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몸은 조국의 것…命 있을 때까지 살아남는다 / 국방일보 2011.07.25 김철환기자

 

지난 20일 공군사관학교 인근 강하훈련장. 지루한 장마가 끝나고 눈이 부실 정도로 파랗게 갠 하늘을 노랗게 수놓던 공사 3학년(61기) 사관생도들의 낙하산이 점점 커지면서 지상과 가까워졌다. 지면에 거의 다다른 생도가 긴장한 듯 다리를 바짝 모으고 무릎을 살짝 굽혀 올렸다. 곧이어 온몸으로 구르듯 착륙한 생도 주변으로 뽀얗게 먼지가 피어올랐다. 성공적인 착지였다. 가만히 있어도 굵은 땀방울이 송글송글 맺히는 한여름 더위를 강한 훈련과 뜨거운 열정으로 이기는 공사 3학년 생도들의 하계군사훈련 중 공중생환훈련 현장을 찾았다. 편집자

27822.jpg

27821.jpg

공군사관학교 3학년(61기) 생도들이 지난 20일 공중강하훈련을 위해 HH-47 치누크 헬기에 오를 준비를 하고 있다.
“공수! DZ! 단결! 에어본! 파라웨이!”  이날 난생처음 700m 상공에서 뛰어내려 본 3학년 생도들이 구호를 외치며 집결 지점으로 속속 모여들었다. 이들의 표정에서는 자신감과 의기양양함이 배어 나오고 있었다.

 지난 4일부터 시작돼 22일 수료식을 끝으로 3주간의 대장정을 마친 공사 하계군사훈련 기간 동안 생도들은 학년별로 지상과 수중·해상·공중 등 각종 환경에서 생환훈련을 받았다.

특히 3학년 생도들은 여러 생환훈련 중에서도 가장 공군답다고 할 수 있는 공중생환훈련을 통해 공중 근무자로서의 기본소양을 갖추고, 자신감과 정신력을 키웠다.  공군8126부대에서 이뤄진 3주의 교육기간 동안 생도들은 단 두 번의 공중강하를 위해 지상에서 낙하와 착륙 동작, 낙하 조종법 등을 끊임없이 연마했다. 1주차에는 기본 강하법을 익히기 위해 공수체조와 장구·낙하 동작을 중심으로 숙달했고, 2주차에는 사람이 가장 공포심을 느낀다는 10m 막타워(Mock Tower) 훈련을 집중적으로 받았다.

실제 공중강하훈련은 거의 막바지인 20일과 21일에 각각 HH-47 치누크 헬기와 C-130 수송기를 이용해 진행됐다.

지상훈련 중 낙하산 접지동작(PLF : Parachute Landing Fall)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는 김대성 생도는 “PLF에 목숨이 걸려 있다고 생각하고 힘들어도 열심히 했다”며 “공중강하 날짜가 다가올수록 생도들 모두 PLF 연습에 대한 열의가 높아지는 것이 느껴졌다”고 말했다.  

착지 동작 숙달에 목숨 걸다

강하 당일. HH-47 치누크 헬기의 로터에서 발생한 바람이 먼지를 흩날리는 가운데 공중강하를 할 생도들이 비장하게 헬기를 향해 걸어갔다. 양수훈 생도는 이때 너무 긴장한 나머지 어떻게 헬기에 올랐는지 기억나지 않는다고 털어놨다. “앞서 탑승한 동기들의 뒷모습이 아주 늠름해 보였다는 것과 비장한 각오를 했다는 것만 생각난다”는 그는 “하지만 분명히 기억나는 것은 헬기 문이 열리고 뛰어내리기 직전 느낀 뭉클한 감동”이라고 전했다.

 이날 날씨는 쾌청했지만 바람이 거센 편이라 공중강하에 쉬운 여건은 아니었다. 낙하 지점(DZ : Drop Zone)에서 훈련을 통제한 8126부대 박진수 원사는 “간신히 훈련이 취소되지 않을 정도의 강한 바람이 불고 있다”며 “풍향과 풍속도 고도에 따라 들쭉날쭉하고 회오리바람이 불기도 하는 등 불안정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박 원사는 “실전이 닥치면 악조건 속에서 강하할 일이 얼마든지 생길 수 있다”며 “오늘 같은 환경 속에서도 훈련을 해 봐야 실제 어려운 상황도 극복할 능력을 얻게 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날의 어려움은 거센 바람뿐만이 아니었다. 훈련기간 내내 생도들을 괴롭혔던 폭우가 착지 예상지역 곳곳을 움푹움푹 파 놔 위험성을 더한 것.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날 훈련은 성공적으로 진행됐다.  

강풍에도 성공적 공중강하

약 700m 상공의 헬기에서 6명이 이탈해 낙하산이 펴지는 것이 조그맣게 보였다. 점프한 생도들이 거센 바람 속에서도 안전한 착지를 위해 낙하산 방향을 조절하는 것이 눈에 띄었다. 지상에서는 방송을 통해 생도들이 서로 간의 충돌 없이 안전하게 착지할 수 있도록 방향 등을 끊임없이 지시해 주고 있었다. DZ에 정확히 착지한 생도부터 속속 집결지로 모여들었다.

 강하 후 집결지에 모여 있던 허환 생도는 “너무 높이 올라가니까 오히려 막타워보다 고공에 대한 공포감은 덜했지만, 뛰어내리자 땅이 쑥쑥 솟아 올라오는 느낌이 들어 정신이 없었다”고 말했다. 이어 “점프한 직후 2~3초간 갑자기 정적만이 흐르는 것이 공중에 나만 존재하는 듯한 느낌이 들어 최고였다”는 소감을 밝혔다.

이번 하계군사훈련에서 공사61기 3학년 생도들은 쉽지 않은 여건 속에서도 부상자 한 명 없이 성공적으로 공중생환훈련을 마쳤다. 훈련을 주관한 이언희(중령) 8126부대장은 “긴장되는 생애 첫 강하였을 텐데 모든 생도들이 항공기 이탈부터 착지·집결에 이르는 모든 과정을 매끄럽게 잘해 냈다”며 “3주간의 강도 높은 훈련을 통해 향후 공중 근무자로서 갖춰야 할 기본 자질뿐만 아니라 자긍심과 강한 정신력까지 얻었을 것”이라고 밝혔다. 

 
공군사관학교 하계군사훈련은? 
공군사관학교의 하계군사훈련은 생도들이 군인으로서 갖춰야 할 지식과 능력을 습득하는 것과 더불어 공중 근무자에게 요구되는 하늘과 땅, 바다에서의 생존 능력을 배양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1학년 생도들은 행글라이딩과 패러글라이딩으로 비행 적성을 함양하고, 2박 3일간 주야간으로 진행되는 지상생환훈련을 통해 인내심과 극기력, 유사시 작전지속 능력을 갖춘다. 또한 수중생환훈련장에서 기본적인 수영법과 수상에서의 생환 방법도 배운다. 2학년 생도들은 유격훈련으로 체력을 증진하고 해양훈련장에서 해양 생리의 이해와 바다에서의 적응·생환 능력을 향상시킨다. 3학년 생도들은 공중강하를 중심으로 공중생환능력을 배양하고, 4학년 생도들은 각종 군사훈련에서 후배 학년을 직접 지휘·통솔하며 초급장교의 자질을 배운다.


  1. 호크미사일 발사장면

    서해안 공군사격장에서 발사되고 있는 호크미사일
    Date2010.07.26 Views6796
    Read More
  2. A-50의 공대공미사일발사장면

    국산 경공격기기 A-50의 AIM-9L 공대공미사일발사장면 국방화보 2005
    Date2010.07.26 Views3505
    Read More
  3. 육군15사단 비무장지대內 광심리계곡

    육군15사단 비무장지대內 광심리계곡의 여름풍경 / 국방화보 2005
    Date2010.07.25 Views7179
    Read More
  4. 한미 연합훈련 `불굴의 의지' 본격 돌입

    美 조지워싱턴 함·한국 독도함·F-22전투기 육·해·공군·해병대 병력 8000여 명 참여 /국방일보 이주형기자 2010.07.26 불굴의 의지(Invincible Spirit)로 명명된 한미 연합훈련이 시작된 25일 오전 우리 해군의 독도함...
    Date2010.07.25 Views4248
    Read More
  5. 지옥을 경험하고 최강유디티대원이 되다!

    대한민국 해군의 최강 정예부대 UDT/SEAL의 대원은 어떻게 탄생하게 될까요? 전시에는 해상과 수중 그리고 공중으로 적 후방에 침투하여 특수임무를 수행하며, 평시에는 구조⋅구난, 수중 폭발물 제거, 해상 대테러, ...
    Date2010.07.25 Views9224
    Read More
  6. 전략동맹 2015는 STP(전략적 전환계획) 수정·증보판

    용산기지이전·연합토지관리계획 포괄 논의 한미 10월까지 확정 /국방일보 김범륜기자 2010.07.23 2+2 회의를 통해 향후 작성 추진이 예고된 ‘전략동맹 2015’에 대한 궁금증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전략동맹 2015’...
    Date2010.07.24 Views3122
    Read More
  7. 한미 25일부터 연합 해상·공중훈련

    한미 25일부터 연합 해상·공중훈련 양국 국방 공동성명 통해 對北 경고 최신예 F-22 전투기 한반도 첫 출격 / 국방일보 김병륜기자2010.07.21 한미 양군은 오는 25일부터 ‘불굴의 의지(Invincible spirit)’ 연합해상...
    Date2010.07.24 Views2772
    Read More
  8. 공사생도들 해양생환훈련

    공사 생도들 왜 바다로 갔나 유사시 대비 해양 생환훈련 여생도 등 157명 생존능력 배양 / 국방일보 2010.07.23 22일 공군사관학교 2학년 생도들이 하얗게 포말부서지는 충남 보령 대천 앞바다에서 해양생환훈련을 받...
    Date2010.07.24 Views4826
    Read More
  9. 레바논 교대병력으로 파병되는 동명부대 7진 환송식

    레바논에 교대병력으로 파병되는 동명부대 7진 장병들이 22일 국제평화지원단에서 열린 파병 환송식 중 결연한 표정으로 임석상관에 대한 경례를 하고 있다. 유엔 레바논 평화유지군(UNIFIL)의 일원이 될 장병들은 레...
    Date2010.07.24 Views3615
    Read More
  10. 시속93㎞ 북한의 공기부양정

    130~140대 보유…서해 긴장속 위협적 존재로 떠올라 북한의 대남 무력도발 시위가 예사롭지 않다. 만일 서해에서 북한의 국지적 도발이 이뤄진다면 공기부양정의 존재는 상당한 부담이 될 것이다. 공기부양정은 지면이...
    Date2010.07.23 Views6018
    Read More
  11. 해군리더십논총 원고모집 안내

    Date2010.07.20 Views3346
    Read More
  12. 해병대와 함께 간다! 고준봉급 상륙함

    [서울신문기획 한국군 무기 49] 해병대와 함께 간다! 고준봉급 상륙함 한 때 해군의 구호는 ‘바다로, 세계로, 미래로’였다. 하지만 해군 소속의 어떤 군함은 여기에 한마디를 더 붙여 외치곤 했다. ‘바다로, 세계로, ...
    Date2010.07.16 Views4678
    Read More
  13. [한국군무기] 아시아 최대 상륙함 ‘독도함’

    서울신문 기획 한국군무기 48 M&M 최영진 군사전문기자 zerojin2@seoul.co.kr 2005년 7월 12일 해군 역사상 가장 커다란 군함인 ‘독도함’(LPH-6111)이 진수식을 갖고 바다에 첫발을 내디뎠다. 보통 군함이 만들어지는...
    Date2010.07.12 Views5857
    Read More
  14. UDT 해상강하

    Date2010.07.12 Views7556
    Read More
  15. 李정부, 아프간에 '320명 파병'키로 결정

    약소한 아프간 파병으로 무엇을 얻을 것인지 모르겠다 올인코리아 임태수 논설위원 이명박 정부는 8일 아프가니스탄에 350명 이내의 국군을 파병하되 최초 파병기간을 내년 7월 1일부터 2012년 12월 31일까지로 한정...
    Date2010.07.09 Views2610
    Read More
  16. 한미연합 생환·산악구조 훈련 - 공군6탐색구조비행전대

    지난달 29일부터 강원 태백산 일대에서 열리고 있는 한미 연합 생환 및 산악구조훈련에서 공군6탐색구조비행전대 구조대원과 조난 조종사가 호이스트에 실려 HH-32 구조헬기에 오르고 있다.
    Date2010.07.03 Views4173
    Read More
  17. 기동중 포염 토해내는 K1A1 전차

    육군20사단 K1A1 전차의 120㎜ 활강포가 시뻘건 포염을 토해내고 있다. 육군20사단 비호대대는 지난 3·4일 이틀간 양평 종합훈련장에서 전차 중대조 전투사격과 기동훈련을 실시, 중·소대장의 전투지휘능력과 사격술·...
    Date2010.07.03 Views8435
    Read More
  18. 해병등 고생만큼 수당인상, 행안부 “개선 마땅”

    서해 연평도 해군2함대 소속 ○○○기지. 장마가 북상 중인 25일 행정안전부 관계자들과 해군 함정근무자, 해병대원, 심해해난구조·해상특전요원(SSU), 해군특수전여단(UDT) 대원들이 마주 앉았다. 행안부 인사실 관계자...
    Date2010.06.26 Views385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64 165 166 167 168 169 Next
/ 169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