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오시스템 기술자들이 PVS-04K 야간투시경을 조립·생산하고 있다.

 칠흑 같은 어둠 속에서 적의 동향을 살피거나 작전을 펼쳐야 하는 장병들에게 없어서는 안 될 필수 장비 중 하나가 바로 야간투시경이다. 현재 우리 군이 주력으로 사용하는 야간투시경은 이오시스템이 업체 자체개발 사업으로 개발한 PVS-04K.

 PVS-04K 야간투시경은 국내 최초로 자체 기술로 개발된 야시장비로 국방기술품질원의 엄격한 기술시험평가 및 소요군의 운용시험평가를 통해 ‘군사용가’판정을 받은 장비다.
 PVS-04K라는 이름은 국내 독자 개발한 휴대용 가시광선 탐색장비로 2004년 개발된 것을 의미한다.
 PVS-04K는 2004년 국방기술품질원의 규격화 작업을 거쳐 2005년부터 개발업체인 이오시스템이 생산에 들어가 현재까지 약 1만여 대가 각급 부대에 납품됐다.

 한국 보병의 대표적인 야간투시경인 PVS-04K는 전술제대의 야간 전투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2006년부터 본격적인 전력화에 들어갔다.
야간에도 주간과 같이 전장을 감시할 수 있는 야시장비는 현대전에서 점차 증대하는 야간작전과 전술의 중요성 때문에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고 있다.

 그러나 초기의 야간감시 장비는 중량이 무겁고 탐지능력 또한 미흡했던 것이 사실.
이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야시장비의 개발 추세는 보다 소형ㆍ경량화되고 탐지거리를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발전해 왔다.
PVS-04K는 소형ㆍ경량화 및 탐지거리 향상의 효과와 함께 운용 시 한쪽 눈의 적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단안식으로 개발됐다.

 또 촬영장비 장착이 가능해 전장 정보 수집도 가능한 형태이며 개인화기에 장착, 야간표적지시기와 복합해 야간조준경으로 활용할 수도 있는 등 운용상 많은 장점을 갖고 있다.
영상증폭방식을 사용하는 PVS-04K 야간투시경은 달빛이나 별빛 아래서 행군·운전·근거리 관측·독도·차량정비·응급처치 등에 사용 가능하며 각종 비디오 및 디지털 카메라 등 촬영장비에 장착해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장상황에서의 효율적인 운용성 보장을 위해 상용 건전지 1개로도 운용할 수 있으며 빛이 전혀 없는 상황에서도 적외선 조사를 통한 관측이 가능하다.
이 외에도 지휘자용 3배율경을 부착하면 원거리 관측도 가능하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이오시스템 관계자는 “이전에 군에서 사용하던 개인용 양안형 야간투시경의 경우 두 눈을 모두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장비를 탈착한 후 몇 분 동안 시력을 회복하지 못하고 전투력을 상실하는 단점이 있었다”며 “이 같은 단점 때문에 시력이 계속 유지되면서도 야간 작전에서 지속적으로 전투력을 유지할 수 있는 단안형 야간투시경을 개발하게 됐다”고 개발 배경을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야시장비가 기본적으로 눈에 피로감을 안겨주고 오래 착용할 경우 시력 손상을 가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미군에서는 양안형 야간투시경을 20분 이상 착용하지 않도록 권고하고 있다”며 “이런 점을 보완하는 단안형 야간투시경은 양쪽 눈에 번갈아 착용해 사용함으로써 어떠한 제약으로부터도 자유로울 수 있다”고 말했다.

■ 기관총 조준경-사람 800m·차량 1200m 이내 다 보여

야간투시경.jpg
장지형 국방기술품질원 선임연구원이 PVS-05K 기관총 주야조준경의 성능을 평가하고 있다.
2005년 개발 완료된 PVS-05K는 2006년 초도생산 이후 현재까지 5000여 대가 군에 납품됐다. 대당 약 700여만 원에 이르는 고가의 장비다.

 PVS-05K 기관총 주야조준경은 전술제대에서 이뤄지는 수색ㆍ정찰, 매복, 공격ㆍ방어작전 등 각종 전투활동에 있어 소부대급의 전투력 향상에 기여하고 화기가 지닌 성능을 극대화시켜 주는 장비다.

 PVS-05K 기관총 주야간조준경은 4배율로 800m 이내의 사람이나 1200m 이내의 차량 관측이 가능하다.

 K-3ㆍK-4ㆍK-6 등 기관총에 설치해 조준사격을 할 수 있다.

 특히 야간에는 야간대안렌즈 조립체를 설치, 야간의 달빛이나 별빛이 목표물에 반사되는 빛을 모아 사용자의 눈으로 볼 수 있는 밝은 영상으로 증폭시킬 수 있고 주간에는 주간대안렌즈 조립체를 설치해 목표물을 4배율로 확대해 조준사격 및 관측을 가능케 하는 등 어떠한 상황에서도 정밀하고 정확하게 조준사격을 할 수 있다.


이오시스템 품질경영실장 윤영하 상무-“최고의 전투력 갖게 최고의 품질에 도전”
 “정체는 곧 퇴보로 가는 시작입니다. 이오시스템은 창의적이고 활기찬 기업문화를 발전시키면서 끊임없는 기업개선활동을 통해 고객 감동의 품질 실현에 앞장서겠습니다.”

 최고의 품질로 군이 최고의 전투력을 발휘할 수 있게 하겠다는 이오시스템 품질경영실장 윤영하(사진) 상무의 말이다.
윤 상무는 “고객 만족의 필수 요소인 가격과 품질은 기업의 과제”라며 “품질이라는 것은 만들어 놓는 것이 아니라 계속적으로 만들어가는 것으로 끊임없는 과정의 연속인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윤 상무는 “많은 기업이 그동안 품질을 확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최종 제품에만 집중시키는 품질활동을 수행해 온 것이 사실이지만 이오시스템은 품질경영혁신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전사 프로세스를 포괄적으로 재검토해 개선을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윤 상무는 “현재 연구개발 능력 평가의 국제기준인 ‘CMMI Level 3’ 획득을 추진하고 있다”며 “지속적인 프로세스의 평가와 개선을 통해 안정된 품질경영 시스템을 운영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윤 상무는 “이를 기반으로 정부가 추진하는 방위산업의 신성장동력화라는 목표에 적극적으로 부응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방산분야의 해외시장 개척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전문 기술력을 갖춘 업체들이 앞장서야 한다”고 역설했다.

 윤 상무는 “2009년 1000만 달러 수출 탑을 수상하는 등 중소기업으로서는 보기 드문 수출 성과를 내기도 했고 지난 10월에는 수출입은행이 세계시장에서도 통할 수 있는 강소기업을 골라 맞춤형 지원을 제공하는 히든챔피언 기업에 선정되기도 했다”고 말했다.

 무기체계의 눈인 광학제품을 생산하는 이오시스템은 이런 면에서 준비된 회사라는 게 윤 상무의 말.
이어 윤 상무는 “시장의 요구에 맞춰 야간투시경과 열상조준경 등을 다양하게 추가 개발, 중남미와 동남아 시장에서 그 성능을 인정받고 있다”며 “특히 K11 복합소총의 사격통제장치 개발을 통해 복합 광전자 장비 개발에도 본격적으로 나서는 등 세계시장 공략에 한층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국방일보 글ㆍ사진= 이석종 기자   seokjong@dema.mil.kr>




  1. 국군의 외출·외박·휴가의 역사

    군대에서 외출·외박·휴가는 국군 장병들에게 꿀맛 같은 재충전의 시간이다. 국군병영생활규정 제40조에서는 외출·외박 및 휴가의 목적에 대해 ‘군인으로 하여금 병영을 일시적으로 떠나 영외에서 각종 용무를 보거나 ...
    Date2010.07.04 By슈퍼맨 Views5028
    Read More
  2. 1952년 상무대명명식기념 사진첩中

    한국통신사 수집가인 강해원씨가 광주일보에 공개한 자료로서 이 사진은 당시 육군교육총감부 임선하준장이 미8군 사력관 제임스 밴 플리트장군에게 선물한 상무대명명식기념 사진첩에 수록된 자료라고 합니다. 1952...
    Date2010.07.01 By운영자 Views7096
    Read More
  3. 3軍 합동성 강화 어떻게 이룰 것인가 - 노주석

    [서울신문]혹시 ‘물오리론’을 들어보셨나요? 육군, 해군, 공군 3군의 합동성 강화를 얘기하면서 웬 뚱딴지 같은 소리냐고 하실지도 모르겠습니다만 한번 들어보시죠. “한국군이 자칫 물오리가 되자는 얘기처럼 느껴진...
    Date2010.07.01 By운영자 Views4039
    Read More
  4. 세계 최강의 K-9 자주포

    [첨단무기 개발비화]세계 최강의 K-9 자주포(Ⅷ) 신인호 국방일보 기자 1991년 10월 해군사관학교 순항훈련분대는 한국해군 사상 처음으로 인도양, 홍해, 수에즈운하를 거쳐 지중해로 들어서 유럽대륙에 발을 디뎠다. ...
    Date2010.06.28 By운영자 Views8993
    Read More
  5. 여군의 다짐

    옛 여군학교 터에 ‘여군의 다짐’비(碑) 새로 자리잡다. 2005년말 여군발전단 해단 뒤 옛 여군학교 터에 시설본부 건물을 신축, 2007년말 입주하게 됨으로써,옛 여군학교의 흔적은 역사 속에 묻히게 되었다. 1980년 건...
    Date2010.06.19 By운영자 Views5863
    Read More
  6. 여군의 탄생과 발전 역사

    여자배속장교 양성 정부 수립 후 1948년 말경 중등학교 이상의 학교에 학도호국단을 조직하고, 그들을 훈련시킬 지도교관 양성을 위해 전국 중·고·대학의 체육교사를 중심으로 단기간의 군사교육 실시 후, 소속 학교...
    Date2010.06.19 By운영자 Views8948
    Read More
  7. 초대 여군병과장 김현숙

    김현숙 초대 여군병과장 그는 누구인가? 일찍이 육상에 소질을 드러내다 한국여군의 탄생 주역인 초대 여군병과장 김현숙 님은 1915년 7월 4일 평양에서 출생하여 서문여고를 거쳐 1934년 일본 동경 체육전문학교를 ...
    Date2010.06.19 By운영자 Views5391
    Read More
  8. 회전익 무인기 Fire Scout

    우리 군은 현재 2020년을 목표로 군 구조개혁을 추진하고 있다. 군 구조개혁의 골간은 병력 위주의 양적 재래식 군사력 구조를 현대전 개념에 맞게 기술 위주의 질적첨단 군사력 구조로 전환하는 것이다. 병력을 단계...
    Date2010.06.16 By운영자 Views7468
    Read More
  9. 서해 항공모함 포커 [한국일보 강병태컬럼]

    북한의 천안함 도발에 맞서 한미 해군이 지난 주 서해에서 실시할 예정이던 연합기동훈련이 연기됐다. 이달 말이나 7월초에 한다지만, 미 항공모함 조지 워싱턴(CVN-73)이 계획대로 참가할 지가 관건이다. 중국의 강...
    Date2010.06.15 By슈퍼맨 Views4085
    Read More
  10. 지뢰지대 통로개척장비

    미크릭·포민스 -Ⅱ 활용 기동로 확보 / 2009.06.15 전투부대의 접근과 기동을 효과적으로 방해하는 무기체계로서 지뢰가 사용된다. 적이 매설한 지뢰는 발견한다 해도 제거하는 절차가 복잡하고 위험하며 상당한 시간...
    Date2010.06.12 By운영자 Views5958
    Read More
  11. 북한 ‘해상사격구역’ 선포 저의와 우리 군의 대비

    송대성 세종연구소소장 북한은 2009년 11월 대청해전 패배이후 서해 북방한계선(NLL) 인근 주요 포병기지에 서울수도권을 위협하는 방사포 수십 문을 전진 배치하였다. 그리고 2009년 12월 21일 북한 해군사령부는 “...
    Date2010.06.12 By운영자 Views1851
    Read More
  12. No Image

    한반도전쟁 시뮬레이션 해봤더니…하루만에 240만명 사상

    한반도 전쟁 시뮬레이션 해봤더니…하루만에 240만명 사상 [시사IN] 호전론자들 주장대로 전쟁을 하면 한·미 연합군이 승리한다. 그러나 ‘민족 공멸’의 피해를 피할 길이 없다. 전면전 발생 하루 만에 230여 만명이 사...
    Date2010.06.09 By운영자 Views5189
    Read More
  13. 작전계획5026, 5027, 5028, 그리고 5029은 어떤 작전계획 인가?

    작전계획5027(北과 전면전 대비 극비 군사작전계획)이 최초로 작성 될 때는 북한의 남침에 대비할 방어전략에 초점을 맞췄었다. 그러나 1998년 작성된 “5027-98”에는 북한의 도발 징후가 포착될 때 “선제타격 전략”을...
    Date2010.06.07 By운영자 Views6192
    Read More
  14. 여군의장대의 시범장면

    This set consists of photos from the War Memorial of Korea, located near United States Army Garrison Yongsan, Seoul, South Korea. In the summer, visitors to the memorial may also view an outdoor honor ...
    Date2010.06.06 By운영자 Views10730
    Read More
  15. 한국군 해외 파견현황

    파견기간 지역 파견 부대·요원 파견 인원 1965.3.10~1973.3.23 월남전 주월사령부,맹호,백마,청룡, 십자성,비둘기,백구,은마 등 8개 부대 연인원 31만2,853명 (전사 4,960명, 부상 10,962명) 1991.1.24~4.10 걸프전 ...
    Date2010.05.31 By운영자 Views4651
    Read More
  16. No Image

    군인의 월급

    군인의 봉급표 (월지급액, 단위 : 원) 계급 호봉 소장 준장 대령 중령 소령 대위 중위 소위 준위 원사 상사 중사 하사 1 3,184,200 2,997,900 2,414,000 2,138,700 1,743,500 1,379,800 1,060,700 961,600 1,270,100 ...
    Date2010.05.30 By운영자 Views4850
    Read More
  17. No Image

    한국군 작전통제권

    한국군에 대한‘작전지휘권’이 유엔군사령관에게 이양된 것은 한국전쟁이 한창이던 1 9 5 0년 7월 1 7일이었다. 당 시 이승만 대통령은 맥아더 유엔군사령관에게 보낸 서신에서 한국군에 대한 작전지휘권을“현재의 적...
    Date2010.05.28 By운영자 Views1498
    Read More
  18. 남북한 군사력비교표

    남북한 군사력비교표 (국방백서)
    Date2010.05.28 By운영자 Views575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Next
/ 17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