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771.jpg 

김상민 이병
해병대2사단 포병연대

 

빨간 날만이 특별한 날처럼 여겨지는 요즘 검은 날이지만 나에겐 특별한 10월의 첫째 날을 생각해본다. 2011년 10월 1일은 건군 제63주년 대한민국 국군의 날로 6·25전쟁 당시 전쟁의 전세를 뒤집고, 육군3사단 38선 최선봉 돌파연대 장병들이 강원 양양지역에서 최초로 38선을 넘어 북진한 날이다. 63년 전 살아계셨다면 우리에게 할아버지, 할머니인 그들은 이 나라를 위해 그리고 우리 후손들을 위해 자신의 피를 흘렸다. 그 값진 피를 기억하고 기념하는 이날은 단순한 국군 행사로 끝나는 날이 아님을 다시금 마음속에 새겨본다. 

 현재 우리 한반도는 휴전상태다. 남북 대립 상황에서 일어난 최근 해병대 총기사고는 우리에게 더욱더 아픔을 준다. 지난 100일 동안 병영문화 혁신을 위한 지휘관들의 의지는 더욱더 강해지고 있다. 이렇게 ‘강한 국군! 그리고 더 큰 대한민국은 서서히지만 견고히 이뤄지고 있는 것이 아닐까?’ 이러한 우리의 모습이 되기 위해 우리가 회복해야 할 모습은 무엇인가?

 첫째, 강한 국군이 되기 위해 우리는 국민에게 잃은 신뢰를 회복해야 한다. 잘못된 병영문화로 잃은 신뢰는 참된 병영문화로 다시 회복해야 한다. 짧지만 긴 지난 100일 동안 수많은 변화가 일어났고 아직 변화하지 못한 부분도 있지만 우리가 얼마나 정직하게 하나하나 과정을 밟느냐가 참된 병영문화의 모습으로 나타날 것이다.

 둘째, 자신의 임무를 정직하고 책임감 있게 해 나가야 한다. 자신에게 정직한 사람은 누가 보든 보지 않든 자신의 임무를 해 나가며 최선을 다한다. 이러한 태도는 부대를 위한 것 뿐만 아니라 자신에게도 보람을 느끼며 사명감이 있게 할 것이다.

 셋째, 긍정적이고 자발적인 태도다. 자신의 일을 억지로 해 나가는 사람만큼 불행한 사람은 없다. 긍정적이고 적극적으로 해 나간다면 되지 않을 것 같은 일도 되는 경험을 하며 어느새 자신의 삶에 감사하는 변화가 일어날 것이다. 이러한 개인이 많아진다면 선제적이고 효율적인 작전대비태세는 물론 안정적인 부대관리 또한 자연스럽게 만들어져 갈 것이다.

 이렇게 잃어 버린 신뢰와 다시금 6·25 참전용사들의 전우애를 회복하는 우리 국군의 모습은 강한 국군을 새롭게 창조해 나갈 것이다. 우리나라 국민을 위해 오늘도 그 자리에서 충성을 다하며 세계인들을 마음에 품고 나아가는 국군용사들의 모습은 더 큰 대한민국을 만들어 갈 것이다.



  1. 강한 국군 그리고 더 큰 대한민국

    김상민 이병 해병대2사단 포병연대 빨간 날만이 특별한 날처럼 여겨지는 요즘 검은 날이지만 나에겐 특별한 10월의 첫째 날을 생각해본다. 2011년 10월 1일은 건군 제63주년 대한민국 국군의 날로 6·25전쟁 당시 전쟁...
    Date2011.09.29 Views1688
    Read More
  2. 지금 우리는 무엇을 해야하나?

    해병대가 6·25전쟁, 월남전 등 수많은 전투에서 얻은 명성은 하루아침에 이뤄진 것이 아니다. 창설 이후 60년 동안 수없이 많은 역경에서도 오늘이 있기까지 우리 선배들의 부단한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하였다. 천안...
    Date2011.09.22 Views3443
    Read More
  3. 땅 속 깊은곳 잠들어 있는 영웅들을 찾아서

    그때의 젊은 병사는 오늘 시신이 되어 돌아왔다. 지금까지 아무도 찾아주지 않는 차가운 땅 속에서 불편한 자세로 누워 있었던 그 젊은병사. 그의 시신은 이 나라가 물이 흐르듯 그렇게 유지되어온 나라가 아니라고 ...
    Date2011.09.22 Views2828
    Read More
  4. 해병대 병영문화 개선과 해외파병

    한동기 해병대 중령 / 국방대학교 PKO센터 요즘처럼 해병대가 대중 매체에 자주 오르내린 적은 베트남전에서 ‘신화(神話)를 남긴 해병’의 전공을 세운 이후로는 별로 없었던 것 같다. 좋은 일로 그래야 할 텐데, 그렇...
    Date2011.09.14 Views3135
    Read More
  5. 해병대 전문작가 김환기에게 듣는 스타 현빈, 해병 김태평

    지난해 말 연평도 포격 사건을 시작으로 총기 난사 사건, 그리고 현빈의 해병대 입대까지. 근래만큼 해병대가 사람들 입에 오르내렸던 적이 없는 것 같다. 3년 동안 포항과 김포, 서해 5도를 돌며 해병대를 취재해온 ...
    Date2011.09.02 Views3532
    Read More
  6. 국민기대 부응하는 병영문화 - 공정식

    공정식 전해병대사령관님께서 국방저널 9월회에 특별기고한 글입니다. 국방저털 전자북에서 캡춰하였습니다.
    Date2011.09.01 Views2647
    Read More
  7. No Image

    인천상륙작전의 강의안 - 김현기

    인천상륙작전의 강의안 / 해병대전략연구소 김현기 序 論 1. 연구 배경 ▲ 전장에서의 기습효과의 중요성 ㅇ 전장의 흐름을 주도할 수 있는 주도권 확보에 결정적으로 기여 ㅇ 기습의 파급효과 - 물리적 효과, 심리적 ...
    Date2011.09.01 Views4751
    Read More
  8. No Image

    통영상륙작전과 한국 해병대

    '한국군이 단독으로 수행한 최초의 상륙작전... 전세(戰勢)를 역전시키는 불씨를 지핀 전투" <코나스넷 김성만> 해병대는 6.25전쟁 당시 한국군 단독 상륙작전으로‘귀신 잡는 해병’이란 신화 탄생시킨 통영상륙작전 ...
    Date2011.08.25 Views2709
    Read More
  9. 통영상륙작전의 교훈

    국방일보 기고 2011.8.16 - 엄영환 해군중령 / 해군대학 상륙작전 교관 내일(17일)은 우리 해군·해병대가 통영상륙작전을 수행한 지 61주년이 되는 날이다. 이 작전은 6·25전쟁 초기 우리 국군이 단독으로 실시한 최...
    Date2011.08.15 Views3437
    Read More
  10. 해병대는 ‘상륙기동군’이고 싶다

    7월 4일 인천 강화도에 주둔한 해병대 2사단(청룡) 예하 부대에서 한 소대원이 동료 네 명을 쏴 숨지게 하자 “소수정예를 자랑하 는 해병대에서 어떻게 이런 일이 일어날 수 있느냐”는 탄식이 터져 나왔다. 군을 안다...
    Date2011.08.14 Views3580
    Read More
  11. 통영상륙작전 - 문화일보 오후여담 / 김종호 논설위원

    <문화일보 김종호 논설위원> 충무공 이순신 장군이 이끈 조선 수군(水軍)의 한산도대첩(閑山島大捷)은 진주대첩·행주대첩과 함께 임진왜란의 3대 대첩으로 일컬어진다. 1592년(선조 25년) 7월8일 한산도 앞바다에서 ...
    Date2011.08.08 Views4569
    Read More
  12. 서해5도 이상없다

    안승환 이병 / 해병대6여단 지난달 12일 한미연합기동훈련을 무사히 마쳤다. 이번 훈련은 대한민국 서해 최북단 백령도에 근무하는 한국 해병대와 미국 해병대가 함께 훈련을 받으며 서로의 기술을 공유하고 파트너십...
    Date2011.08.06 Views3680
    Read More
  13. 이제부터는 해병대를 사랑으로 품어주자

    이세영 건양대학교 국방공무원학과 교수 지난달 4일 우리들은 강화도에서 들려온 정말 가슴 아픈 사건을 접하게 된다. 2005년 6월에 전방부대에서 발생했던 끔찍했던 총 격사건을 잊은 지 꽤 오래되었는데 그만 금번 ...
    Date2011.08.05 Views2846
    Read More
  14. 이젠 조국이 그들을 지켜야 한다

    시론 - 이젠 조국이 그들을 지켜야 한다 / 국방일보 2011.7.27 신원배 (예)해병대소장 / 대한민국재향군인회 사무총장 # 지금으로부터 58년 전인 1953년 7월 23일, 유엔군 대표 윌리엄 해리슨 중장과 북한군 대표 남...
    Date2011.07.27 Views2617
    Read More
  15. No Image

    다시 태어나는 해병대의 모습을 보이길

    <대한매일신문 홍성봉의 是是非非> 홍성봉 편집국장 귀신도 잡는다는 우리나라의 해병대가 구타와 폭언 등 후진적인 군기문화를 퇴출시키기 위해 최근 발생한 해병 2사단 총기난사 사건을 계기로 ‘병영문화 혁신 100...
    Date2011.07.25 Views263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37 Next
/ 37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