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에 대한 열망에도 불구하고 전쟁은 개인적인 호악(好惡) 여부와 무관하게 역사상 피할 수 없는 현실로 존재했다. 6·25전쟁 역6-1.jpg 시 한국인의 모든 삶을 일시에 혼란과 고통의 나락으로 내몬 비극이었다. 그러나 자신을 초개처럼 버린 희생이 있었기에 결코 짧지 않은 3년의 전란을 이겨낼 수 있었다.

현충일은 단 하나뿐인 자기 생명을 내놓고 조국을 위해 기꺼이 산화한 이들을 기억하며 그 숭고한 정신을 되새기는 날이다. 정부는 1956년 4월 19일 대통령령 제1145호로 현충일을 제정했다. 건국과정에서 북한의 국지적 도발과 ‘여순사건’ 및 공비토벌작전에서 전사한 장병, 6·25전쟁 중에 순직한 전몰장병의 안치를 위해 53년 9월 29일 서울 동작구 동작동 국군묘지 설치를 확정한 후 호국영령의 뜻을 기리고 보훈하는 시발점으로 삼고자 했기 때문이다.

54년 3월 국군묘지 착공이 시작된 이래 3년에 걸친 묘역 조성을 거쳐 68년 말까지 공원화가 추진됐다. 이 과정에서 정부는 55년 7월 15일 국군묘지관리소를 발족하고, 56년 4월 13일 국군묘지설치법령(군묘지령, 대통령령 제1144호)을 제정해 군묘지 운영·관리체계를 제도화했다. 그리고 이튿날 제39차 국무회의에서 현충일을 제정하고 그달 19일에 공포했다.

이로써 51년 이후 산발적으로 열리던 추념행사가 국방부 주관으로 시행됐고, 59년도부터는 행정자치부 계획에 서울시 주관으로 열렸다. 그러다가 83년 국가보훈처 주관으로 국립극장에서 현충일 기념식을 갖고 현충원에서는 참배행사를 거행했는데, 88년 이후 추념식과 참배행사 모두를 현충원에서 실시했다.

정부가 ‘6월 6일’을 현충일로 정한 것은 민족의 전통과 미풍의 의미를 살리려는 뜻이 있었다. 6·25를 상기하면서도 조상들의 풍습에 따라 24절기 중 ‘손이 없는’ 청명일과 한식일에 사초·성묘하고 망종에 제사를 지내는 유습을 고려해 그해의 망종일인 6월 6일로 택일했던 것이다.

현충일이 제정·시행되면서 동작동 국군묘지는 65년 3월 30일 국립묘지로 승격됐고, 79년 8월 29일에는 국립묘지관리소 대전분소가 창설됐다. 그 후 2005년 7월 국립묘지 명칭을 ‘국립서울현충원’으로 변경하고, 보훈의 대상도 확대해 전사 또는 순직한 군인, 군무원, 순국선열 및 국가유공자, 애국지사, 경찰관, 향토예비군은 물론 소방공무원과 의사상자까지 포함시켰다.

6·25 기념일 또한 73년 3월 정부의 기념일로 공식화됐고, 2000년 전쟁 50주년에는 유엔참전국 용사들을 초청, 감사를 표하는 국제적 보훈행사를 갖기도 했다. 전국에 산재한 전적지를 발굴하고 역사적 상징물을 건조해 702개소를 유적화했다. 지금도 호국영령들의 유해발굴사업은 계속 추진되고 있다.

그때부터 육군이 추진해 온 유해발굴 활동은 2007년 1월부터 국방부 차원의 유해발굴감식단 활동으로 격상시켜 국가 무한책임의 실현을 목표로 추진 중이다. 미귀환 국군포로의 송환도 예외가 아니다.며칠 후면 무상의 시간 안에서 ‘산 이와 죽은 이’가 만나는 현충일이다. 호국보훈의 궁극적인 의미가 평화의 선언이고 다짐이란 점에서 님들의 희생과 뜻을 기억하고 헤아리는 것이야말로 산 이들의 몫이리라.


<백기인 군사편찬연구소 선임연구원>

TAG •

  1. 특별부대와 특수부대

    1946~48년 군수·특수부대 잇따라 창설 / 국방일보 2008.03.12 건군기 육군은 조선경비대 시기에 창설한 특별부대인 보급부대와 육군 개편 이후에 설치한 특수부대인 유격부대를 운용했다. 보급부대는 1946년 7월 1일 ...
    Date2011.04.28 By운영자 Views6242
    Read More
  2. 현충일의 제정

    평화에 대한 열망에도 불구하고 전쟁은 개인적인 호악(好惡) 여부와 무관하게 역사상 피할 수 없는 현실로 존재했다. 6·25전쟁 역 시 한국인의 모든 삶을 일시에 혼란과 고통의 나락으로 내몬 비극이었다. 그러나 자...
    Date2011.04.28 By운영자 Views3792
    Read More
  3. 부사관(하사관)제도의 발전

    전문간부 양성 차원 지원제도 강화 / 국방일보 2008.12.24 국군의 부사관(당시 하사관이라 칭함) 제도는 건군기 당시부터 존재해 왔다. 현역병에서 선발해 사단 하사관교육대에서 교육 후 하사로 임관했는데, 당시 병...
    Date2011.04.28 By운영자 Views5869
    Read More
  4. No Image

    군인 등의 특수근무수당에 관한 규칙 (2011.4.1 일부개정)

    [별표_1]_특수업무수당의_지급대상_및_지급액(제3조제2항관련).hwp [별표_2]_특수업무수당의_지급대상_및_지급액(제3조제2항관련).hwp 군인 등의 특수근무수당에 관한 규칙 [시행 2011. 4. 1] [국방부령 제734호, 201...
    Date2011.04.25 By운영자 Views5153
    Read More
  5. No Image

    장군 수 2020년까지 ‘60개의 별’ 줄어들어

    [경향신문 국방개혁안 Q&A] 장군 수 2020년까지 ‘60개의 별’ 줄어들어 / 박성진 기자 ㆍ작전 지휘는… 합참의장 휘하 각 군 총장이 맡아 국방개혁 307계획이 나온 배경은 2015년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에 대비해 군 조직...
    Date2011.04.20 By운영자 Views4448
    Read More
  6. 육군항공작전사령부 창설식

    육군항공작전사령부가 1999년 4월 20일 경기도 이천에 있는 사령부에서 창설식을 갖고 있다. 육군항작사의 창설은 각 제대별 로 분산돼 있던 항공전력을 통합·운용함으로써 육군항공 조직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현존 ...
    Date2011.04.20 By운영자 Views6937
    Read More
  7. 국산 T-50훈련기 `수출 날개' 달았다

    印尼, 한국 T-50 우선협상대상 선정 첫 해외 수출 유력…총 4억 달러 규모 / 2011.04.13 글=이주형·사진=이헌구 기자 국내 개발한 초음속 항공기 T-50의 인도네시아 수출길이 열렸다. 또한 미국ㆍ러시아ㆍ영국ㆍ프랑스...
    Date2011.04.12 By운영자 Views5681
    Read More
  8. No Image

    작전 중심의 전투조직 전환 `전격 S계획'

    국방개혁 307계획 / 국방일보 2011.04.06 ‘국방개혁 307계획’은 국방개혁 기본계획의 변경을 위한 지침적 성격의 문서다. 이를 기초로 우리 군은 당면한 현존 위협과 가용 재원, 법적·제도적 쟁점들을 면밀히 고려해 ...
    Date2011.04.05 By운영자 Views4519
    Read More
  9. No Image

    軍 명령·규칙 위반 처벌조항 또 `합헌'

    헌법재판소는 군에서 발령된 명령·규칙을 따르지 않으면 징역·금고형으로 처벌하게 한 군형법 조항이 죄형법정주의에 어긋난다며 육군 보통군사법원이 제청한 위헌법률심판 사건에서 재판관 4(합헌)대 4(위헌) 의견으...
    Date2011.04.05 By운영자 Views4097
    Read More
  10. 군 복무 가산점은 최소한의 국가적 책무다

    우리 사회에서 ‘군 복무 가산점’ 제도와 관련한 문제는 여전히 뜨거운 감자처럼 사회적 논란의 중심에 있다. 국가가 젊은이들의 헌신에 보답해야 할 책임이 있다는 주장과 양성평등에 어긋난다는 주장이 첨예하게 대...
    Date2011.04.04 By운영자 Views7129
    Read More
  11. 국방개혁 논쟁 [중앙일보 찬반토론]

    국방부가 추진 중인 국방개혁안을 두고 찬반 논란이 뜨겁다. 특히 지휘구조 개편안에 대해 군 안팎의 비판 여론이 들끓는다. 오른쪽 사진은 지난 연말 국방부에서 열린 업무보고. 위쪽부터 이상우 선진화추진위원장, ...
    Date2011.04.01 By운영자 Views4528
    Read More
  12. No Image

    국군조직법 일부개정법률안

    의안원문 : 1810762_의사국 의안과_의안원문.hwp 1810762_의사국 의안과_의안원문.pdf 검토보고서 : 1810762_국방위원회_검토보고서.10762 국군조직법, 해병대 독립(정미경.신학용의원).hwp 1810762_국방위원회_검토...
    Date2011.03.30 By운영자 Views5105
    Read More
  13. No Image

    군수품관리법 일부개정법률안

    의안원문 : 1810763_의사국 의안과_의안원문.hwp 1810763_의사국 의안과_의안원문.pdf 검토보고서 : 1810763_국방위원회_검토보고서.10763 군수품관리법, 해병대 독립(신학용.정미경의원).hwp 1810763_국방위원회_검...
    Date2011.03.30 By운영자 Views4044
    Read More
  14. No Image

    국방개혁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

    의안원문 : 1810764_의사국 의안과_의안원문.hwp 1810764_의사국 의안과_의안원문.pdf 검토보고서 : 1810764_국방위원회_검토보고서.hwp 1810764_국방위원회_검토보고서.pdf 2011년 3월 3일 제298회 국회(임시회) 제1...
    Date2011.03.30 By운영자 Views1951
    Read More
  15. No Image

    군인사법 일부개정법률안

    신학용의원등 21인이 2011년 2월 10일 공동제안한 군인사법 일부개정법률안입니다. 의안원문 : 1810765_의사국 의안과_의안원문.hwp 1810765_의사국 의안과_의안원문.pdf 검토보고서 : 1810765_국방위원회_검토보고서...
    Date2011.03.30 By운영자 Views4153
    Read More
  16. No Image

    신병 면회제도 개선 - 국방부 보도자료

    - 신병훈련 수료시 가족면회 시행 - 국방부는 지난 ‘98년이후「신병 군인만들기」계획에 의거 폐지되었던 신병훈련 수료시 면회를 1차신병훈련(5주)후 영내에서 실시하기로 하였음 「신병훈련 수료시 가족면회」를 시...
    Date2011.03.30 By운영자 Views5173
    Read More
  17. 군 구조의 기본에 대한 이해<하>반성과 미래구상

    김국헌 前 국방부 정책기획관·(예)육군소장 군 구조를 설계하는 데 있어서 반드시 지켜야 할 원칙이 있다. 지휘통일의 원칙이다. 1993년에 나온 미 육군의 작전요무령은 냉전구조의 붕괴에 따른 전략환경의 붕괴와 걸...
    Date2011.03.29 By운영자 Views4631
    Read More
  18. 군 구조의 기본에 대한 이해 <중>

    군 구조에 관한 논의에 있어서 아쉬운 것은 기본적인 개념, 용어에 대한 합의가 없이 구구한 논란만 하고 있다는 것이다. 기본에 대한 공감대 없이 이뤄지는 논의는 무의미하다. 이 글은 군 구조를 논의하는 데 있어 ...
    Date2011.03.28 By운영자 Views477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 17 Next
/ 17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