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263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도솔산에 핀 철쭉꽃

 --- 도솔산 격전지를 찾아서 ---

      임종린(제20대 해병대사령관, 시인)

 

1.

눈 보라 맞으며

춘풍따라 피어난 철쭉꽃

슬픔과 두려움 안은 채

사연도 많은 봉우리마다

붉게 덮혔는데

 

도솔산에 핀 철쭉꽃은

 

피와 땀과 눈물로 얼룩진

해병대 용사들이

조국을 목 놓아 불렀던 절규(絶叫)처럼

호국에 나선 단심(丹心)의 선혈(鮮血)만큼이나

붉은 것 같다.

 

눈물..., 고인 눈물로도 씻을 수가 없었던

반세기의 한(恨) 맺힌 긴 긴 세월을

나는 어쩔 수 없이

뿌리 뽑힌 영혼 속에 떨면서

오늘도 살아 있는 잘못을 범하고 있다.

 

그러나

먼 길따라 걸어온 이 아픔은

오늘을 사는 우리에게

넉넉한 기쁨을 주지 않지만

 

이 산야(山野)에

그대가 없었다면

누가

이 아픔의 한(恨)을 달래며

이렇게도 값진 전통과 빛나는 역사를

우리 해병대를 위해

새겨 주었겠나.

 

2.

지루한 밤의 어둠이 걷히고

밝아오는 산등성이에서

생명체(生命體)들이 하나, 둘

기지개를 펴는 이른 아침

 

따사로운 햇살을 받으며

싱그러운 바람 불어와도

떨어져 버리는

그 짧고 덧없는

철쭉 꽃잎에 맺힌 이슬들....

 

사라져 가는 순간적인 세월의 공간을

감동(感動)할 줄 아는 자만이

역사와 가장 밀접하게 교감(交感)할 수 있는

선택의 자유를 가진다.

 

그러나,

눈으로 볼 수 있는

광경을 기록할 뿐

그 순간의 절박했던

느낌을 간직하지는 못한다.

 

왜 그럴까?

 

우리는 누구나

마음이 밝은 날에만

좋은 사물(事物)을 볼 수 있고,

새로운 전통과 역사를 창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시 이어지는

봉우리에서 봉우리로

전운(戰雲)이 감돌던 전선의 밤은 밝았고

혈흔(血痕)이 낭자(狼藉)한 싸움터에서

전승(戰勝)의 기세(氣勢)를 잡았지만

아직도 아쉬움은 남아 있다.

 

그래서,

반세기 아픈 역사를 잊지 않으려

피어 있는 철쭉꽃은

도솔산을 붉게 물 들이고 있구나.

 

3.

철쭉꽃 향기 풍기는

도솔산 산등성이

푸르름 우거진 숲 속에서

뻐꾹새가 울어댑니다.

한없이 푸른 하늘 아래

님들의 고귀한 희생이

메아리되어 날아옵니다.

 

나는,

지금도 눈물 흘리며

철쭉꽃으로 피어 피를 토(吐)하고 있는

아픈 역사의 상흔(傷痕)을 빨갛게 충혈(充血)된 눈으로

쳐다 보고 있습니다.

 

올해도 어김없이 찾아온

철쭉꽃이 핀 이 날에

조용히 눈 감고

반세기의 시련(試鍊)과

역경(逆境)을 이겨낸

님들의 침묵 앞에 고개숙입니다.

 

"아- 도솔산, 높은 봉(峰)!

해병대 쌓아올린 승리의 산

오늘도 젊은 피, 불길을 뿝는다."

 

이젠 제발,

우리가 흘린 피와 땀과 눈물이

헛되지 않기를....

 

다시는 이 땅에, 다시는 우리에게

동족상잔(同族相殘)의 피 비린내 나는

전쟁은 있어서는 안됩니다.

 

출전 : <월간 국방119> 2000년 6월호, p28~30



  1. 이제부터는 해병대를 사랑으로 품어주자

    이세영 건양대학교 국방공무원학과 교수 지난달 4일 우리들은 강화도에서 들려온 정말 가슴 아픈 사건을 접하게 된다. 2005년 6월에 전방부대에서 발생했던 끔찍했던 총 격사건을 잊은 지 꽤 오래되었는데 그만 금번 ...
    Date2011.08.05 Views2884
    Read More
  2. 이젠 조국이 그들을 지켜야 한다

    시론 - 이젠 조국이 그들을 지켜야 한다 / 국방일보 2011.7.27 신원배 (예)해병대소장 / 대한민국재향군인회 사무총장 # 지금으로부터 58년 전인 1953년 7월 23일, 유엔군 대표 윌리엄 해리슨 중장과 북한군 대표 남...
    Date2011.07.27 Views2649
    Read More
  3. No Image

    다시 태어나는 해병대의 모습을 보이길

    &lt;대한매일신문 홍성봉의 是是非非&gt; 홍성봉 편집국장 귀신도 잡는다는 우리나라의 해병대가 구타와 폭언 등 후진적인 군기문화를 퇴출시키기 위해 최근 발생한 해병 2사단 총기난사 사건을 계기로 ‘병영문화 혁신 100...
    Date2011.07.25 Views2663
    Read More
  4. "젊은 해병을 명예롭게 대우 안하면 戰場 선봉에 설 수 없다"

    해병대 사령부 병영문화 혁신 대토론회 각계 200여명 참석 - 金국방 &quot;구타는 식민 잔재&quot;… 현역 부사관 &quot;期數는 악습&quot; 어떤 대안이 논의됐나 - 가혹행위 땐 붉은명찰 떼고 해당 부대는 해체, 재창설 &lt;조선일보 유용원...
    Date2011.07.24 Views3665
    Read More
  5. No Image

    해병대와 개병대의 차이 -오시영의 세상의 창

    오시영 숭실대 법대학장/변호사/시인 우리는 해병대와 관련한 몇 가지 유행어를 알고 있다. 그 중 하나가 “한 번 해병은 영원한 해병”이라든지, “해병대는 개병대다!”라는 말이다. 앞의 말은 해병대의 용감성과 의리,...
    Date2011.07.22 Views2392
    Read More
  6. 해병대 공격하는 좌파진영 "해병대를 모욕하지 말라"

    해병대 공격하는 좌파진영 &quot;해병대를 모욕하지 말라&quot; 해병대 군기사고의 원인은 ‘전략기동군’에게 육군 임무 맡긴 때문 지난 4일 강화도 해병 2사단 해안경계소초에서 총기사고가 벌어졌다. 이로 인해 해병대의 관행...
    Date2011.07.20 Views2999
    Read More
  7. 해병대에서 빨간 명찰을 뗀다는 것은

    [편집자에게] 해병대에서 빨간 명찰을 뗀다는 것은 강신길 한국해양수산연수원장·해병대 예비역 준장 요즘 &#039;귀신 잡는 해병대&#039;가 &#039;전우 잡는 해병대&#039;가 되었다는 언론의 질책에 해병대 예비역 장성의 일원으로 몸 둘 ...
    Date2011.07.20 Views3946
    Read More
  8. No Image

    동성애자까지 나서 해병대를 모욕하지 말라

    [기자수첩] 해병대를 공격하는 좌파진영 ‘자칭 군인권단체’, 해병대 사고 조사에 끼워 달라 주장 해병대 군기사고의 원인은 ‘전략기동군’에게 육군 임무 맡긴 때문 좌파 진영, 盧정권 시절 &#039;병영문화개선위원회&#039; 실패...
    Date2011.07.19 Views2345
    Read More
  9. “그래도 용맹 해병대는 사랑 받아야 한다!”

    해병대를 위한 변명 그리고 고언 지난 4일 강화도 해병부대에서 가혹행위로 인해 김 모 상병이 총기를 난사해 4명의 해병대원이 목숨을 잃었다. 불과 일주일만인 10일 포항의 해병대 1사단에서 정모 일병이 가혹행위...
    Date2011.07.19 Views2202
    Read More
  10. 상륙작전에 정통한 장교로 첫걸음

    김규태 소위 / 해군5전단 생도생활을 마치고 해군 장교로서 실무에 배치되자마자 2011년 연대급 합동상륙훈련 상황장교로 파견을 가게 됐다. 상륙작전이라고는 생도 시절 군사학 과목으로 잠깐, 그리고 초군반 성분작...
    Date2011.07.17 Views4043
    Read More
  11. 황석영 작가가 해병대 후배들에게…다시 전우를 생각한다

    &lt;서울신문 7/16 8면&gt; 요즈음 해병대에서 일어난 몇 차례의 군기 사고에 대하여 너무도 뻔하고 상투적인 여론이 들끓는 것을 보며 착잡한 마음을 금할 수가 없다. 나는 한국의 젊은이라면 누구나 겪어야 하는 병역의 ...
    Date2011.07.17 Views3624
    Read More
  12. 진화의 시계가 정지된 해병대 / 김종대

    김종대 &lt;디앤디포커스&gt; 편집장 생물이 유전자를 통해 자신을 복제하듯이 인간 집단도 자신의 문화를 후대로 전승한다. 이러한 집단의 유전자를 사회생물학에서는 ‘밈’(Meme)이라고 한다. 이를 통해 다른 집단과 구별...
    Date2011.07.17 Views2822
    Read More
  13. No Image

    해병대 때리는 언론을 네티즌이 때린다

    몽상한 문사들의 횡포에 우직한 무사들 반발 방송의 해병대 죽이기가 집요하게 반복되는 게 아닌가 의심되는 가운데 네티즌들은 반송에 비판적이다. 14일 &quot;유낙준 해병대사령관은 12일 김관진 국방부 장관을 만나 ‘책...
    Date2011.07.16 Views4916
    Read More
  14. [설왕설래] 해병대

    無敵海兵(무적해병)’, 이승만 초대 대통령이 최초로 써준 휘호다. 6·25전쟁이 한창이던 1951년 6월 해병 제1연대가 17일 만에 강원도 양구의 도솔산을 점령한 공로다. 이때부터 해병은 무적해병으로 통했다. ‘귀신 잡...
    Date2011.07.14 Views2806
    Read More
  15. 강한 훈련으로 무적해병의 명성을/신인균 자주국방네트워크 대표

    &lt;신인균 자주국방네트워크 대표&gt; 지난 한주 해병2사단 총기사건으로 온 나라가 충격에 빠졌다.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의 낭보가 아니었더라면 며칠 더 뉴스의 앞머리를 장식했을지 모른다. 동료 전우 4명의 목숨을 앗...
    Date2011.07.12 Views481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37 Next
/ 37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