가 사나이로 다시 태어나고 싶어서라고 하며 기타로 해병대전우회의 활약상, 아버지처럼 되고 싶어서, 팔각모와 군기 잡힌 모습, 친구 따라서 등의 이유로 입대하고 있다고 한다. 해병대 훈련은 사회의 때를 완전히 버리고 새로 태어나기 위한 과정이라고 강조한다.
해병은 훈련을 통해 만들어진다. 자신의 통제능력의 한계까지 시험하는 정신훈련과 산악, 공수, 격투봉 교육, 천자봉 행군 등 힘든 과정이 계속된다. 또한 동기애 교육을 중시하여 포기하려는 자가 있어도 모두 모여 ‘동기야 같이 가자’는 외침으로 설득하도록 하는 과정을 통해 동지로서 생과 사를 같이한다는 군인의식을 심는다. 여기에 혐오·수치심을 극복하게 하는 시궁창 훈련, 체력과 정신력의 한계를 극복하게 하는 저수온 견디기, 보트 수상이동, 보트 이고 육상이동 등을 한숨도 자지 않은 채 소화해내야 한다. 정말 혹독하고도 강도 높은 훈련이 아닐 수 없다. 그래서 우리들은 빨간 명찰을 달고 있는 해병대를 볼 때면 왠지 자랑스럽고 믿음직스럽게 여긴다.

그런데 이렇게 자랑스러운 해병대가 최근 사건으로 인해 안팎에서 많은 질책을 받고 있다. 급기야는 지난달 18일 경기도 김포 해병대 2사단에서 국방장관과 다수의 장병들이 모인 가운데 열린 병영문화 혁신 대토론회장에서 또다시 구타와 가혹행위로 인한 불미스러운 일이 발생할 경우에는 해병대 장병들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는 빨간 명찰을 뗄 수도 있고 사고와 관련된 중대급 이하부대는 부대 자체를 해체할 수도 있다고 하는 강력한 대책을 내놓았다. 정말 뼈를 깎는 강력한 조치가 아닐 수 없다.

빨간 명찰은 해병대의 상징이다. 해병대를 지원한 장병들이 그 숱한 어려운 훈련과정을 이를 악물고 견디는 것도 훈련을 마치면 빨간 명찰을 가슴에 달 수 있다는 기대감 때문이다. 그러기에 모든 훈련을 마치고 빨간 명찰을 가슴에 다는 순간 대부분의 해병대 장병들은 뜨거운 눈물을 흘리곤 한다. 그러한 명찰을 스스로 뗄 수도 있다는 강경책을 내놓을 수밖에 없는 해병대의 입장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정말 안타깝고 가슴 아픈 일이 아닐 수 없다. 다시는 이러한 사고가 절대로 발생하지 말아야 하겠다.

금번 사건으로 인해 사건의 당사자들뿐만 아니라 해병대 전체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미 전역한 선배들뿐만 아니라 이를 지켜보고 있는 많은 국민들 역시 내 일처럼 안타까워하고 있다. 해병대는 하루빨리 아픔과 충격에서 벗어나 더욱 새로운 모습으로 거듭나 과거보다도 더욱 큰 국민들의 사랑을 받아야 한다. 국민들도 이제는 계속하여 질책만 할 것이 아니라 예나 지금이나 변함없이 대한민국의 든든한 버팀목으로 우리 군의 상징이며 강한 군의 표상인 해병대를 좀 더 따스하게 사랑해야 할 때이다. 국군장병은 국민들의 사랑과 신뢰 속에서 힘을 얻고 당당하게 어깨를 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해병대도 절대 사기가 저하되어서는 안 된다. 국민들의 질책이 많다는 것은 그만큼 관심이 많다는 것이기 때문이다. 진정한 용기는 잘못을 시인하면서도 잘못됨을 거울삼아 진정성을 가지고 새롭게 변화하려는 모습을 보이는 것이라고 한다. 아무런 죄가 없는 아까운 전우의 생명을 잃은 사건만큼 아픈 것은 없겠지만 그들의 죽음을 헛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라도 다시 일어서야 한다. 그래서 해병대 전 장병이 하나 되어 겉으로만이 아니라 겉과 안 모두에서 진정으로 강한 해병대가 되기 위해 힘차게 노력해 나가야 한다.

이제 국민 모두는 질책을 뛰어넘어 이제부터는 해병대가 이번 사건을 계기로 더욱 멋진 모습으로 변화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변함없는 사랑으로 품어주어야 한다.  <대전일보>


  1. 해병대 부모·가족 커뮤니티…득일까, 실일까

    &quot;비록 마음만이지만 아들과 함께 행군하고 함께 훈련받고 함께 잠듭니다. 이만하면 저도 해병대 가족이죠?&quot; 입소 후 21개월, 위문편지나 잠깐의 면회로만 듣던 아들 혹은 친구의 소식이 매일 들려온다면 어떨까. 몇 ...
    Date2014.02.06 Views10424
    Read More
  2. 자랑스러운 해병대의 창조적 복무를 위해/윤영미 평택대 외교안보전공 교수

    토인비는 “인류에게 가장 큰 비극은 역사에서 아무런 교훈을 얻지 못하는 데 있다”고 했다. 즉 역사에서 교훈을 찾고 비극적인 결과가 반복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꾸준히 노력해야 함을 시사해 준다. 예를 들면 북한...
    Date2014.01.21 Views3982
    Read More
  3. 해병대사령부 송예진 일병이 백희진 양에게

    해병대사령부 송예진 일병이 백희진 양에게 사랑하는 백희진씨 안뇽? 난 사랑스런 당신의 남편입니다! 자기야 우리가 서로를 사랑한지 300일이 되었네! 300일이란 시간은 어땠어? 많이 부족한 남자와 300일이란 시간...
    Date2014.01.12 Views4444
    Read More
  4. 아저씨라도 좋다! 그 예쁜 마음 덕분에- 주현욱 해병 일병

    주현욱 일병 해병대교육훈련단 본부대대 “군인아저씨! 죽지마세요. 나쁜 놈들이 우리 집을 부수고 우리를 잡아가잖아요. 그러니까 아저씨들은 죽으면 안 돼요. 군인아저씨 늘 고맙습니다.” 나더러 아저씨란다. 상큼한...
    Date2013.12.11 Views3629
    Read More
  5. 서북도서 관광객의 간절한 부탁 - 박진수 해병상병

    박진수 상병 해병대6여단 2013년 11월 23일 연평도 포격전 3주기인 그날, 나는 부대로 복귀하는 여객선에 있었다. 마지막 휴가를 앞두고 적의 사격에 대응하기 위해 부대로 복귀하다 전사한 고(故) 서정우 하사와 상...
    Date2013.12.11 Views3848
    Read More
  6. ‘고난극복 자격증’을 따자 - 지휘관 칼럼-류지영 해병대준장 국방부 근무지원단장

    류지영 해병대준장 국방부 근무지원단장 겨울에는 강추위와 폭설이 예상되는 시기다. 이럴 때 무엇보다 악천후를 이겨내며 부여된 임무를 완수하는 우리 장병들의 수고가 많게 된다. 살을 엘 듯한 찬바람이 달갑지는 ...
    Date2013.12.10 Views4875
    Read More
  7. No Image

    해병대 헌병 출신 사장 "충성!" 거수경례 인사

    [중앙일보] 입력 2013.05.27 00:29 / 수정 2013.05.27 00:29 이갑수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위원 골든슈는 인근 대형마트와의 차별화를 위해 적지 않은 노력을 기울인 신발 전문 점포다. 골든슈에 들어가 보면 일단 ...
    Date2013.05.28 Views7506
    Read More
  8. No Image

    해병대는 대한민국 일급 브랜드다.

    &#039;이 이른 봄 군에 간 아들이 지난 주말 첫 외박을 나왔다. 고작 2박3일에 오고 가는 길이 한나절, 그야말로 바람처럼 왔다가 바람처럼 가버렸다. … 겨우 넉 달 사이에 도대체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 또래 누구보다...
    Date2013.05.27 Views4906
    Read More
  9. 2013년 해병대에 바란다 - 최염순 카네기연구소 대표

    2013년 해병대에 바란다 - 최염순 카네기연구소 대표 / 해병대블로그 날아라마린보이 해병대는 평범한 청년을 비범한 청년으로 만든다. 혹독한 훈련을 받고 빨간 명찰을 가슴에 다는 순간, 해병대원이라는 자부심을 ...
    Date2013.02.19 Views4788
    Read More
  10. 100감사 실천수기 공모전 우수작-김강민(해병대 상병)

    100감사 실천수기 공모전 우수작-김강민(해병대 상병) / 경북일보 ▲ 김강민(해병대 상병) 입대하고 군생활을 한지 어느덧 16개월이란 시간이 흘렀습니다. 누가 제 인생에서 가장 큰 터닝포인트가 언제였냐고 물어본다...
    Date2013.02.18 Views5086
    Read More
  11. 해병대 뱀띠 장병 새해 다짐

    해병대 뱀띠 장병 새해 다짐 / 국방일보 2012.1.2 박종률 중위(진) 해병대2사단 어느새 2012년 임진년이 마무리되고 뱀의 해인 계사년 태양이 솟구쳐 올랐다. 2012년은 언제나 그렇듯 다사다난한 한 해였다. 올여름 ...
    Date2013.01.02 Views3742
    Read More
  12. “해군-해병대 10만으로 늘려야 한다”

    “해군-해병대 10만으로 늘려야 한다” / 신동아 2012년 12월호 639호 (p162~169) 이정훈기자 ● 北 급변사태 때 청천강-원산만 동시 상륙해야 ● 육군화한 해병대, 상륙전 큰소리 쳐도 능력 의문 ● 해군 7만, 해병대 2만...
    Date2012.12.24 Views3934
    Read More
  13. 박성태해병 11월 100감사 편지쓰기 공모전 우수작

    박성태해병 11월 100감사 편지쓰기 공모전 우수작 / 경북매일 가족에 대해 ▲ 박성태 이병 (해병대) 1. 비록 부모님께서 어릴적 이혼하셔서 저희들(쌍둥이형제) 친 할아버지 할머니 댁에서 어린 시절을 보내었지만 부...
    Date2012.12.19 Views9345
    Read More
  14. No Image

    [동아일보 사설]연평도 2년 전 그날을 잊었는가

    [동아일보 사설]연평도 2년 전 그날을 잊었는가 / 2012,11,22 2년 전 11월 23일 오후 2시 30분 북한이 연평도에 포탄을 퍼붓기 시작했다. 우리 군이 13분 뒤 K-9 자주포로 대응 포격을 했지만 170여 발의 포탄이 연평...
    Date2012.11.25 Views2553
    Read More
  15. 리멤버 연평도!

    리멤버 연평도! / 조선일보 사외칼럼 연평도 포격은 정보 부족한데다 전투 의지 없어서 우리가 당한 것… 北 다시 도발하면 함정과 전투기로 즉각 응징해야… 국론 분열은 안돼 윤 연 前 해군작전사령관 1941년 12월 7...
    Date2012.11.21 Views243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37 Next
/ 37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