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맹함으로 '귀신잡는 해병'이란 닉네임을 얻은 해병대를 키워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은 가운데 해군에 소속돼 있는 해병대를 독립시켜 전력을 강화하려는 움직임이 가시화되고 있어 성사여부가 주목된다.

해병대 장교 출신의 국회 국방위원인 신학용(민주당) 의원은 국군을 육ㆍ해ㆍ공군 및 해병대 4군 체제로 개편하는 국군조직법 개정안을 금명간 국회에 제출할 예정이라고 7일 밝혔다. 이 법안은 지난 1973년 해군에 흡수된 해병대를 독립시켜 해병대사령관도 합동참모회의 구성원으로 참여토록 하는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이럴 경우 3군사령부 체제에 해병대사령관이 추가돼 군 상부구조역학관계에도 변화가 일어날 것으로 보인다.

해병대 독립은 해병대 병력의 증원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신 의원은 해병대 상비병력의 구성 비율을 상향 조정하는 것을 골자로 한 국방개혁에 관한 법률 개정안도 함께 발의한다. 현 국방개혁법은 2020년까지 유지해야 할 각 군별 구성비율을 육군 74.2%, 해군 8.2%, 공군 13%, 해병대 4.6%로 각각 정하고 있는데 개정안은 이 기간 유지할 상비병력의 각 군별 구성비율을 대통령령으로 정하되 해병대의 비율은 10.1% 이상 되도록 했다. 또 합동참모본부에 두는 해병대 군인의 수는 해ㆍ공군의 70%가 되도록 규정했다. 현행 3군 체제 하에서는 해병대를 전역해도 병적표에 해군으로 분류됐지만 이 법이 통과하면 해병대 전역자로 기록될 수 있게 된다.

해병대 독립 문제는 지난해 북한의 연평도 포격도발 이후 뜨거운 이슈로 부상했다. 해병대가 해군에 소속돼 있다 보니 국방예산 배분에서 제목소리를 내기어려워 독자적인 상륙작전 수행에 꼭 필요한 상륙함이나 공격헬기 등도 갖추지 못할 정도로 전력이 약화된 만큼, 독립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해병대공지기동상륙작전을 위한 해병대항공부대가 창설이나 독도함 해병대 관할 주장 등도 이 같은 연장선상이다.

일각에서는 서해5도는 물론, 해군 2함대와 주한미군이 주둔하는 전략 요충지인 서해 방어를 위한 해병대3사단을 창설, 아산만 일원이나 군산 인근에 주둔하도록 해야 할 것이라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신인균 자주국방네트워크 대표는 "북한군은 포항 해병 1사단의 배후습격을 우려해 14개 사단과 6개 기계화여단을 동해 해안선 수비에 투입하고 김포 강화도 해병 2사단 대응에도 막대한 전력을 쏟아붓고 있다"며 "대북 억지력이 큰 해병대를 3개 사단, 1개 여단 체제로 확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해병대는 73년 사령부가 해체되기도 하는 우여곡절 끝에 해병대는 현재 1사단, 2사단, 6여단, 연평부대 등 약 2만5000여명의 병력이 복무하고 있다. 이 중 해병 1사단은 포항에 주둔하며 전문 상륙군으로 육성되고 있어서 명실상부한 국가 전략기동부대로 불리고 있다. 김포, 강화도 등지에 주둔하고 있는 해병 2사단은 마치 육군의 전방 GOP 사단처럼 북한의 공격을 최일선에서 방어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육군과는 달리 상륙 능력을 보유한 해병대의 특성으로 인해 북한이 서울을 향한 전면 공격에 나선다고 해도 해주와 개풍지역에 주둔하는 북한군 주력들이 전력을 다해 서울로 진격할 수 없는 결정적 이유를 제공하고 있다.

< 헤럴드경제 김대우 기자@dewkim2 >



  1. 소중한 인연 그리고 해병대 

    병영문화 혁신의 생활화·신념화 해병대교육훈련단 장병 소감문 / 국방일보 2011.10.25 김영삼병장 사람이 옷깃만 스쳐도 인연이라는 말이 있다. 군대는 전국 방방곡곡에서 이름도 얼굴도 처음 보는 사람들이 모여 동...
    Date2011.10.24 Views3825
    Read More
  2. 해병대 지휘관리 개선 법안 시행 - 보도자료

    - 해군 소위가 해병소위로 임관, 해병대 사령관 명의의 전역증 발급 - 합동참모회의에 해병대 관련 사항 심의 시 해병대사령관도 구성원으로 투표권 행사 - 해병대 복무기록 정본, 38년 만에 해병대사령부로 이관 ❍ ...
    Date2011.10.14 Views3523
    Read More
  3. 헬기타고 백령도 해병대 국감장에 가보니....

    해병대사령관, 해군본부 국감 배석하다 단독국감받아 뿌듯 해병대 인사ㆍ예산 독립 강화 속 “아직은 갈 길 멀다”목소리 천안함 46용사가 심청이처럼 부활해 남북화합의 연꽃이 된다면… 4일 오전 백령도 해병대 제6여...
    Date2011.10.05 Views3296
    Read More
  4. 강한 국군 그리고 더 큰 대한민국

    김상민 이병 해병대2사단 포병연대 빨간 날만이 특별한 날처럼 여겨지는 요즘 검은 날이지만 나에겐 특별한 10월의 첫째 날을 생각해본다. 2011년 10월 1일은 건군 제63주년 대한민국 국군의 날로 6·25전쟁 당시 전쟁...
    Date2011.09.29 Views1727
    Read More
  5. 지금 우리는 무엇을 해야하나?

    해병대가 6·25전쟁, 월남전 등 수많은 전투에서 얻은 명성은 하루아침에 이뤄진 것이 아니다. 창설 이후 60년 동안 수없이 많은 역경에서도 오늘이 있기까지 우리 선배들의 부단한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하였다. 천안...
    Date2011.09.22 Views3462
    Read More
  6. 땅 속 깊은곳 잠들어 있는 영웅들을 찾아서

    그때의 젊은 병사는 오늘 시신이 되어 돌아왔다. 지금까지 아무도 찾아주지 않는 차가운 땅 속에서 불편한 자세로 누워 있었던 그 젊은병사. 그의 시신은 이 나라가 물이 흐르듯 그렇게 유지되어온 나라가 아니라고 ...
    Date2011.09.22 Views2832
    Read More
  7. 해병대 병영문화 개선과 해외파병

    한동기 해병대 중령 / 국방대학교 PKO센터 요즘처럼 해병대가 대중 매체에 자주 오르내린 적은 베트남전에서 ‘신화(神話)를 남긴 해병’의 전공을 세운 이후로는 별로 없었던 것 같다. 좋은 일로 그래야 할 텐데, 그렇...
    Date2011.09.14 Views3181
    Read More
  8. 해병대 전문작가 김환기에게 듣는 스타 현빈, 해병 김태평

    지난해 말 연평도 포격 사건을 시작으로 총기 난사 사건, 그리고 현빈의 해병대 입대까지. 근래만큼 해병대가 사람들 입에 오르내렸던 적이 없는 것 같다. 3년 동안 포항과 김포, 서해 5도를 돌며 해병대를 취재해온 ...
    Date2011.09.02 Views3576
    Read More
  9. 국민기대 부응하는 병영문화 - 공정식

    공정식 전해병대사령관님께서 국방저널 9월회에 특별기고한 글입니다. 국방저털 전자북에서 캡춰하였습니다.
    Date2011.09.01 Views2676
    Read More
  10. No Image

    인천상륙작전의 강의안 - 김현기

    인천상륙작전의 강의안 / 해병대전략연구소 김현기 序 論 1. 연구 배경 ▲ 전장에서의 기습효과의 중요성 ㅇ 전장의 흐름을 주도할 수 있는 주도권 확보에 결정적으로 기여 ㅇ 기습의 파급효과 - 물리적 효과, 심리적 ...
    Date2011.09.01 Views4786
    Read More
  11. No Image

    통영상륙작전과 한국 해병대

    &#039;한국군이 단독으로 수행한 최초의 상륙작전... 전세(戰勢)를 역전시키는 불씨를 지핀 전투&quot; &lt;코나스넷 김성만&gt; 해병대는 6.25전쟁 당시 한국군 단독 상륙작전으로‘귀신 잡는 해병’이란 신화 탄생시킨 통영상륙작전 ...
    Date2011.08.25 Views2739
    Read More
  12. 통영상륙작전의 교훈

    국방일보 기고 2011.8.16 - 엄영환 해군중령 / 해군대학 상륙작전 교관 내일(17일)은 우리 해군·해병대가 통영상륙작전을 수행한 지 61주년이 되는 날이다. 이 작전은 6·25전쟁 초기 우리 국군이 단독으로 실시한 최...
    Date2011.08.15 Views3459
    Read More
  13. 해병대는 ‘상륙기동군’이고 싶다

    7월 4일 인천 강화도에 주둔한 해병대 2사단(청룡) 예하 부대에서 한 소대원이 동료 네 명을 쏴 숨지게 하자 “소수정예를 자랑하 는 해병대에서 어떻게 이런 일이 일어날 수 있느냐”는 탄식이 터져 나왔다. 군을 안다...
    Date2011.08.14 Views3605
    Read More
  14. 통영상륙작전 - 문화일보 오후여담 / 김종호 논설위원

    &lt;문화일보 김종호 논설위원&gt; 충무공 이순신 장군이 이끈 조선 수군(水軍)의 한산도대첩(閑山島大捷)은 진주대첩·행주대첩과 함께 임진왜란의 3대 대첩으로 일컬어진다. 1592년(선조 25년) 7월8일 한산도 앞바다에서 ...
    Date2011.08.08 Views4614
    Read More
  15. 서해5도 이상없다

    안승환 이병 / 해병대6여단 지난달 12일 한미연합기동훈련을 무사히 마쳤다. 이번 훈련은 대한민국 서해 최북단 백령도에 근무하는 한국 해병대와 미국 해병대가 함께 훈련을 받으며 서로의 기술을 공유하고 파트너십...
    Date2011.08.06 Views369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37 Next
/ 37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