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관진.jpg                                         

  본인은 먼저 ‘천안함 피격사건 1주기’를 맞아 천안함 46용사들과 고(故) 한주호 준위의 영전에 고개 숙여 명복을 빕니다.
유가족 여러분께도 깊은 위로의 말씀을 드립니다.
아직까지도 고통받고 있는 부상 장병들의 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 아울러 전후방 각지와 이역만리 해외에서 각고의 노력으로 유무형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부여된 임무 완수에 헌신하고 있는 국군장병과 국방가족 여러분에게도 따뜻한 치하와 격려를 보냅니다.

 친애하는 국군장병과 국방가족 여러분!

 3월 26일은 우리가 결코 잊을 수 없는 ‘천안함 피격사건’이 1주기를 맞는 날입니다.
1년 전 우리 모두는 북한의 천인공노할 만행으로 전사한 천안함 승조원 46용사들과 그들을 구하기 위해 살신성인한 고 한주호 준위를 비통하고 안타까운 심정으로 떠나 보냈습니다.

 우리의 호의적 인내심을 기습적인 어뢰 공격으로 되갚은 북한의 인면수심에 분노하며, 우리는 대한민국의 아들들로서 늠름했던 전우들의 얼굴과 이름 하나하나를 가슴으로 묻어야 했습니다. 이처럼 천안함 피격사건은 6·25전쟁 이래로 가장 큰 국민적 아픔의 역사가 되었습니다. 그러나 한편으로, 우리에게 많은 교훈도 남겼습니다.
국민들은 천안함 폭침이 북한의 소행임을 명백하게 밝혀 준 북한제 어뢰 잔해를 통해 북한에 대한 우리의 인식이 얼마나 허황되고 감상적이며 편협한 것이었는지를 확인했습니다.
우리는 또한 이를 통해 이 땅에서 누리고 있는 자유와 번영이 얼마나 소중한지 실감했습니다. ‘자유는 거저 주어지지 않는다(Freedom is not free.)’라는 경구를 실증적으로 체험했습니다.

 국군장병 및 국방가족 여러분!

 손자병법 구변편(九變篇)에 이르기를 “無恃其不來, 恃吾有以待也”라고 했습니다. “적이 오지 않을 것을 믿지 말고 적이 언제 오더라도 나에게 대비가 되어 있음을 믿으라”는 뜻입니다.
우리 모두는 지난 1년 동안 천안함 피격사건의 분루(憤淚)를 삼키며, 다시는 광기에 찬 그들의 반민족적 만행을 용서하지 않겠다는 각오로 일전불사(一戰不辭)의 의지를 다져 왔습니다.
그러나 천안함 피격사건 1주기를 맞이한 현재 敵의 능력과 기도는 조금의 변함도 없는데 우리는 부지불식간에 그날의 각오와 다짐이 이완된 것은 아닌지 되돌아보아야 할 것입니다.

 북한은 여전히 천안함 폭침을 자신들의 소행으로 인정하지 않고 있습니다.
오히려 그들은 과거 행태와 한 치의 변화도 없이 ‘임진각 조준사격’ ‘서울 불바다’ 등 도발적 수사와 유화적 대화 제스처를 반복하며 우리를 시험하려 하고 있습니다.
그 가운데 천안함 폭침과 같이 우리의 예상을 뛰어 넘는 제2·제3의 도발을 획책하고 있고 적은 또다시 도발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할 것입니다.

 친애하는 국군장병 및 국방가족 여러분!

 우리의 사랑하는 전우, 천안함 46명의 용사들과 고 한주호 준위는 우리 곁을 떠났습니다.
그러나 그들이 군인으로서 보여 준 숭고한 희생은 지금 이 순간뿐만이 아닌 영원으로 우리 군의 역사와 장병의 마음 속에 살아 숨쉴 것입니다.
우리는 그들이 보여 주었던 용기의 군인정신과 위국헌신의 혼(魂)을 우리가 구현하고자 하는 전투형 군대, 군대다운 군대의 모습으로 되살려 나가야 합니다. 이는 우리가 누구를 위해, 그리고 무엇을 위해 존재하는가를 가르쳐 준 고인들에 대해 조국을 지켜야 할 군인으로서 우리가 해야 할 최소한의 보답입니다. 또한, 이는 오늘은 대한민국 군인으로서, 내일은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이 땅에서 살아갈 우리 모두에게 주어진 의무입니다.
천안함 피격사건 1주기를 맞아 다시 한번 천안함 46용사들과 고 한주호 준위의 명복을 빌며, 대한민국 국군의 사명을 다하고 있는 장병들과 국방가족 여러분의 노고를 치하하고 모두의 건승을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2011년 3월 25일

국방부장관 김관진



  1. 이종섭 국방부장관, 공군 제11전투비행단 현장지도

    이종섭 국방부장관은 11월 13일(일) 오전, 공군 제11전투비행단을 방문하여 대비태세를 점검하고, 오찬을 함께하며 비상대기 근무자들을 격려하였다. 이 장관은 11전투비행단의 비상대기 현황을 보고받은 후, “북한이...
    Date2022.11.16 Views5141
    Read More
  2. 이종섭 국방부장관, 전(前) 주한미군사령관 초청 오찬 간담회 개최

    이종섭 국방부장관은 10월 26일(수), 한미동맹 미래평화 컨퍼런스 참석을 위해 방한중인 전(前) 주한미군사령관들을 초청하여 오찬 간담회를 갖고 한미동맹 발전방향 등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였습니다. 한미동맹 미래...
    Date2022.10.27 Views5111
    Read More
  3. 국방부, 현 안보상황을 고려한 「전군주요지휘관회의」 개최

    이종섭 국방부장관은 10월 7일(금) 10시 30분, 화상으로 「전군주요지휘관회의」를 주재하였다. 이번 회의에는 김승겸 합동참모의장, 박정환 육군참모총장, 이종호 해군참모총장, 정상화 공군참모총장, 김태성 해병대사...
    Date2022.10.07 Views4606
    Read More
  4. 국방부장관, 태풍 ‘힌남노’ 피해복구 지원 현장 방문 및 장병 격려

    이종섭 국방부장관은 9월 9일(금) 오전, 태풍 ‘힌남노’로 피해를 입은 경북 포항을 방문하여, 대민지원을 위해 헌신하고 있는 해병대 1사단과 특전사를 비롯한 육군의 다수 부대 장병들을 격려하였다. 군은 태풍 ‘힌...
    Date2022.09.10 Views3571
    Read More
  5. 서욱 국방부장관 2021년 신축년 신년사

    안녕하십니까? 국방부 장관입니다. 먼저, 언제나 우리 군을 사랑하고 응원해주시는 국민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아울러, 지금 이 순간에도 대한민국의 땅과 바다, 하늘, 그리고 해외파병지에서 부여된 임무...
    Date2021.01.04 Views191
    Read More
  6. 국방부 장관 주관, 긴급 전군 주요 지휘관 회의 개최

    국방부장관, ‘긴급 주요 지휘관 회의’ 실시 - 북한 NLL 도발대비 확고한 대응태세 완비, 비리행위자 일벌백계, 군기강 확립 등 강조 ◦국방부는 10월 10일(금) 합참 작전회의실에서 한민구 국방부장관 주관으로 ‘긴급 ...
    Date2014.10.11 Views400
    Read More
  7. 새정부 김병관 국방부장관 후보자는?

    ‘튼튼한 국가안보’ 이끌 최적임자 / 국방일보 2013. 02. 13 18:05 입력 미래지향적 국방태세 확립할 전문가 한미 안보협력 주도 동맹 강화 기대 역사의식 투철…전쟁사에 높은 관심 기사사진과 설명 김병관 국방부장관...
    Date2013.02.13 Views3631
    Read More
  8. 김관진 국방부장관 서신5호 <전문>

    강조사항 ○ 국방개혁 배경·필요성 올바로 이해해야 ○ 적과 싸워 이기는 전투형 군대, 군대다운 군대 육성 ○ `제반 논의'는 성공적 개혁 추진 보완 기회로 삼아야 ○ 개혁은 어렵지만 반드시 가야 할 길 친애하는 국군...
    Date2011.05.10 Views3240
    Read More
  9. “국방개혁은 서두르지 말고 신중히”

    국방부, 역대장관 초청 정책설명회 / 2011.05.02 국방일보 이주형기자 김관진(왼쪽 둘째) 국방부장관이 지난달 29일 열린 역대 장관 초청 정책설명회에서 국방개혁 307계획의 세부적인 과제와 추진 방향에 대해 설명...
    Date2011.05.01 Views2548
    Read More
  10. 김관진 국방부장관 지휘서신 3호

    본인은 먼저 ‘천안함 피격사건 1주기’를 맞아 천안함 46용사들과 고(故) 한주호 준위의 영전에 고개 숙여 명복을 빕니다. 유가족 여러분께도 깊은 위로의 말씀을 드립니다. 아직까지도 고통받고 있는 부상 장병들의 ...
    Date2011.03.26 Views4348
    Read More
  11. 김관진 국방부장관 전군주요지휘관 회의 주재

    <김관진 국방부장관이 7일 국방부 신청사에서 열린 전군주요지휘관회의에서 전투형 야전부대 육성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북한의 연평도 포격도발 이후 6ㆍ25전쟁 이래 최대의 위기상황을 맞아 사태의 엄중함에 ...
    Date2010.12.10 Views577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