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1.25 18:22

위그선

조회 수 402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물의 저항없이 항공기만큼 빠르게 달리는 배 

 

배가 가장 빨리 달릴 수 있는 한계는 얼마일까? 배는 꼭 물 위에만 달릴 수밖에 없는가? 그동안 물 위를 달리는 고속함의 속력은 80~90㎞/h로 한계가 있는데 이는 배가 물에서 받는 저항을 극복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물의 저항 없이 항공기만큼, KTX보다 더 빠르게 달릴 수 있는 배가 바로 위그선(WIG Ship, Wing in Ground Effect Ship)이다.

위그선은 1960년대 구소련에서 군사용으로 비밀리에 개발됐고, 76년 미국 스파이 위성을 통해 그 실체가 세상에 알려졌다.

 위그선은 항공기가 수면을 아주 낮은 고도로 항주 시 날개 하부에 공기가 밀집돼 양력이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해면효과(Wing In Ground Effect)를 이용해 물 위를 나는 원리로, 기존의 배로는 상상하기 힘든 시속 150~500㎞/h의 고속기동을 할 수 있다.

 또 이 배는 연료비가 기존 항공기의 절반 수준이며, 수상에서 이·착수함에 따라 별도 활주로와 같은 부대시설이 필요 없고, 기존 부두시설만으로 이용이 가능하다.

엔진 고장 등 비상사태 발생 시 수면 위에 착륙이 가능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어 기존의 함정 및 항공기와는 확연히 구분되는 특성이 있다. 위그선은 해면 1~5m 높이로 저고도로 비행하기 때문에 지상이나 해상에서 레이더 탐색이 어려워 성공적인 침투작전 수행이 가능하고, 수중방사소음이 거의 발생하지 않아 적의 잠수함으로부터 탐지가 곤란해 수상함정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수한 생존성을 보유한 장점이 있다.

 함정은 어떠한 상황에서도 주어진 임무를 완수해야 하기 때문에 우수한 기동성·생존성·전투력·내항성능·조종성이 필수적으로 요구됨에 따라 위그선은 지금까지 개발된 함정과는 다른 차원에서 군 요구조건을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구소련에서 개발한 대형 위그선은 최대이륙 중량 540톤, 항속거리 1500㎞, 850명의 군 병력 수송이 가능한 함정으로 오늘날 우리나라를 비롯한 미국·일본·독일·중국·호주에서도 상용 또는 군사용으로 연구를 진행할 수 있는 모체가 됐다.

구소련은 군사용으로 위그선을 개발, 상륙함 및 유도탄함으로 실용화한 점을 고려해 볼 때 위그선이 군사용으로 입증됐다고 할 수 있다.

위그선에 대함미사일·대잠어뢰·기뢰 등의 무장을 탑재할 경우 북한이 현재 보유한 공기부양정, 고속정, 잠수함 세력에 대한 적절한 대응 전력인 미래의 함정으로 유용하게 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는 2005년부터 민간 인원수송의 목적으로 자체 개발을 착수했고, 20인용 인원수송용 위그선에 대한 실선시험을 거쳐 2011년 40~50인승 위그선 제작 시험 및 2014년에 최대 400여 명이 탈 수 있는 중·대형 위그선을 건조할 예정이다.

 우리나라 상용 위그선 개발의 성공은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고 다수의 섬 지역을 방어해야 할 지리적 조건 및 신속·정밀·전천후 작전지원이 필요한 현대의 전장 환경을 고려할 때 차세대 신개념의 함정 개발의 초석이 될 수 있다.

장거리 작전뿐만 아니라 해상에서 빠른 속도를 강점으로 한 대공·대함·대잠·상륙작전 등 다양한 작전능력 향상 측면에서 큰 활용가치가 있을 것으로 본다.

 <김범석 해군중령·국방기술품질원> 국방일보 2011.1.25일자


TAG •

  1. No Image

    해병대사령부령

    해병대사령부령 - 대통령령 제19746호('06.12.7) ※'10년 해병대사령부 조직개편에 따라 직제 개정 추진 中 - 제1조(임무) 해병대사령부는 해병대의 정책·편성·교육훈련·인사·군수·작전 그 밖에 해병대의 운영에 관한 ...
    Date2010.09.06 By운영자 Views5109
    Read More
  2. No Image

    해병대사령부 직제

    해병대사령부 직제 [시행 2006.12. 7] [대통령령 제19746호, 2006.12. 7, 전부개정] 국방부(기획조정관 조직관리담당관), 02-748-6560 제1조 (임무) 해병대사령부는 해병대의 정책·편성·교육훈련·인사·군수·작전 그 ...
    Date2010.09.06 By운영자 Views5246
    Read More
  3. No Image

    국국조직법

    국군조직법 [시행 2010. 3.17] [법률 제10102호, 2010. 3.17, 일부개정] 국방부(기획조정관 조직관리과), 02-748-6560 제1장 총칙 <개정 2010.3.17> 제1조(목적) 이 법은 국방의 의무를 수행하기 위한 국군의 조직과 ...
    Date2010.09.06 By운영자 Views4775
    Read More
  4. No Image

    군인복무규율

    군인복무규율 [시행 2009. 9.29] [대통령령 제21750호, 2009. 9.29, 일부개정] 국방부(인사기획관실 병영정책과), 02-748-5145 제1장 총칙 제1조 (목적) 이 영은 「군인사법」 제47조의2에 따라 군인의 복무 기타 병...
    Date2010.09.06 By운영자 Views10031
    Read More
  5. [피복은 전투력이다] 특전사 피복·장구류 (상)

    특전사의 피복ㆍ장구류는 특별하다. 특수한 임무에 맞는 기능을 갖춘 이들의 특별한 피복은 특수부대라는 자긍심과 사기를 높여주는 원동력이기도 하다. [국방일보 김철환 기자 droid001@dema.kr] 군대의 패션을 선도...
    Date2010.08.31 By운영자 Views16017
    Read More
  6. 조선시대 군인들의 근무평정 결과 기록

    <국방일보 2010년 8월25일자 김병륜 기자 lyuen@dema.mil.kr >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에는 버스보다 더 길어 보이는 길이 10m 이상의 두루마리 문서가 하나 보관돼 있다. 문서를 보면 조선시대 경상우병영 소속 군...
    Date2010.08.25 By운영자 Views5480
    Read More
  7. 인식표, 군번줄의 유래

    군번(軍番·service number·사진 위)이란 마치 일반인의 주민등록번호와 같이 군인이라면 누구에게나 부여되는 고유번호를 말 하며 이것을 새겨 넣은 얇은 금속판을 인식표(認識票·identification tag·아래)라고 한다....
    Date2010.08.15 By운영자 Views7515
    Read More
  8. No Image

    국방부 근무지원단 의장대대

    대한민국을 대표한다. 국방부 근무지원단 의장대대 1,2부
    Date2010.08.13 By운영자 Views4514
    Read More
  9. AH-1S 코브라헬기

    육군 항공작전사령부 2008 탑헬리건선발 사격대회중 AH-1S 코브라헬기에서 로켓이 발사되고 있다. 국방일보 2008년 10월31일자
    Date2010.08.10 By운영자 Views5809
    Read More
  10. 농약살포기를 이용한 전시 제독차 대체장비

    2007년 12월 31일자 국방일보
    Date2010.08.10 By슈퍼맨 Views9028
    Read More
  11. 서울 남산에 올라간 육·해·공군·여군

    1970년 8월 6일 서울 남산에 올라간 육ㆍ해ㆍ공군 및 여군들이 서울 시내를 배경으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나름대로 멋을 부려 입은 군복이 40년이 지난 지금의 군복과 많이 다르지만 단정하고 깔끔한 모습이 인상...
    Date2010.08.06 By슈퍼맨 Views7065
    Read More
  12. 예비군 `섬뛰기' 훈련

    북한산 인근 노고산 예비군 교육훈련장에서 예비군들이 섬뛰기 훈련을 하고 있다. 통나무를 높이별로 다르게 박아놓고 통나무와 통나무 사이를 이동하는 섬뛰기는 보기에 쉬운듯 하나 몸의 균형과 적당한 담력이 조화...
    Date2010.08.05 By운영자 Views4737
    Read More
  13. 남북한의 공군무기비교 (F15K, MIG29)

    [자료출처 : 방위사업청 남북한의 주료군사무기비교]
    Date2010.08.04 By슈퍼맨 Views8880
    Read More
  14. 남북한의 해군무기비교 (구축함,잠수함)

    [자료출처 : 방위사업청 남북한의 주료군사무기비교]
    Date2010.08.04 By슈퍼맨 Views6336
    Read More
  15. 남북한의 지상무기비교 (전차와 자주포)

    [자료출처 : 방위사업청 남북한의 주료군사무기비교]
    Date2010.08.04 By슈퍼맨 Views4633
    Read More
  16. 한국군이 개발한 순항미사일 ‘현무-3C’ (한겨례21)

    베이징·도쿄도 사정권, 주변국 긴장 1990년 한-미 두 나라는 ‘한-미 미사일 각서’를 체결했다. 한국 정부가 보유할 수 있는 미사일 사거리를 180km로 제한하는 내용이었다. 탄두 중량도 500kg 이하만 개발 가능하도록...
    Date2010.08.02 By운영자 Views6051
    Read More
  17. 한미상호방위조약

    ●「한·미 상호방위조약」체결 배경 한국전쟁중지를 위한 정전협정 체결 과정에서이승만 대통령이보여준 외교적 노력은 오늘날까지 한국의 자유민주주의 발전과 경제적 번영을 뒷받침해 온 한·미 동맹관계를 낳게하였...
    Date2010.08.02 By운영자 Views4185
    Read More
  18. No Image

    인천상륙작전의 영웅들

    인천의 월미도 해상과 자유공원 내 맥아더동상 일대에서는 인천시와 해병대사령부 주관으로 인천상륙작전 59주년을 기념하는 행사가 열렸습니다. 올해 행사는 역대 해군참모총장과 해병대사령관, 해병대 전우회, 주한...
    Date2010.07.25 By운영자 Views651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Next
/ 17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