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410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해병대여 영원하라!

장국진(예비역 해병소령, 시인)

 

지금 우리는 대한민국 해병대임을
자랑한다.

세계 어느곳 어느 모임에서나
우리는 떳떳하게 가슴을 펴며
명예스럽게 말할 수 있다.
"나는 대한민국 해병대"라고

1949년 4월 15일
덕산비행장에서 태어난 해병대는
전장에서 원수들과 싸우며 피흘리며
죽어가며 성장했다.
참으로 해병대의 연병장은
적과 우리들의 시신을 넘고 넘는 치열한
싸움터였다.

한라산 기슭, 진동리벌에
인천상륙작전과 서부전선
삼천리반도 남북한 가는 곳마다
이름모를 골짜기,
그리고 저 멀리 베트남 수만리 이역땅
짜빈동 전투에서
어머니를 부르며
사랑하는 아내의 이름을 부르며
애련한 소녀의 흐려가는 모습을 그리면서
쓰러져 간
돌아오지 않는 전우들의 피와 충혼으로 하여
꽃다운 젊은이들의 피로써 얼룩진
해병대 전투사를 통하여
해병대는 영광스러울 수 있었다.

돌아오지 않는 해병대원,
그 숱한 돌아오지 않는 해병대원들이 있었기에
오늘 우리 모두는 대한민국 해병대임을
자부하며
한번 해병대원이면 영원한 해병대원임을 다지고
해병대의 앞날을 축복할 수 있다.

소대장의 가슴에 머리를 파묻고
그렇게 애처롭게 죽어간
어린 전령의 원수를,
또 소년병을 위해 대신 죽어간 분대장의 원수를 갚기 위해
우리들은 서로 목숨을 바쳐 서로 분신하는
전우애로 뭉쳤었고
해병대의 군기, 우리들의 명예스러운
깃발을 위해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고
오직 전진하며 전진하며 우리들은
돌격하였었다.

전우여 전우들이여
우리 지난 날
조국을 위해 싸울 때 하나되어
해병대의 깃발 아래
피로써 맺어졌듯
오늘도
그리고 내일도
해병대원으로서 하나가 되어
"우리는 대한민국 해병대"
"한번 해병대원은 영원한 해병대원"
"대한민국 해병대 만세"라고,
소리높여 자랑하자.



  1. 이제부터는 해병대를 사랑으로 품어주자

    이세영 건양대학교 국방공무원학과 교수 지난달 4일 우리들은 강화도에서 들려온 정말 가슴 아픈 사건을 접하게 된다. 2005년 6월에 전방부대에서 발생했던 끔찍했던 총 격사건을 잊은 지 꽤 오래되었는데 그만 금번 ...
    Date2011.08.05 Views2884
    Read More
  2. 이젠 조국이 그들을 지켜야 한다

    시론 - 이젠 조국이 그들을 지켜야 한다 / 국방일보 2011.7.27 신원배 (예)해병대소장 / 대한민국재향군인회 사무총장 # 지금으로부터 58년 전인 1953년 7월 23일, 유엔군 대표 윌리엄 해리슨 중장과 북한군 대표 남...
    Date2011.07.27 Views2649
    Read More
  3. No Image

    다시 태어나는 해병대의 모습을 보이길

    <대한매일신문 홍성봉의 是是非非> 홍성봉 편집국장 귀신도 잡는다는 우리나라의 해병대가 구타와 폭언 등 후진적인 군기문화를 퇴출시키기 위해 최근 발생한 해병 2사단 총기난사 사건을 계기로 ‘병영문화 혁신 100...
    Date2011.07.25 Views2663
    Read More
  4. "젊은 해병을 명예롭게 대우 안하면 戰場 선봉에 설 수 없다"

    해병대 사령부 병영문화 혁신 대토론회 각계 200여명 참석 - 金국방 "구타는 식민 잔재"… 현역 부사관 "期數는 악습" 어떤 대안이 논의됐나 - 가혹행위 땐 붉은명찰 떼고 해당 부대는 해체, 재창설 <조선일보 유용원...
    Date2011.07.24 Views3665
    Read More
  5. No Image

    해병대와 개병대의 차이 -오시영의 세상의 창

    오시영 숭실대 법대학장/변호사/시인 우리는 해병대와 관련한 몇 가지 유행어를 알고 있다. 그 중 하나가 “한 번 해병은 영원한 해병”이라든지, “해병대는 개병대다!”라는 말이다. 앞의 말은 해병대의 용감성과 의리,...
    Date2011.07.22 Views2392
    Read More
  6. 해병대 공격하는 좌파진영 "해병대를 모욕하지 말라"

    해병대 공격하는 좌파진영 "해병대를 모욕하지 말라" 해병대 군기사고의 원인은 ‘전략기동군’에게 육군 임무 맡긴 때문 지난 4일 강화도 해병 2사단 해안경계소초에서 총기사고가 벌어졌다. 이로 인해 해병대의 관행...
    Date2011.07.20 Views2999
    Read More
  7. 해병대에서 빨간 명찰을 뗀다는 것은

    [편집자에게] 해병대에서 빨간 명찰을 뗀다는 것은 강신길 한국해양수산연수원장·해병대 예비역 준장 요즘 '귀신 잡는 해병대'가 '전우 잡는 해병대'가 되었다는 언론의 질책에 해병대 예비역 장성의 일원으로 몸 둘 ...
    Date2011.07.20 Views3946
    Read More
  8. No Image

    동성애자까지 나서 해병대를 모욕하지 말라

    [기자수첩] 해병대를 공격하는 좌파진영 ‘자칭 군인권단체’, 해병대 사고 조사에 끼워 달라 주장 해병대 군기사고의 원인은 ‘전략기동군’에게 육군 임무 맡긴 때문 좌파 진영, 盧정권 시절 '병영문화개선위원회' 실패...
    Date2011.07.19 Views2345
    Read More
  9. “그래도 용맹 해병대는 사랑 받아야 한다!”

    해병대를 위한 변명 그리고 고언 지난 4일 강화도 해병부대에서 가혹행위로 인해 김 모 상병이 총기를 난사해 4명의 해병대원이 목숨을 잃었다. 불과 일주일만인 10일 포항의 해병대 1사단에서 정모 일병이 가혹행위...
    Date2011.07.19 Views2202
    Read More
  10. 상륙작전에 정통한 장교로 첫걸음

    김규태 소위 / 해군5전단 생도생활을 마치고 해군 장교로서 실무에 배치되자마자 2011년 연대급 합동상륙훈련 상황장교로 파견을 가게 됐다. 상륙작전이라고는 생도 시절 군사학 과목으로 잠깐, 그리고 초군반 성분작...
    Date2011.07.17 Views4043
    Read More
  11. 황석영 작가가 해병대 후배들에게…다시 전우를 생각한다

    <서울신문 7/16 8면> 요즈음 해병대에서 일어난 몇 차례의 군기 사고에 대하여 너무도 뻔하고 상투적인 여론이 들끓는 것을 보며 착잡한 마음을 금할 수가 없다. 나는 한국의 젊은이라면 누구나 겪어야 하는 병역의 ...
    Date2011.07.17 Views3624
    Read More
  12. 진화의 시계가 정지된 해병대 / 김종대

    김종대 <디앤디포커스> 편집장 생물이 유전자를 통해 자신을 복제하듯이 인간 집단도 자신의 문화를 후대로 전승한다. 이러한 집단의 유전자를 사회생물학에서는 ‘밈’(Meme)이라고 한다. 이를 통해 다른 집단과 구별...
    Date2011.07.17 Views2822
    Read More
  13. No Image

    해병대 때리는 언론을 네티즌이 때린다

    몽상한 문사들의 횡포에 우직한 무사들 반발 방송의 해병대 죽이기가 집요하게 반복되는 게 아닌가 의심되는 가운데 네티즌들은 반송에 비판적이다. 14일 "유낙준 해병대사령관은 12일 김관진 국방부 장관을 만나 ‘책...
    Date2011.07.16 Views4916
    Read More
  14. [설왕설래] 해병대

    無敵海兵(무적해병)’, 이승만 초대 대통령이 최초로 써준 휘호다. 6·25전쟁이 한창이던 1951년 6월 해병 제1연대가 17일 만에 강원도 양구의 도솔산을 점령한 공로다. 이때부터 해병은 무적해병으로 통했다. ‘귀신 잡...
    Date2011.07.14 Views2806
    Read More
  15. 강한 훈련으로 무적해병의 명성을/신인균 자주국방네트워크 대표

    <신인균 자주국방네트워크 대표> 지난 한주 해병2사단 총기사건으로 온 나라가 충격에 빠졌다.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의 낭보가 아니었더라면 며칠 더 뉴스의 앞머리를 장식했을지 모른다. 동료 전우 4명의 목숨을 앗...
    Date2011.07.12 Views481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37 Next
/ 37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