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천지 국방칼럼] 독도 방어훈련에서 해병대 상륙작전 취소 유감

 

 

▲ 장순휘 호국문화문학협회 사무총장

우리 군이 9월 7일부터 실시하는 ‘독도 방어훈련’ 중 해병대의 독도 상륙훈련 계획을 돌연 취소했다. 4일 군소식통 등에 따르면 이번 독도 방어훈련에서 해병대 1개 중대가 헬기를 타고 독도에 들어가는 상륙훈련을 실시하지 않기로 방침을 변경했다.

이번 훈련에 참가할 예정이던 해병대 병력은 30명에 불과하지만 독도 영유권 차원에서는 상징적 의미가 적지 않다. 해병대는 해군, 공군과 달리 헬기에서 줄을 타고 내려와 직접 독도 땅을 밟는 유일한 병력이기 때문에 해병대 투입은 일본을 상대로 독도 영유권 수호의지를 과시하는 효과를 갖고 있다. 특히 올해는 기상 여건이 나쁘지 않아 2009년 이후 3년 만에 해병대가 독도에 상륙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로 예정된 군사작전이었다.

그런데 취소가 되고 대신 해경(海警)이 주도적으로 움직이고, 군은 해경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훈련을 진행할 것으로 알려져서 실망이 크다. 1년에 두 차례씩 실시하는 독도 방어훈련은 가상 적군에게 독도가 점령당한 상황을 전제로 이뤄지는 합동군사훈련이다.

1966년 시작한 독도 방어훈련의 계획 단계부터 해병대 상륙훈련이 제외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에 대해 이명박 대통령의 독도방문, 일왕 사과발언 등으로 경색된 한일관계를 회복시키려는 의도라는 분석이 있으나 이것은 외교와 국방을 구분하지 못하는 대일(對日) 전략의 한심한 수준을 노출한 것으로 국방부의 무소신(無所信)이라는 오점으로 남게 되었다.

실제 겐바 일본외상은 3일 일본국회답변에서 "다양한 채널을 통해 훈련중지를 요청하고 있다"고 말한 것과 이에 앞서 일본정부는 지난달 31일 고위급 외교채널을 통해 한국의 독도 방어훈련 계획에 대해 항의한 것으로 전해졌는데 결국 통화스와핑협정금 축소 운운하는 일본의 공갈에 외교적으로 저자세(底姿勢)를 취한 것 아닌가하는 의구심에 안타까움을 갖는다.

최근 이 대통령은 후안무치(厚顔無恥)한 일본과 관련해 8월 10일 오후 2시 독도 전격방문한 데 이어, 14일 일왕(日王)에 대해 “(일왕이) 한국을 방문하고 싶으면 독립운동을 하다 돌아가신 분들을 찾아가서 진심으로 사과하면 좋겠다”고 공식사과를 요구하는 발언으로 일본열도를 발칵 뒤집어 놓았다.

바로 일본의 아킬레스건은 일왕에 대한 집요한 심리전이라는 것을 발견하는 쾌거였다고 본다. 이 대통령의 독도방문은 역대 대통령 중에 처음으로 실시한 통치행위로서 매우 뜻있게 평가될 것이다. 역대 전임자들이 무슨 일로 바빠서 한 분도 독도를 가지 못했는지 유감이지만, 이 대통령이 직접 갔다는 사실에 적지 않게 감동한다. 일본 총리의 항의서한을 문전박대해 반송하는 강한 외교자세를 유지했고, 일본이 국제사법재판소(ICJ) 제소를 제안하자 이에 조목조목 반박하는 구술서를 보내 한국의 강경한 입장을 분명히 밝힌 점도 좋았다. 일련의 한일 외교갈등은 바로 총성 없는 한일전쟁(제2 임진왜란)이라고 한다면 국운을 걸고 결코 패해서는 안 되는 것이므로 일전불사의 각오로 반드시 이겨야하는 정부의 자세가 있어야 한다.

그러나 4일 결정된 독도방어훈련 해병대 상륙작전 취소결정이 일본의 외교전쟁도발에 대한 한국정부의 허약한 정책의지를 조롱하는 행위에 일부라도 수용한 것이라면 국민적 모욕은 아닐까? 작금의 한반도에 흐르는 정치적 환경변화는 준전시(準戰時)상황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일본의 독도영유권 억지주장과 동해명칭분쟁 및 위안부(성노예 : Forced Sexual Slaves) 사과배상문제 그리고 중국의 동북공정과 역사왜곡 그리고 이어도 영토분쟁시비와 미국의 애플사가 삼성 스마트폰을 대상으로 한 치졸한 특허전쟁으로 경제를 공격해오고, 뿐만 아니라 북한의 내정간섭수준의 대남비방 등 결코 만만치 않은 주변국의 도전이 동시다발적으로 몰려오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다행스러운 것은 국민이 정부도 못하는 애국심을 발휘해 상대국에 강한 한국의 정신을 보여주고 있다는 것이다. 가수 김장훈의 독도횡단수영과 축구선수 박종우의 독도세레머니 그리고 배우 송일국과 배용준의 독도사랑 등 연예인들의 당당한 극일정신(克日精神)에 감격을 한다.

그러나 ‘한류 보이콧’ 흐름에 돈벌이타령을 하며 경거망동으로 친일성향의 반애국적 행태를 하는 일부 연예인에 대해선 유감을 표하고자 한다. 과거 김인식 야구감독의 “나라가 있고 야구가 있지, 야구가 있고 나라가 있느냐”는 한마디에 선수들이 정신을 차렸던 얘기 대로 일본을 상대하는 연예사업계는 극일애국심을 잊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조언한다. 동서고금의 역사를 통해서 난국을 극복하는 데는 강력한 지도자와 함께하는 국민과 군대가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강한 국가지도자가 필요하고, 강한 국민정신과 강한 군대가 요구되는 지금 우리가 바로 그러한 시대 속에 있다는 사실을 알고 살아야 한다. 비록 ‘볼라벤’이라는 태풍이 불어왔어도 대비한 결과 잘 넘겼던 것처럼 국난의 태풍도 대비한 민족에게는 전화위복(轉禍爲福)의 국운을 만들 수 있는 것이다.

 

2012년 09월 05일 (수) 11:50:25   뉴스천지 http://www.newscj.com



  1. 도전하는 군인

    송유온 상병 해병대군수단 상륙지원대대 내게 2018년은 아주 특별한 해였다. 군인이 된 해였기 때문이다. 지난해 1월, 친구들은 나에게 왜 이리 일찍 가느냐고, 군대에 자원해서 가는 나를 비꼬고 동정했지만, 나는 ...
    Date2019.01.22 Views543
    Read More
  2. 존중과 배려가 성숙한 인존중과 배려가 성숙한 인간을 만든다 - 소설 『앵무새 죽이기』를 읽고

    장대광 상사 해병대6여단 감찰실 해병대는 인권 강화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나 역시 해병대원으로서 전우의 인권을 지키자는 각종 표어·포스터 등을 통해 수시로 접했지만, 정작 그 의미를 공감하고 ...
    Date2019.01.14 Views663
    Read More
  3. 너무 늦지도 빠르지도 않다

    염하얀 하사 해병대1사단 킹콩연대 우리는 어린 시절부터 경쟁 사회에 노출돼 있다. 좋은 학교를 가기 위해 친구들과 끊임없는 경쟁을 했고, 군대에서도 경쟁은 똑같이 진행된다. 나는 진급과 장기복무라는 목표를 가...
    Date2018.12.27 Views875
    Read More
  4. [국방일보 병영의창] 전방 소초장 임무를 마치면서

    박은주 중위 해병대2사단 짜빈동대대 어린 시절 막연하게 ‘군인이 되고 싶다’던 목표는 대학교 졸업과 러시아 유학 이후 해병대 장교인 남편을 만나고부터 더욱 현실로 다가왔다. 다소 늦은 나이에 도전했던 첫 번째 ...
    Date2018.12.03 Views3053
    Read More
  5. No Image

    [대경일보 사설]해병대 장병들에게 감사의 박수를 보낸다

    [대경일보 사설]해병대 장병들에게 감사의 박수를 보낸다 / 2018년 11월 26일 최근 포항시민을 위한 해병대 장병들의 미담이 계속해서 밝혀져 훈훈한 감동을 주고 있다. 지난 9일 해병대 1사단 23대대 소대장 박형규 ...
    Date2018.11.30 Views650
    Read More
  6. 포워드, 페이스풀, 포커스트

    박경기 중위(진) 해병대사령부 연합화력협조장교 한미 해병대 화력관계관 워크숍 참가차 얼마 전 일본 오키나와에 다녀왔다. 미 제3해병기동군(Ⅲ-MEF) 아래 화력·효과 협조본부(FECC) 및 예하 부대를 방문한 짧은 기...
    Date2018.11.29 Views733
    Read More
  7. 국방일보 [김정학 기고] 멀리 가려면 같이 가라

    김정학 해병대 교육훈련단장·준장 사막이나 정글을 혼자 헤쳐나가는 것은 무모한 짓이다. 외로움과 두려움, 맹수의 습격 등을 혼자서는 감당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아프리카 속담 중에 ‘멀리 가려면 같이 가라’...
    Date2018.11.26 Views868
    Read More
  8. 세상과 소통하는 국방홍보원

    유 원 열 해병중사 국방정신전력원 정훈중급반 지난달 23일, 평소보다 1시간 정도 일찍 일어났다. 여느 때처럼 전투복을 차려입고 나서는 길, 날씨는 쌀쌀했지만, 마음은 설레었다. 이날 나를 포함해 국방정신전력원 ...
    Date2018.11.11 Views899
    Read More
  9. [김명환 종교와삶] 如如, 변함이 없는 마음

    김명환 해병대1사단 군종실장·법사·중령 문명이 발전하고 삶은 풍요로워졌으며 진보하는 기술만큼 사람들 몸은 편안해졌지만, 마음은 그만큼 더 행복해지지 않은 것 같습니다. 앞으로 세상도 기술의 핵심은 사람들의 ...
    Date2018.10.30 Views818
    Read More
  10. 꿈과 희망이 있는 군 생활

    이 승 찬 일병 해병대1사단 “거꾸로 매달아도 국방부 시계는 간다”는 말이 있다. ‘힘들거나 즐겁거나 시간은 흐르고 전역은 다가온다’는 뜻이다. 몇몇 군인이 국방의 의무를 다하는 시간에 대해 “어떻게든 지나간다”...
    Date2018.10.29 Views769
    Read More
  11. 기다리기만 하던 나를 뛰게 한 버킷리스트

    장 병 헌 병장 해병대2사단 짜빈동대대 어느덧 전역을 두 달 남짓 남겨둔 병장이 됐다. 그동안 나는 크고 거창한 것보다는 병영생활 중에 실천할 수 있고, 구체적이며, 실현 가능한 것들로 나만의 버킷 리스트를 만들...
    Date2018.09.05 Views1039
    Read More
  12. '필승 DNA'에 '혁신' 이식 더 막강해진 '무적 해병'

    창설 69주년을 맞아 국가전략기동부대 대한민국 해병대가 달라지고 있다.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해병대 본연의 모습으로 돌아가고 있다. 1949년 4월 15일 진해 덕산비행장에서 창설된 해병대는 6·25 전쟁 당시 수많은...
    Date2018.05.16 Views1069
    Read More
  13. 해병대의 초심찾기 ‘참해병 혁신운동’

    조순근 대령 해병대1사단 행정부사단장 ‘작심삼일(作心三日)’이라는 사자성어가 있다. 결심한 마음이 사흘을 가지 못하고 금방 풀어진다는 뜻이다. 그래서 결심했던 일이 결실을 보려면 지속해서 마음을 바로잡는 것...
    Date2018.03.22 Views1655
    Read More
  14. 백령도와 해병대가 성장시킨 나

    김 태 환 (예)해병중위 전 해병대6여단 정훈참모실 ‘나도 국민이 힘들어할 때 도와주고 부하들보다 궂은일에 앞장서는 멋진 해병대 장교가 될 거야.’ 제주도에서 나고 자란 나는 어려서부터 해병대인을 꿈꿨다. 태풍 ...
    Date2018.03.08 Views979
    Read More
  15. 신화를 남긴 해병대 전통을 계승하자

    김 재 현 중위(진) 해병대2사단 선봉연대 1967년 2월 15일 새벽, 짙은 안개가 끼고 비가 내리는 베트남의 쾅나이성 손틴군 짜빈동 인근의 야트막한 30m 고지. 청룡부대 11중대는 2개 연대 규모의 월맹 정규군과 3시간...
    Date2018.02.25 Views88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37 Next
/ 37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