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071.jpg

김태준
한반도 안보문제연구소장

 

 손자는 아군의 실상을 정확히 파악해 전쟁을 준비하는 오사(五事 : 道天地將法)를 제시했다. 이중에서 지(地)는 지리(地利)에 관한 방책을 제공한다. 좁은 수로라는 지리적 이점을 잘 활용한 전략가가 이순신 장군이다. 서해 5도는 우리가 보복시, 최근접 거리에서 공격이 가능하기에 북한의 목을 겨누는 비수에 해당하지만 방어시에는 북한 공격을 가장 먼저 받는 경보기지다.

그래서 남북한 모두 공격과 방어시 반드시 고려할 지점이 서해 5도다. 전략적 가치를 인식한 북한이 서해 5도를 지속적으로 공격하고 있지만 우리는 전략가치를 활용하지 못했다.

전략적 운용 관점에 따라 서해 5도는 북한 전력 분산을 강요하면서 도발을 억제할 수 있는 전략도서다. 그러지 못할 경우에는 북한 공격을 몸으로 막는 표적이 될 뿐이다.

 북한은 국지도발을 선호한다. 전면전으로 가면 절대권력을 포기해야 할 상황인데 독재자가 그 좋은 절대권력을 포기하게 될 최악의 시나리오를 택하겠는가. 굳건한 한미동맹이 존재하고 한국의 군사력도 만만치 않다. 중국도 전면전을 꺼리고 패륜아로 낙인찍힌 북한이 국제사회에 발붙일 여지도 없다. 그동안 북한은 국지도발을 통해 위기를 조장하면서 남한을 겁쟁이로 만들 치킨게임을 즐겼다.

 앞으로도 북한은 3대세습 안착과 내부체제 단속을 위해 긴장이 필요하며 국론을 분열시키기 위해 종북세력의 이간책도 활개를 칠 것이다. 그래서 북한이 왜 국지도발만을 일삼는지에 대한 북한 전략을 깊이 헤아릴 필요가 있다.

 해병대의 전략적 가치는 상륙돌격이다. 기습남침을 통해 다 이겨 놓은 한국전쟁에서 김일성이 통한의 눈물을 흘리며 패주한 원인이 인천상륙작전이다. 그래서 북한은 이후부터 미군 철수를 주장했고 지금도 해병대의 서해도서 배치에 부담을 느끼고 있다. 지금 우리가 고민해야 할 것은 북한의 심장을 찌를 수 있는 서해도서와 해병대를 동시에 그리고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전략이다. 우리가 충분한 해병 병력과 첨단무기를 배치해 기습상륙과 북한 중심부에 타격할 수 있다면, 북한은 엄청난 방어 부담을 안게 될 것이다. 이것은 우리가 궁극적으로 북한의 도발을 방지하는 억제전략의 시발점이 될 것이다.

 우리 국민은 북한에 대한 강경대응을 주문하지만 전쟁은 싫어하는 이중성을 보인다. 한국안보가 흔들리는 기로의 순간이기에 국가지도자의 용기와 신념이 필요하다. 자유와 평화는 거저 얻어지는 것이 아니다. 국가 이미지는 한순간에 형성되지 않기에 이스라엘은 “눈에는 눈 이에는 이”라는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 상당한 희생을 감수했다. 미국도 제2차 세계대전 시 진주만 공격과 9·11테러를 당하자 즉각 보복을 감행했다.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것은 국가의 책무다. 이제 우리에겐 아픔을 견딜 수 있는 용기와 적당히 타협하는 유혹에 흔들리지 않는 굳건한 신념이 필요하다.

<tjkim416@hanmail.net>



  1. 이제부터는 해병대를 사랑으로 품어주자

    이세영 건양대학교 국방공무원학과 교수 지난달 4일 우리들은 강화도에서 들려온 정말 가슴 아픈 사건을 접하게 된다. 2005년 6월에 전방부대에서 발생했던 끔찍했던 총 격사건을 잊은 지 꽤 오래되었는데 그만 금번 ...
    Date2011.08.05 Views2884
    Read More
  2. 이젠 조국이 그들을 지켜야 한다

    시론 - 이젠 조국이 그들을 지켜야 한다 / 국방일보 2011.7.27 신원배 (예)해병대소장 / 대한민국재향군인회 사무총장 # 지금으로부터 58년 전인 1953년 7월 23일, 유엔군 대표 윌리엄 해리슨 중장과 북한군 대표 남...
    Date2011.07.27 Views2649
    Read More
  3. No Image

    다시 태어나는 해병대의 모습을 보이길

    &lt;대한매일신문 홍성봉의 是是非非&gt; 홍성봉 편집국장 귀신도 잡는다는 우리나라의 해병대가 구타와 폭언 등 후진적인 군기문화를 퇴출시키기 위해 최근 발생한 해병 2사단 총기난사 사건을 계기로 ‘병영문화 혁신 100...
    Date2011.07.25 Views2663
    Read More
  4. "젊은 해병을 명예롭게 대우 안하면 戰場 선봉에 설 수 없다"

    해병대 사령부 병영문화 혁신 대토론회 각계 200여명 참석 - 金국방 &quot;구타는 식민 잔재&quot;… 현역 부사관 &quot;期數는 악습&quot; 어떤 대안이 논의됐나 - 가혹행위 땐 붉은명찰 떼고 해당 부대는 해체, 재창설 &lt;조선일보 유용원...
    Date2011.07.24 Views3665
    Read More
  5. No Image

    해병대와 개병대의 차이 -오시영의 세상의 창

    오시영 숭실대 법대학장/변호사/시인 우리는 해병대와 관련한 몇 가지 유행어를 알고 있다. 그 중 하나가 “한 번 해병은 영원한 해병”이라든지, “해병대는 개병대다!”라는 말이다. 앞의 말은 해병대의 용감성과 의리,...
    Date2011.07.22 Views2392
    Read More
  6. 해병대 공격하는 좌파진영 "해병대를 모욕하지 말라"

    해병대 공격하는 좌파진영 &quot;해병대를 모욕하지 말라&quot; 해병대 군기사고의 원인은 ‘전략기동군’에게 육군 임무 맡긴 때문 지난 4일 강화도 해병 2사단 해안경계소초에서 총기사고가 벌어졌다. 이로 인해 해병대의 관행...
    Date2011.07.20 Views2999
    Read More
  7. 해병대에서 빨간 명찰을 뗀다는 것은

    [편집자에게] 해병대에서 빨간 명찰을 뗀다는 것은 강신길 한국해양수산연수원장·해병대 예비역 준장 요즘 &#039;귀신 잡는 해병대&#039;가 &#039;전우 잡는 해병대&#039;가 되었다는 언론의 질책에 해병대 예비역 장성의 일원으로 몸 둘 ...
    Date2011.07.20 Views3946
    Read More
  8. No Image

    동성애자까지 나서 해병대를 모욕하지 말라

    [기자수첩] 해병대를 공격하는 좌파진영 ‘자칭 군인권단체’, 해병대 사고 조사에 끼워 달라 주장 해병대 군기사고의 원인은 ‘전략기동군’에게 육군 임무 맡긴 때문 좌파 진영, 盧정권 시절 &#039;병영문화개선위원회&#039; 실패...
    Date2011.07.19 Views2345
    Read More
  9. “그래도 용맹 해병대는 사랑 받아야 한다!”

    해병대를 위한 변명 그리고 고언 지난 4일 강화도 해병부대에서 가혹행위로 인해 김 모 상병이 총기를 난사해 4명의 해병대원이 목숨을 잃었다. 불과 일주일만인 10일 포항의 해병대 1사단에서 정모 일병이 가혹행위...
    Date2011.07.19 Views2202
    Read More
  10. 상륙작전에 정통한 장교로 첫걸음

    김규태 소위 / 해군5전단 생도생활을 마치고 해군 장교로서 실무에 배치되자마자 2011년 연대급 합동상륙훈련 상황장교로 파견을 가게 됐다. 상륙작전이라고는 생도 시절 군사학 과목으로 잠깐, 그리고 초군반 성분작...
    Date2011.07.17 Views4043
    Read More
  11. 황석영 작가가 해병대 후배들에게…다시 전우를 생각한다

    &lt;서울신문 7/16 8면&gt; 요즈음 해병대에서 일어난 몇 차례의 군기 사고에 대하여 너무도 뻔하고 상투적인 여론이 들끓는 것을 보며 착잡한 마음을 금할 수가 없다. 나는 한국의 젊은이라면 누구나 겪어야 하는 병역의 ...
    Date2011.07.17 Views3624
    Read More
  12. 진화의 시계가 정지된 해병대 / 김종대

    김종대 &lt;디앤디포커스&gt; 편집장 생물이 유전자를 통해 자신을 복제하듯이 인간 집단도 자신의 문화를 후대로 전승한다. 이러한 집단의 유전자를 사회생물학에서는 ‘밈’(Meme)이라고 한다. 이를 통해 다른 집단과 구별...
    Date2011.07.17 Views2822
    Read More
  13. No Image

    해병대 때리는 언론을 네티즌이 때린다

    몽상한 문사들의 횡포에 우직한 무사들 반발 방송의 해병대 죽이기가 집요하게 반복되는 게 아닌가 의심되는 가운데 네티즌들은 반송에 비판적이다. 14일 &quot;유낙준 해병대사령관은 12일 김관진 국방부 장관을 만나 ‘책...
    Date2011.07.16 Views4916
    Read More
  14. [설왕설래] 해병대

    無敵海兵(무적해병)’, 이승만 초대 대통령이 최초로 써준 휘호다. 6·25전쟁이 한창이던 1951년 6월 해병 제1연대가 17일 만에 강원도 양구의 도솔산을 점령한 공로다. 이때부터 해병은 무적해병으로 통했다. ‘귀신 잡...
    Date2011.07.14 Views2806
    Read More
  15. 강한 훈련으로 무적해병의 명성을/신인균 자주국방네트워크 대표

    &lt;신인균 자주국방네트워크 대표&gt; 지난 한주 해병2사단 총기사건으로 온 나라가 충격에 빠졌다.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의 낭보가 아니었더라면 며칠 더 뉴스의 앞머리를 장식했을지 모른다. 동료 전우 4명의 목숨을 앗...
    Date2011.07.12 Views481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37 Next
/ 37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