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전 두렵지않다!

17331.jpg

 

17336.jpg

<해병대연평부대 포7중대가 지난 23일 오후 2시 27분 155㎜ K-9 자주포 사격훈련 중 마지막 실탄을 발사하고 있다.
이 사진은 이날 오후 2시 34분 시작된 북한의 연평도 포격도발 직전 해병대연평부대 정훈·행정담당 양승호 하사가 촬영했다.>
 
실전 두렵지않다!
 

23일 북한의 연평도 포격도발로 일상적인 사격훈련이 순식간에 숨막히는 실전으로 바뀌는 긴박한 순간이 카메라에 포착됐다. 해병대 연평부대 정훈·행정담당 양승호 하사는 이날 포7중대의 정기 사격훈련 사진을 본지 보도용으로 제공하려고 카메라를 잡았다.

오후 첫 사격을 마치고 잠시 정비하는 시간에 느닷없이 포탄이 떨어지기 시작했다. 이때가 오후 2시 34분. 순간적으로 20여 발의 포격이 집중되자 이를 피해 K-9 자주포가 2시 36분 2초에 후진하는 장면이 촬영됐다.

포7중대는 포탄 파편이 튀고 장약에 불길이 번지는 상황에서도 평소 훈련을 통해 익힌 사격 절차에 따라 본능적으로 행동했다. 적 포격이 시작된 지 13분 만에 대응사격에 나서 최악의 순간에 최선의 대응을 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저작권자 ⓒ 국방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우리 해병용사들 용감하게 신속 대응했다.

 

지난 23일 해병대연평부대 포 7중대는 일과가 시작되자 구경 155㎜ K-9 자주포 사격훈련을 준비하기 시작했다. 연평도와 백령도 등 서북지역 도서 부대들은 전투준비태세를 확고히 유지하기 위해 매달 한 번씩 사격훈련을 실시토록 계획돼 있다. 이날 사격훈련은 실사격으로 이같이 정례적이고 일상적인 것이었다.

 중대의 사격은 오전 10시 15분부터 시작됐다. 방향은 남서쪽으로 잡았다. 오전이 지나고 오후 일과에 들어선 뒤 첫 포상 사격을 끝냈다. 잠시의 정비 시간을 가졌다. 바로 이때 느닷없이 포탄이 훈련지역으로 떨어지기 시작했다. 이때가 오후 2시 34분.

 중대장은 장병들의 생존성을 보장하기 위해 내부포상으로 대피를 지시했다. 그리고 곧바로 상급 부대에 보고했다. 이 보고를 받은 국방부와 합동참모본부는 즉각 위기관리체제에 돌입했다. 오후 2시 35분. 해군2함대는 이때 곧바로 북측에 대응사격 경고 통신을 보냈다.

 하지만 경고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포격은 지속됐다. 포탄은 중대가 훈련하는 포상에만 떨어진 것이 아니었다. 수많은 포탄이 집중적으로, 그리고 민가쪽, 해안 등 넓게 탄착했다. 중대의 경우 1포상과 5포상이 직접 피격됐다. 인근에도 다수의 포탄이 떨어졌다. 포탄 낙하가 어느 정도 소강상태에 접어들자 중대장은 장병들에게 자주포를 외부포상으로 전개할 것을 지시했다. 내부포상에서는 적이 포격하는 황해도 강녕군 무도 포진지로 대응사격을 가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즈음 적 포격도 멈췄다. 오후 2시 46분이었다. 이때까지 몇 발이 떨어졌을까. 떨어진 포탄은 후에 약 150발로 추정됐다. 포 중대에 20여 발이 떨어지고, 90여 발이 해상에 낙탄한 것으로 보였다. 나머지는 민가 지역과 산야 지역. 전시에도 민간인 지역에 대한 포격이 엄격히 금지돼 있다. 하지만 북한의 포격은 이처럼 비인도적이고 무차별적이었다.

 외부포상으로 나간 포 7중대는 대응사격을 시작했다. 적의 무도 포진지를 향했다. 오후 2시 47분. 적 포격이 시작된 지 13분, 멈춘 지 단 1분이 지난 시점이다. 적의 낙탄 등으로 인해 2문의 자주포는 사격이 어려웠지만 나머지 포로 오후 3시 15분까지 50발의 포탄을 적진으로 쏘았다.

일반적으로 대응사격은 ‘유사 화기로 2배’를 말하곤 한다. 그때 적이 쏜 포탄량은 얼마나 된다고 판단했을까. 사실 포탄 낙하 상황에서 그 포탄 수를 정확히 센다는 것은 무척 어려운 일이다. 지휘관과 부사관 등의 많은 경험과 통찰력으로 일단 판단할 수밖에 없다.

 북한군은 강녕군 개머리 포진지에서 재차 사격을 가해 왔다. 오후 3시 12분. 연평부대 주둔지와 레이더사이트 일대로 20여 발. 연평부대 포 7중대는 적탄이 떨어지는 중이던 3시 25분부터 또다시 대응사격을 했다. 오후 3시 41분까지 개머리 포진지를 향해 30발을 발사했다.

 이날 적의 기습적인 포격도발 상황을 맞아 대응사격까지 중대의 전투행동은 ‘정확하고 능숙하며 빨랐다’는 평가. 하지만 K-9 자주포의 경우, 사격자동화시스템을 갖추고 있다는데 더 빠르게 대응할 수는 없었을까. 사격제원이란 것은 컴퓨터에 지리 좌표값·표고값 등만 입력하면 즉각 출력되는 것이고, 버튼 하나만 누르면 자주포로 이 내용이 바로 전송되므로 숙달된 부대라면 사격제원 산출에서 사격까지 1분 내에 실시할 수 있지 않을까. 말인즉 옳긴 하다. 모든 포병은 사격할 표적이 획득되면, 화포가 있는 진지와 표적지역 간의 상대적인 거리를 계산해서 사격지휘소에서 사격제원을 산출한다. 이어서 산출한 제원을 각 자주포에 전달하면 즉시 사격을 시작할 수 있다. 그래서 K-9의 경우 정지한 상태라면 30초, 기동 중이라면 1분이면 가능하다.

 포병 관계자들은 ‘이때의 상황이 어떠냐’가 전제된다고 한다. 적 포탄 낙하 시에는 대피해 생존성을 확보하고, 적이 포격을 멈추면 다시 전개해 사격준비를 하고 응전하는 것이 올바른 대응방법이라는 것. K-9을 운용하고 있는 한 포병대대장은 “일단 포탄낙하 상황이라면, 장비와 인원을 보호하기 위한 대피행동이 있었겠고, 그간에 사격제원을 산출하면서 안전하고 표적에 대한 사격 가능한 위치까지 자주포들이 다시 전개하는 것까지 고려하면 13~14분도 능숙한 대응이었다”고 평가했다.

 신현돈(육군소장) 합참 작전기획부장은 24일 “사격이 끝나고 1분 후에 우리가 곧바로 사격했다는 것은 상황에 위축되지 않고 정확하게 보고 사격을 하고자 노력했다는 것을 단정할 수 있다”며 “우리 해병용사들이 얼마나 용감했는지 가늠할 수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신인호 기자   idmz@dema.mil.kr


 



 

 



  1. 갯벌이든 산악이든…밤에도 낮에도 전천후 돌격작전에 한계는 없다

    해병대2사단 상륙장갑차대대가 지난 7일부터 10일까지 김포와 강화 작전지역 일대에서 후반기 야외종합훈련을 실시했다고 14일 전했다. 이번 훈련에는 해병대의 주임무인 상륙작전에 적합한 상륙장갑차(KAAV) 등 기동장비 40여 대와 200여 명의 장병이 참가했다. 훈련은 전환절차에 따른 출전...
    Date2016.11.15 Views1957
    Read More
  2. 이상훈 해병대사령관, “전승 ‘해병대 DNA’ 계승하자”

    이상훈(왼쪽) 해병대사령관이 서해 최북단 백령도 전방부대에서 장병들에게 정신무장 강화를 강조하고 있다. 해병대 제공 이상훈 해병대사령관은 9일 서해 북방한계선(NLL) 최북단에 위치한 백령도를 방문, 현장부대의 즉각 응징 태세와 불굴의 전투의지를 집중 점검했다. 이 사령관은 이날 ...
    Date2016.11.09 Views1697
    Read More
  3. 엄현성 해군참모총장, 해병대사령부 등 순시

    해병대사령부를 방문한 엄현성(오른쪽) 해군참모총장이 이상훈 해병대사령관과 군사대비태세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해군 제공 엄현성 해군참모총장은 1일 해병대사령부·서북도서방위사령부와 해병대2사단을 방문, 확고한 대비태세 유지와 실전적인 호국훈련 시행을 주문했다. 엄 총장은 이날...
    Date2016.11.09 Views1872
    Read More
  4. 번개같이 달려간 ‘팔각모 천사들’ 침착하게 교통사고 당한 시민 구조

    교통사고 현장에서 시민들의 목숨을 구한 해병대 2사단 이태웅(왼쪽) 중사(진)와 김영근(오른쪽·현재 예비역) 병장이 부대 앞에서 환하게 웃고 있다. 부대 제공 교통사고 현장에서 차에 갇힌 시민을 구조한 용감한 해병들의 미담이 뒤늦게 전해졌다. 해병대2사단에 따르면 지난달 11일 오전 ...
    Date2016.11.09 Views1145
    Read More
  5. No Image

    해병대6여단 장병들, 두 차례 진화·인명 구조

    해병대6여단 장병들이 두 번이나 민가에서 발생한 화재를 정확하고 침착하게 진화해 대형 화재를 막은 사실이 뒤늦게 전해졌다. 여단은 최근 인천광역시 옹진군 백령면에서 발생한 두 번의 화재를 장병들이 관측, 현장으로 출동해 인명을 구조했다고 24일 밝혔다. 첫 화재는 지난 9일 백령면 ...
    Date2016.11.09 Views1288
    Read More
  6. No Image

    해병대1사단, 5000여 장병 투입해 농민 도와

    최근 태풍 ‘차바’로 인한 피해복구를 위해 대대적인 복구작전을 펼쳤던 해병대1사단 장병들이 이번에는 가을철 농촌 일손돕기를 위해 두 팔을 걷어붙였다. 사단은 지난 24일부터 수확기를 맞아 일손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농민들을 위한 대민지원을 실시했다고 28일 전했다. 사단은 포...
    Date2016.11.09 Views984
    Read More
  7. No Image

    해병대교육훈련단, 낙하산포장 정비 전문요원 양성교육

    해병대교육훈련단은 지난 17일부터 ‘낙하산 포장·정비 달인’을 배출하기 위해 ‘45차 낙하산 포장·정비 전문요원 양성교육’을 진행하고 있다고 28일 전했다. 낙하산 포장·정비교육은 공수기본 교육과정을 이수한 장병들을 대상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번 교육에는 부사관 5명과 병사 15명 등 총...
    Date2016.11.09 Views1404
    Read More
  8. 해병대, 경희대와 학·군 교류협정 체결

    이상훈(왼쪽) 해병대사령관과 정진영 경희대학교 부총장이 27일 해병대사령부에서 학군 교류협정 체결식을 한 뒤 협약서를 들어 보이고 있다. 부대 제공 해병대가 간부들의 주경야독을 돕기 위해 경희대학교와 손을 맞잡았다. 해병대사령부는 27일 이상훈 사령관을 비롯한 주요 직위자와 정진...
    Date2016.11.09 Views1244
    Read More
  9. 미 태평양 해병대사령관 한국 해병대 방문

    26일 해병대사령부를 방문한 데이비드 H. 버거(중장·오른쪽) 미 태평양 해병대사령관이 이상훈(중장·왼쪽) 해병대사령관과 함께 의장사열을 하고 있다. 해병대 제공 해병대는 26일 미 태평양 해병대사령부와 지휘관·참모회의(MTM)를 추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해병대사령부는 이날 이상훈 사...
    Date2016.11.09 Views1468
    Read More
  10. 해병대 6여단, 백령도서군 주민 소득 증대 위해 10톤 구입

    해병대6여단 장병들이 11월 본격적으로 시행되는 꽃게 급식을 앞두고 시범적으로 만들어진 꽃게탕을 시식하고 있다. 부대 제공 백령도서군 주민들의 소득 증대를 위해 해병대6여단이 나섰다. 여단은 26일 부대 주둔 지역인 백령도·대청도·소청도에서 잡힌 꽃게 10톤을 구입, 다음달부터 장병 ...
    Date2016.11.09 Views1808
    Read More
  11. 여주대 총장·학군단 관계자 등 해병대 연평부대 방문 장병 격려

    해병대 연평부대는 18일 윤준호 여주대학교 총장과 여주대 군사학부·학군단 관계자들이 연평도를 방문, 최전방의 엄중한 안보 상황과 연평도 포격전의 상흔을 직접 확인했다고 밝혔다. 여주대는 지난해 국내 최초로 해병대 부사관학군단을 창설, 해병대가 요구하는 능력과 자질을 갖춘 우수한...
    Date2016.10.19 Views2596
    Read More
  12. 해병대1사단 통합 대공사격 훈련 실시

    해병대1사단이 편제장비를 총동원한 실사격 훈련으로 방공작전 수행능력을 크게 끌어올렸다. 사단은 지난 11일부터 13일까지 경북 포항시 칠포 대공사격장에서 보·포병연대 및 직할 부대 장병 300여 명을 대상으로 통합 대공사격 훈련을 실시했다고 14일 전했다. 이번 훈련에는 대공유도탄 신...
    Date2016.10.18 Views206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35 136 137 138 139 ... 258 Next
/ 258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