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준구 소령 (해군 특수전여단) / 국방일보 2011.7.4

 

26840.jpg

내가 근무하고 있는 해군작전사 특수전여단 폭발물처리대(EOD)는 지난달 22ㆍ23일 이틀 동안 영남지역 내 폭발물처리를 담당하고 있는 민·관·군 6개 부대 및 기관이 참석한 가운데 ‘합동 폭발물처리 훈련’을 실시했다.

 이번 훈련은 우리 특수전여단 폭발물처리대에서 주관했으며, 특히 (주)부산항만보안이 직접 제작한 급조폭발물(IED : Improvised Explosive Device)을 테러 상황으로 가장해 설치하고 우리 특수전 여단 EOD 팀이 이를 탐지하고 식별해 처리하는 방식으로 실전을 방불케 하는 긴장감 속에서 훈련했다.

 또 해군폭발물처리 훈련장이 있는 잠도 종합전술훈련장에서는 사제폭발물을 직접 제작해 위력을 확인하고 앞으로 폭발물 테러에 대비한 강도 높은 훈련과 함께 실질적인 자료를 수집했다.

 사제폭발물이라고도 일컬어지는 급조폭발물은 현재 인터넷 등을 통해 제조방법이 널리 유포되고 있고 제작에 필요한 재료를 주변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지만 실제 인명 살상이 가능한 강력한 위력을 보유하고 있어 사회 이슈화 및 국민 불안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실제로 올해만 해도 6건의 사제폭발물을 이용한 살해미수 사건 등이 잇따라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 특히 폭발물 테러에 있어 피해 확산을 방지하려는 초동조치가 무엇보다도 중요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을 위해서는 민·관·군 협조체계가 원활히 이뤄져야 한다.

 이번 훈련을 통해서 최근 사회적으로 이슈화되고 있는 급조폭발물 처리 및 대테러 능력을 높임은 물론, 관계기관ㆍ부대 간 상호 협조체계를 통해 합동성을 강화하는 중요한 계기가 됐으며, 나아가 향후 급조폭발물 테러 발생 시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우리 군의 완벽한 임무수행을 위한 실전적인 계기 마련에 의미를 둘 수 있겠다.

 더불어 우리 군에서도 관계기관 및 선진국에서 보유하고 있는 신형 폭발물처리 장비 및 개인보호 장구 도입이 시급하다는 것과 갈수록 다양해지고 대범해지고 있는 테러 수법에 대응하기 위한 실전적인 교육훈련과 국내환경에 맞는 독자적 전술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1. 북파공작원 관련사진 몇장

    정보사내 북파공작원들중 사망한 대원들을 추모하기 위해 세워진 충혼탑 (사진출처 : 국방위 이경실의원실)
    Date2010.05.23 Views6045
    Read More
  2. 기동함대의 핵심전력, LPH독도함

    한국무기개발사 기동함대의 핵심전력, LPH독도함 (국방홍보원)
    Date2010.05.23 Views3485
    Read More
  3. South Korea Special Forces jump training

    Date2010.05.22 Views2345
    Read More
  4. KF16 전투기편대와 블랙이글스

    공군 KF-16 전투기편대가 건군 58주년 국군의날 축하비행을 하고 있다. [국방화보] 공군 특수비행팀 블랙이글스의 편대비행
    Date2010.05.22 Views3466
    Read More
  5. KATUSA,“ 미군속의 한국군병사

    “한국군 카투사는 내 군생활동안 지휘한 군인들 가운데 가장 우수한 부하들이었다. 그들은 절대 술취한 채 나타나지 않았고 없어지는 경우도 없었다. 그들은 지칠 줄 모르고 군기가 있었으며 지식습득 능력이 우수했...
    Date2010.05.22 Views7165
    Read More
  6. 한미연합연습

    한·미 양국군은 을지포커스렌즈(UFL) 연습, 연합전시 증원( R S O I ) 및 독수리( F E ) 연습 등 다양한 연합연습 및 훈련을 통하여 전시 한·미 연합작전계획의 실천력을 점검하고 전비태세를강화하고있다 . 이러한 ...
    Date2010.05.22 Views2813
    Read More
  7. 한국군 작전통제권

    Date2010.05.22 Views2382
    Read More
  8. 국민과 함께하는 해병대

    Date2010.05.21 Views2732
    Read More
  9. 한국군 파병의 발자취를 더듬어 보며

    예비역 해병대령 박형건 월남의 어제와 오늘 나는 월남전에 소대장(1965), 중대장(1970)으로 두 번참전한 경험이 있다. 이번에 다시 월남 땅을 밟은 것은 37년 만이었으니 감개무량하지 않을 수 없었고 그때의 월남의...
    Date2010.05.20 Views26270
    Read More
  10. 독도함 수송능력 이대로 충분한가? - 신인균

    대한민국 해군의 대형 수송함이자 상륙함정인 독도함은 2002년 10월 말에 한진중공업이 대한민국 해군으로부터 수주를 받아 건조를 시작한 뒤, 2005년 7월 12일 진수하였고, 2006년 5월 22일부터 시운전을 시작하여 2...
    Date2010.05.18 Views7293
    Read More
  11. 급선회하는 역동적인 모습의 독도함

    지난 9월28일 국방부 출입 기자단에게 독도함을 공개했을 때 찍은 것입니다. 지난번에 올려드린 것은 헬기로 독도함에 착륙하기 전에 찍은 것이고 이번에 올리는 것은 헬기로 이륙한 뒤 찍은 것입니다. 자세히 보시면...
    Date2010.05.18 Views5335
    Read More
  12. 김정일 주석궁에 태극기를 꽂아야

    “” 김일성 주석궁에 태극기를 꽃아야" 북한 급변사태 발발 가능성과 한국정부의 대응방향 국제외교안보포럼(이사장 김현욱 전 의원) 3월6일자 강연자료 김필재 기자 2008-03-07 오전 11:59:09 “림랜드(rim land·대륙...
    Date2010.05.18 Views3215
    Read More
  13. AH-1S 코부라헬기의 로켓

    Date2010.05.18 Views3900
    Read More
  14. 대한민국 최전방 JSA 경비대대

    사진: 강원대학교 교수 김상훈 KISH 총 길이 250여km에 달하는 비무장지대에서 유일하게, 철조망 없이 바닥에 그어진 선을 사이에 두고 북한군과 대치하고 있는 JSA 경비대대 대원들을 찾았다. 1976년 판문점 도끼만...
    Date2010.05.18 Views11742
    Read More
  15. 육군 동복유격장

    사진 : 강원대학교 김상훈 교수 (www.kishkim.com) / 글 : 신상익 중위 1962년 6월 첫 훈련을 실시하여 무려 47년간 18여만명의 소대장을 배출한 대한민국 유격장의 중심인 동복유격장.. 강한전사 강한군대의 진원지...
    Date2010.05.18 Views10853
    Read More
  16. 고공강하 연습중인 특전사 고공팀

    사진: 강원대학교 시각멀티미디어디자인학과 김상훈 교수
    Date2010.05.18 Views4800
    Read More
  17. 심해의 특수부대 SSU 해군 해난구조대

    심해의 특수부대 SSU 해군 해난구조대 글 : 아시아경제 양낙규 기자 사진 : 한국국방안보포럼(KODEF) 손민석 사무국장 기원전 5세기경 페르시아 제어제스왕이 침몰선의 보물을 인양하기 위해 '시실리스'라는 잠수사를...
    Date2010.05.18 Views7911
    Read More
  18. 독도함

    한국해군이 보유한 아시아 최대의 수송함 독도함(LPH)~!!
    Date2010.05.18 Views338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64 165 166 167 168 Next
/ 168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