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201_172301363.jpg

송석구 가천의과대학 총장

연평도 하면 떠오르는 것이 '조기 파시(波市)'와 대중가요 '눈물의 연평도'쯤이다. 우리 세대 대부분이 비슷할 게다. 파시가 열리는 때면 한몫 잡으려고 뭍에서 온 사람들로 작은 섬마을이 저잣거리로 변하고 밤엔 육자배기 장단으로 불야성을 이뤘다는 얘기를 듣고 자랐다. 이제 그 연평도는 전설처럼 남아 있다. 가수 조미미가 불렀던 눈물의 연평도 역시 TV '가요무대'에나 오름직한 흘러간 옛 노래가 된 지 오래다.

 그런데 까마득한 '눈물의 연평도'가 정말 현실이 돼 돌아왔다. 온 나라를 뒤흔들 만큼 커다란 눈물이 돼 우리와 부닥뜨린 것이다. 그것도 2명의 해병대 젊은 병사와 2명의 민간인 시신과 함께 처참한 몰골을 한 채 다가왔다.

 지난주 화요일 오후 회의 중간에 TV에서 본 불타는 연평도의 모습은 충격적이었다. 백주에 대한민국의 평화로운 섬이 불에 타고 있다는 게 도무지 믿어지지 않았다. 전율이 일었고 느닷없이 엄습해오는 전쟁의 공포에 아연 긴장했다.

 나는 해병대 대위 출신이다. 관측장교로 월남전에 참전해 정글의 전장터를 누볐다. 전우들의 숱한 부상과 죽음을 목도했다. 등 위에서 죽어가는 전우를 둘러업고 어떻게라도 살리려고 수송 헬기를 찾아 포화 속을 줄달음 친 적도 있다.

차승원 “다른 맛의 악역 선보이겠다”
<iframe id="minervaad" name="minervaad" marginwidth="0" marginheight="0" src="/include2009/ad/cossen.html" frameborder="0" width="100%" scrolling="no" height="110" topmargin="0"></iframe>
<iframe id="roll1" name="roll1" marginwidth="0" marginheight="0" src="/include2009/ad/left_thumb_roll1.html" frameborder="0" width="100%" scrolling="no" height="110" topmargin="0"></iframe>
지드래곤ㆍ탑, 12월 듀엣 음반 발표
배우 김민희-이수혁 커플, 결별
<iframe id="roll1" name="roll1" marginwidth="0" marginheight="0" src="/include2009/ad/left_thumb_20101015.html" frameborder="0" width="100%" scrolling="no" height="110" topmargin="0"></iframe>

 지금은 참전수당을 받고 있는 노병이지만 정부에서 주는 이 작은 수당이 제일 자랑스럽다. 조국에 대한 나의 충성심과 이를 인정해 주는 것 같아 대한민국의 국민임이 뿌듯해서다. 한 달에 한 번 맛보는 옛 정예 해병의 기억이 여간 기쁘지 않다.

 그래서 나는 TV에 비친 포연 가득한 연평도를 지켜보면서도 우리의 자주 국방과 이 땅의 해병대를 믿었다. 먼 이국땅에서도 그리 용감하게 싸웠는데 조국의 영토가 저리 불타고 있으니 가만있으랴 싶었다. 전쟁을 하자는 게 아니라 최소한 제 나라 영토와 국민을 보호하고 지키는 것은 당연한 책무이다. 곧 자막에 '우리 군, 자주포 80여발 대응 사격'이라는 글이 떴고 나는 여느 날보다 더 굳은 마음으로 다시 일상에 복귀했다.

 그러나 그것뿐이었다. 철저한 응징은 물론 대등한 응징조차 없었다. 그 엄혹한 상황에서 우리에겐 자주포 4문밖에 없었다. 북한 해안포 진지에서 170여발의 포탄이 3시간 넘게 그것도 1, 2차로 나눠 연평도를 공격했다는데 우리의 자주국방은 고장난 자주포까지 합쳐 12문이 전부였다니 아직도 믿어지지 않는다.

 아니 연평도 인근 백령도 앞바다는 불과 7개월 전 천안함 폭침으로 46명의 수병들이 산화한 눈물이 채 마르지도 않은 슬픔의 바다 아닌가. 또 지난 1999년과 2002년에는 '연평해전'이라는 이름으로 잇단 승전보를 역사에 새긴 격퇴의 바다이기도 하지 않는가.

 그런 위험지역에 자주포 12문의 해병대는 도대체 무엇이며 엊그제 46명의 전우를 잃고도 쳐다보기만 한 해군의 행동은 또 무엇인가. 서해 5도 상공을 맴돌던 공군은 또 어떠했는가. 자국 국민이 적에게 공격당했다면 준 전시상황으로 보는 게 상식이다. 교전수칙을 암송하고 그 자구에 기계적으로 움직인다면 그것은 민병대 수준이다. 자국의 영토가 불바다가 되고 있는데 육·해·공군의 입체적인 대응은 고사하고 이를 통합해 움직일 지휘부조차 보이지 않았으니 참으로 딱할 노릇이었다.

 전쟁은 가능하면 피해야 할 위험하고 두려운 재앙이다. 나 역시 북한과 전면전으로 확전이 돼도 괜찮다는 얘기가 아니다. 다만 전쟁을 두려워 하고 전면전으로 확산될까 몸을 사리는 모습으로는 결코 이 땅의 평화를 지킬 수 없다는 것이다. 진정한 평화는 확고한 응징의 힘과 마음을 가지고 있을 때라야 가능하다.

 마음은 예나 지금이나 같지만 어쩔 수 없는 노병이다. 천안함 폭침 사건 때도 이 난에 '노병(老兵)의 편지'를 띄운 적이 있다. 하나, 작은 마음을 보태는 것 말고는 달리 할 수 있는 게 없어 안타까웠다. 그 통한의 서해 5도 바다 위에 또 다시 젊은 넋을 보탰으니 차마 우리가 할 일이 아니다. 이명박 대통령이 특별담화에서도 밝혔듯이 어려울 때 백 마디 말보다 국가가 행동으로 보여야 국민이 믿고 안심하는 법이다.


TAG •

  1. No Image

    ‘해병대 정신’ 다시 세우라 - 문화일보 사설

    강화도 해병대 해안 소초에서 4일 발생한 총기난사 사건은 국민에게 큰 충격을 안겨주고 있다. 김정일의 잦은 도발에 맞서며 서해영토를 지켜온 해병대에서 병사 4명이 동료 사병의 총기난사로 숨진 사건은 1990년대 ...
    Date2011.07.05 Views2525
    Read More
  2. 7연대 장병문예공모전 우수작

    7연대 장병문예공모전 우수작 출처 : 7연대 카페 멧돼지동산
    Date2011.07.03 Views3978
    Read More
  3. ‘싸우면 이기는’ 해병대, 날개 달다

    전황기 해병대사령부 중령 [6월, 당신을 기억하겠습니다] ⑤ 서북도서방위사령부 창설 배경과 의미 과거부터 서북도서와 NLL 부근에서는 크고 작은 북한의 도발 위협이 지속되었고, 그때마다 우리 해병대는 이를 지키...
    Date2011.06.30 Views2445
    Read More
  4. No Image

    해병대 독자성 강화 기대된다

    &lt;기호일보 사설 2011.6.28&gt;마침내 해병대조직법, 군인사법, 군수품관리법 등 3개 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되면서 해병대는 명실상부한 법적 지위 및 독자성이 대폭 강화됐다고 한다. 작년 북한의 천안함 폭침 사건...
    Date2011.06.30 Views1988
    Read More
  5. No Image

    조용하지만 강한 ‘제주도 해병대’

    서인직 해군제주방어사령부 본부대 상병 / 제주일보 대부분의 사람들은 제주도에 해병대가 있다는 사실을 잘 모른다. 그리고 전투와는 한참 먼 후방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제주도는 도민들의 10분의 1이 해병대 출...
    Date2011.06.25 Views4638
    Read More
  6. 해병대 쌍룡합동상륙훈련

    박세봉 상병 해병대1사단 / 국방일보 2011.6.22 여명을 가르는 장갑차와 전차 소리에 훈련이 시작됐음을 깨달았고 바다를 가르는 독도함의 뱃고동 소리에 이 훈련의 웅장함을 새기게 됐다. 이렇게 2011년도 ‘쌍룡 1-1...
    Date2011.06.22 Views3438
    Read More
  7. 서북도서방위사령부에 거는 기대 - 동아일보 시론 김태현

    15일 해병대를 모체로 하고 육해공군을 망라한 합동참모부를 갖춘 서북도서방위사령부(서방사)가 창설됐다. 이 조치는 군사적 전략적으로 중대한 의미가 있다. 첫째, 당연한 말이지만 서해5도 지역의 방위전력을 크게...
    Date2011.06.16 Views2654
    Read More
  8. 서북도서 방위사령부 창설 이후 과제

    문화일보 / 이갑진 전 해병대사령관 게재 일자 : 2011-06-14 14:00 지난해 11월23일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이 일어난 지 7개월 만에 서북도서방위사령부(서방사)가 15일 창설된다. 해병대 사령관이 지휘하는 서방사...
    Date2011.06.14 Views2630
    Read More
  9. 6월을 맞아 동작동 국립 현충원을 찾았다 - 임종린

    임종린(시인, 전 해병대사령관) 우리국민 그 누구도 죽음 앞에서는 자신을 통제하기 쉽지 않을 것이다. 특히 푸른 유니폼을 입고 있거나 입었던 사람들에게는 헌신해 왔던 천직의식이 값어치를 샘할 수 없을 정도로 ...
    Date2011.06.05 Views2948
    Read More
  10. 현빈 출연금지령 - 박성진

    &lt;박성진의 군이야기&gt; ‘한류 스타’ 김태평 이병(29·현빈)을 보기가 무척이나 힘이 듭니다. 현빈은 5월26일 열린 제47회 백상예술대상에서 ‘시크릿가든’으로 TV부문 대상을 수상했지만 영상으로만 인사를 대신했습니다....
    Date2011.06.01 Views3844
    Read More
  11. 손원일 제독이 우리에게 주는 메시지 - 임성채

    임성채 - 해군역사기록관리단 편찬과장 지난 28일은 해군을 창설한 고(故) 손원일 제독 탄생 102주년이 되는 날이다. ‘우리 민족이 번영할 수 있는 지름길은 바다에 있 다’고 예지한 손 제독은 해방 직후인 1945년 11...
    Date2011.05.30 Views3688
    Read More
  12. No Image

    조선일보 사설 - 해병대 수뇌 5명 중 3명 관련된 음해사건의 충격

    조선닷컴 입력 : 2011.05.29 23:40 군 검찰은 유낙준 해병대 사령관(중장)을 음해한 혐의로 해병대 박모·홍모 소장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해병대 소장 4명 중 2명이 형사처벌 대상으로 떠오른 것은 충격적이다...
    Date2011.05.30 Views2322
    Read More
  13. 미국의 비밀무기

    &lt;유용원 / 조선일보 군사전문기자 ·한국국방안보 포럼 기조실장&gt; 지난 5월 초 미국의 빈 라덴 사살작전 때 몇 장의 헬기 잔해 사진이 전세계 군사전문가들의 주목을 받았다. 미군은 이번 작전에 그동안 존재가 알려지...
    Date2011.05.24 Views14525
    Read More
  14. 천안함 장병은 영웅이었는데 연평도 해병들은…”

    북한에 의한 연평도 포격 사건이 있던 지난해 11월 23일, 연평도에서 근무하던 최주호 예비역 해병병장은 세가지 소중한 것들을 잃었다. 하나는 함께 생활해온 전우이자 해병 1088기 故 서정우 하사. 그리고 다른 하...
    Date2011.05.24 Views2477
    Read More
  15. 해병대 장륜식준전차의 도입필요

    &lt;자주국방네트워크 독야청청님 게시글&gt; 며칠 전 해군과 해병대의 연대급 상륙훈련이 있었습니다. 함정과 항공기, 그리고 전차와 상륙장갑차 등이 동원되었는데요. 많은 사람들이 아쉬워 하는 것 중 하나는 상륙작전 ...
    Date2011.05.23 Views354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37 Next
/ 37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