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757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첨부

군번(軍番·service number·사진 위)이란 마치 일반인의 주민등록번호와 같이 군인이라면 누구에게나 부여되는 고유번호를 말인식표.jpg 하며 이것을 새겨 넣은 얇은 금속판을 인식표(認識票·identification tag·아래)라고 한다.
군번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지만 그중 로마군이 병사들에게 봉급을 지급하기 위해 군단·백인대 등의 소속을 숫자와 문자를 조합, 장부에 기록했던 것을 가장 오래된 군번의 시초로 본다.
물론 지금과 같이 병사 개개인에게 이 고유번호를 부여한 것은 아니며 단지 신상필벌과 급여 등의 행정적 편의를 위해 사용한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에 현대적 의미의 군번과는 개념에 차이가 있다.
현대적 개념의 군번은 1445년 프랑스의 샤를 7세가 상비군 부대를 창설하고 15세기 후반 근대적 개념의 군대 조직이 유럽 각지에서 등장한 이후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특히 화포의 발달과 함께 전쟁 양상이 대규모 물량을 동원한 총력전 양상을 띠고 전·사상자와 탈영병 숫자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기 시작한 17세기 이후 군번의 개념이 확대되기 시작한다.
그러나 군번의 개념이 군대 장부에서 나와 지금과 같이 널리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소지자의 계급·성명·소속 부대 등의 정보를 기록한 인식표의 확산이 있었기 때문이다.
특히 산업혁명 이후에는 군번을 새겨 넣은 인식표를 병사 개개인에게 지급, 평시에는 병사들의 신상 관리에 사용하고 전시에는 피아 식별에서 전·사상자 확인까지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기 시작했다.
미국도 군번은 1918년이 돼서야 개념이 정립·사용됐지만 인식표는 남북전쟁 이전부터 다양한 형태로 존재해 왔고 1908년부터 군에서 규격을 정해 정식으로 지급하기 시작했다.
많은 사람의 상식과 달리 전장에서 자신의 신분을 증명하는 하나의 증표로 사용된 인식표는 로마 시대 이전부터 존재해 왔지만 현대적 군번의 개념은 19세기가 돼서야 정착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국방일보>


TAG •

  1. No Image

    해병사단령(1990년)

    해병사단령 [시행 1990.10. 1] [대통령령 제13129호, 1990. 9.29, 전부개정] (기획조정관 조직관리과), 02-748-6560 제1조 (설치와 임무) ①해군에 해병사단을 둔다. ②해병사단은 상륙작전·지상작전 및 관할구역안에 ...
    Date2010.09.06 By운영자 Views5771
    Read More
  2. No Image

    해병대사령부령

    해병대사령부령 - 대통령령 제19746호(&#039;06.12.7) ※&#039;10년 해병대사령부 조직개편에 따라 직제 개정 추진 中 - 제1조(임무) 해병대사령부는 해병대의 정책·편성·교육훈련·인사·군수·작전 그 밖에 해병대의 운영에 관한 ...
    Date2010.09.06 By운영자 Views5154
    Read More
  3. No Image

    해병대사령부 직제

    해병대사령부 직제 [시행 2006.12. 7] [대통령령 제19746호, 2006.12. 7, 전부개정] 국방부(기획조정관 조직관리담당관), 02-748-6560 제1조 (임무) 해병대사령부는 해병대의 정책·편성·교육훈련·인사·군수·작전 그 ...
    Date2010.09.06 By운영자 Views5289
    Read More
  4. No Image

    국국조직법

    국군조직법 [시행 2010. 3.17] [법률 제10102호, 2010. 3.17, 일부개정] 국방부(기획조정관 조직관리과), 02-748-6560 제1장 총칙 &lt;개정 2010.3.17&gt; 제1조(목적) 이 법은 국방의 의무를 수행하기 위한 국군의 조직과 ...
    Date2010.09.06 By운영자 Views4809
    Read More
  5. No Image

    군인복무규율

    군인복무규율 [시행 2009. 9.29] [대통령령 제21750호, 2009. 9.29, 일부개정] 국방부(인사기획관실 병영정책과), 02-748-5145 제1장 총칙 제1조 (목적) 이 영은 「군인사법」 제47조의2에 따라 군인의 복무 기타 병...
    Date2010.09.06 By운영자 Views10065
    Read More
  6. [피복은 전투력이다] 특전사 피복·장구류 (상)

    특전사의 피복ㆍ장구류는 특별하다. 특수한 임무에 맞는 기능을 갖춘 이들의 특별한 피복은 특수부대라는 자긍심과 사기를 높여주는 원동력이기도 하다. [국방일보 김철환 기자 droid001@dema.kr] 군대의 패션을 선도...
    Date2010.08.31 By운영자 Views16287
    Read More
  7. 조선시대 군인들의 근무평정 결과 기록

    &lt;국방일보 2010년 8월25일자 김병륜 기자 lyuen@dema.mil.kr &gt;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에는 버스보다 더 길어 보이는 길이 10m 이상의 두루마리 문서가 하나 보관돼 있다. 문서를 보면 조선시대 경상우병영 소속 군...
    Date2010.08.25 By운영자 Views5519
    Read More
  8. 인식표, 군번줄의 유래

    군번(軍番·service number·사진 위)이란 마치 일반인의 주민등록번호와 같이 군인이라면 누구에게나 부여되는 고유번호를 말 하며 이것을 새겨 넣은 얇은 금속판을 인식표(認識票·identification tag·아래)라고 한다....
    Date2010.08.15 By운영자 Views7575
    Read More
  9. No Image

    국방부 근무지원단 의장대대

    대한민국을 대표한다. 국방부 근무지원단 의장대대 1,2부
    Date2010.08.13 By운영자 Views4552
    Read More
  10. AH-1S 코브라헬기

    육군 항공작전사령부 2008 탑헬리건선발 사격대회중 AH-1S 코브라헬기에서 로켓이 발사되고 있다. 국방일보 2008년 10월31일자
    Date2010.08.10 By운영자 Views5857
    Read More
  11. 농약살포기를 이용한 전시 제독차 대체장비

    2007년 12월 31일자 국방일보
    Date2010.08.10 By슈퍼맨 Views9050
    Read More
  12. 서울 남산에 올라간 육·해·공군·여군

    1970년 8월 6일 서울 남산에 올라간 육ㆍ해ㆍ공군 및 여군들이 서울 시내를 배경으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나름대로 멋을 부려 입은 군복이 40년이 지난 지금의 군복과 많이 다르지만 단정하고 깔끔한 모습이 인상...
    Date2010.08.06 By슈퍼맨 Views7090
    Read More
  13. 예비군 `섬뛰기' 훈련

    북한산 인근 노고산 예비군 교육훈련장에서 예비군들이 섬뛰기 훈련을 하고 있다. 통나무를 높이별로 다르게 박아놓고 통나무와 통나무 사이를 이동하는 섬뛰기는 보기에 쉬운듯 하나 몸의 균형과 적당한 담력이 조화...
    Date2010.08.05 By운영자 Views4783
    Read More
  14. 남북한의 공군무기비교 (F15K, MIG29)

    [자료출처 : 방위사업청 남북한의 주료군사무기비교]
    Date2010.08.04 By슈퍼맨 Views8913
    Read More
  15. 남북한의 해군무기비교 (구축함,잠수함)

    [자료출처 : 방위사업청 남북한의 주료군사무기비교]
    Date2010.08.04 By슈퍼맨 Views6380
    Read More
  16. 남북한의 지상무기비교 (전차와 자주포)

    [자료출처 : 방위사업청 남북한의 주료군사무기비교]
    Date2010.08.04 By슈퍼맨 Views4679
    Read More
  17. 한국군이 개발한 순항미사일 ‘현무-3C’ (한겨례21)

    베이징·도쿄도 사정권, 주변국 긴장 1990년 한-미 두 나라는 ‘한-미 미사일 각서’를 체결했다. 한국 정부가 보유할 수 있는 미사일 사거리를 180km로 제한하는 내용이었다. 탄두 중량도 500kg 이하만 개발 가능하도록...
    Date2010.08.02 By운영자 Views6111
    Read More
  18. 한미상호방위조약

    ●「한·미 상호방위조약」체결 배경 한국전쟁중지를 위한 정전협정 체결 과정에서이승만 대통령이보여준 외교적 노력은 오늘날까지 한국의 자유민주주의 발전과 경제적 번영을 뒷받침해 온 한·미 동맹관계를 낳게하였...
    Date2010.08.02 By운영자 Views422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Next
/ 17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