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1.jpg 우리는 삶의 이유나 목표를 설명할 때 가족이나 건강, 부, 명예 등의 기준을 제시한다. 이 조건은 우리 삶에서 중요한 가치가 될 수 있지만 모든 것들은 결국 ‘행복’한 삶으로 직결된다.

이러한 행복의 기준을 고려하면, 일단 가장 행복한 사람들은 선진국의 국민들일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정작 스스로 행복하다고 답하는 비율이 높은 쪽은 선진국이 아니라 가난한 나라의 국민들이었다.

“사람이 행복하려면 50%는 성격 등의 유전자며, 나머지 50%는 생활환경, 건강, 직업, 대인관계 등 외부 요인에 영향을 받는다”는 연구 결과가 시사하는 바는 적지 않다.우리는 사소한 일에 행복하다. 어느 순간에는 커다란 것보다 작은 것에 더 크게 감동하고 행복감을 느낀다. 가령 이웃에 봉사하고 헌신할 때 더욱 보람찬 삶을 영위할 수 있고 질 높은 행복을 경험한다. 그렇다면 군 복무는 우리 젊은이에게 어떤 행복을 안겨 줄까?

먼저 신성한 국방의무를 이행한다는 마음의 행복이다. 대한민국 헌법에 명시된 군 복무는 젊은이들이 피할 수 없는 ‘의무’이자 나라와 겨레를 위한 ‘봉사’다. 우리 사회에서 군복을 입는다는 것은 국가가 그 젊은이를 정신과 신체가 건강한 완전한 성인으로 공인함을 의미한다. 또 군 복무는 자신은 물론 부모형제, 친구, 애인 등에게도 긍지와 자랑스러움을 줄 수 있다.

이렇게 봉사와 의무를 이행하는 것에서 마음의 행복을 구한다면 자신뿐만 아니라 모두를 영광스럽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최근 이명박 대통령께서 “군 복무를 영광으로 아는 사회를 만들겠다”고 약속한 것은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두 번째, 배움의 기회를 갖게 하는 학습의 장으로서의 체험적 행복이다. 군인이 되면 전투 수행을 위한 체력단련, 정신력, 적성에 따른 특기 교육, 팀워크 등 개인과 조직 차원의 학습을 받으면서 전투원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되고 더불어 자신을 수련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내무생활을 통해 대인관계, 리더십 등의 덕목뿐만 아니라 여가를 이용한 자기개발 기회도 가질 수 있다. 자신이 미래를 어떻게 그려갈 것인가를 고민하고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려는 의지를 실천한다면 입대 전과 전역 후의 모습은 많이 변화될 것이다.

세 번째, 전역 후 많은 추억거리를 만들어 주는 행복이다. 흔히 나이가 들수록 사람은 추억을 먹고 산다고 한다. 군대 이야기는 술자리 단골 메뉴다. 이러한 추억거리에 재미와 멋을 덧칠하려면 현재 군생활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답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행복은 멀리 있는 게 아니다. 과거와 미래에 있는 것이 아니라 현재에 있다. 돈의 많고 적음이 아니라 마음의 풍족함에 달려 있다. 작은 것, 사소한 것에서 시작되는 행복 지수는 타인을 이롭게 하는 마음과 행위로부터 출발한다. 인생사 “일체유심조”라 하듯 마음가짐이 곧 행복의 척도다. 군 복무도 다르지 않다.

군 복무는 나라와 사랑하는 사람을 지킨다는 신성한 의무이므로 대한민국의 젊은이로서 으뜸 되는 마음의 행복이 아닐까? 내 옆에 전우가 있고 지켜야 할 대상이 있는 지금 이 자리에서 이 일을 하는 자체로 행복을 찾고 누릴 수 있다. 그래서 우리의 군 복무가 행복한 것이 아닐까?

<이영주 준장·해병대사령부 기획관리부장>  2008년 3월28일 국방일보자


TAG •

  1. 인천상륙작전 - 한시 (정채호)

    해안(海晏) 정채호(예) 해병대 중령 庚寅九月十五日(경인구월십오일) 韓美海兵名譽榮(한미해병명예영) 戰艦載機支援下(전함재기지원하) 敵前上陸反攻成(적전상륙반공성) 未明月尾先攻占(미명월미선공점) 下午仁川上陸...
    Date2010.09.17 Views3274
    Read More
  2. 근속30년 휘장과 흰머리

    서해 최북단 백령도에서 근속 30년을 맞았다. 옛말에 세월은 유수 같고 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고 했다. 젊은 시절 해병대가 좋아 시작한 군생활, 어느덧 강산이 세 번이나 변했다. 지난날의 힘든 세월을 말해 주듯 ...
    Date2010.09.10 Views5963
    Read More
  3. 셰익스피어가 해병대교육훈련단에 온다면?

    수많은 예술가는 인생의 기쁨과 슬픔, 이별과 만남, 땀과 고뇌, 열정과 고통, 그리고 인간성의 승리라는 인류 보편의 주제를 표출하는 창조적 소재를 찾아 저잣거리를 헤매기도 하고 인생의 밑바닥에 내려가 보기도 ...
    Date2010.09.09 Views3062
    Read More
  4. 사령부직제 개정령안 신구문대비표

    아래 올려드린 해병대사령부 직제 개정령안 신구문대조표입니다. 해병대사령부직제 개정령안은 아래 게시물 참조 http://www.haebyeong.com/munseo/23239 신ㆍ구조문대비표 현 행 개 정 안 제2조(사령관 등의 임명) ①...
    Date2010.09.07 Views4384
    Read More
  5. No Image

    해병대사령부 직제 일부개정령안

    2010년 7.23~8.12 입법예고된 ,해병대사령부 직제 일부개정령안입니다. 한글파일자료첨부합니다. ◆ 국방부 공고 제2010 - 111호 「해병대사령부 직제」를 일부 개정함에 있어 국민에게 미리 알려 의견을 듣고자 그 개...
    Date2010.09.06 Views5011
    Read More
  6. 해병혼의 조각가

    필자는 한 학년이 1개의 반으로만 구성된 시골벽지의 초등학교에 다녔다. 당시 훌륭한 선생님을 만날 수 있었던 것이 내 인생의 큰 행운이었다. 2005년 작고하신 고(故) 이희수 선생님은 필자의 초등학교 5, 6학년 담...
    Date2010.09.06 Views4343
    Read More
  7. 군 복무가 행복한 이유 - 이영주

    우리는 삶의 이유나 목표를 설명할 때 가족이나 건강, 부, 명예 등의 기준을 제시한다. 이 조건은 우리 삶에서 중요한 가치가 될 수 있지만 모든 것들은 결국 ‘행복’한 삶으로 직결된다. 이러한 행복의 기준을 고려하...
    Date2010.09.05 Views3278
    Read More
  8. 장교부인이 갖춰야 할 것

    내 남편은 대한민국 해병대 소령이다. 결혼 후 우리 부부는 늘 주말 부부였다. 결혼한 지 10년이 됐지만 서로 얼굴을 맞대고 함께 지낸 시간은 얼마되지 않는다. 맞벌이를 하기 때문에 항상 떨어져 지내 온 것이다. ...
    Date2010.09.02 Views5228
    Read More
  9. 서해5도·NLL방어 해군·해병대 전력 시급히 증강해야

    交戰守則강화만으론 NLL이 수호되는 것은 아니다. konas.net / written by 김성만(재향군인회 자문위원, 前 해군작전사령관) 김태영 국방장관은 24일 국회 국방위 답변에서 “북한이 북방한계선(NLL) 너머로 포사격을 ...
    Date2010.08.26 Views3387
    Read More
  10. 열린 마음 닫힌 마음

    김동호 목사 대위·해병대6여단 인간의 마음을 크게 나눈다면 열린 마음과 닫힌 마음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그러나 어떤 사람도 완벽하게 열린 마음을 가진 사람은 없을 것이고, 또 완벽하게 닫힌 마음을 가진 사람도...
    Date2010.08.25 Views3784
    Read More
  11. 2008 KR / FE 연습성과와 발전방향

    08 KR / FE 연습성과와발전방향 해병대령 차동길(합참 작전본부) 1. 머리말 2006년 9월 14일 한·미 양국 대통령은 한국군에 대한 전시작전통제권을 미국으로부터 한국으로 전환할 것을 합의하였다. 2007년 2월 23일에...
    Date2010.08.23 Views3493
    Read More
  12. 칸퀘스트(Khaan Quest)연습 참가결과 및 성과

    해병중령 김해진(합참 전략기획본부) Ⅰ.‘Khaan Quest’란 어떤 훈련인가? 13세기 지구상에 혜성같이 등장한 몽골은 세계역사상 가장 넓은 제국을 건설한 정복국가였다. ‘Khaan’의 사전적 의미는 중세 타타르, 몽골 등...
    Date2010.08.23 Views4755
    Read More
  13. 전자전에 관한 고찰 - 상륙작전을 중심으로

    1996년 1월1일 발행 합참지 7호
    Date2010.08.23 Views2938
    Read More
  14. 공지기동 해병대 21 - 주윤곤

    공지기동해병대 21(합참지 15호) 해병대령 주윤곤 (해병대사령부) Ⅰ. 새 천년, 우리는 어떻게 맞이할 것인가? 21세기 변화의 물결 21세기는 기존 사회의 물리적 패러다임(Paradigm: 견해나 이론의 지배적 틀)에서 새...
    Date2010.08.23 Views2924
    Read More
  15. 해병대VISION 2025 NEW WARRIOR 21 : 공지기동해병대건설 2-4장

    제2장 해병대의 목표 및 역할 / 제3장 해병대 기본전투개념 / 제4장 교리발전방향
    Date2010.08.19 Views287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 37 Next
/ 37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