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도발은 곧 죽음’ …도발땐 현장에서 작전 종결 대비태세 보완 철저히 응징할 수 있는 역량 강화   / 국방일보 2012.03.26

 

38715.jpg

해군2함대 헌병대대 장병들이 적이 도발하면 백 배, 천 배로 응징하겠다는 결의문을 낭독하며 전투의지를 다지고 있다.
정의훈 기자

 

 해군 함수(뱃머리)의 방향이 달라졌다. 함정이 기지로 돌아와 계류할 때, 종전에는 함수가 육상으로 향했지만 현재는 부두 입구를 향하고 있다. 해군은 이를 ‘돌격계류’라고 부른다. 유사시 긴급출항에 대비한 방식이다. 후진 및 선회가 필요 없기 때문에 홋줄만 걷으면 곧바로 출항, 작전 반응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다. 함정을 돌리는 단 몇 분 몇 초까지 줄여 전장으로 내달리려는 자세와 노력, 이것만으로도 천안함 피격사건 이후 오늘 해군의 항재전장, 전투의지를 단적으로 엿볼 수 있다.

▶‘돌격계류’… 즉각 전장으로 

 해군은 2012년 부대훈련 목표를 ‘지금 당장 싸워서 승리할 수 있는 전쟁수행체계 확립의 해’로 선정, 적이 도발하면 현장에서 작전을 종결하는 즉각대응태세 확립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특히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변화·혁신을 강도 높게 추진, 천안함 피격사건과 연평도 포격도발을 통해 드러난 대비태세의 미비점을 집중 보완·발전시켰다.

 해군은 올해 ‘불시(不時) 해상기동훈련’과 ‘불시 대잠수함전훈련’을 신설, 북한의 기습도발에 대비하고 유사시 철저히 응징할 수 있는 역량을 강화해 나가고 있다.

 불시 해상기동훈련은 기존의 전대급 해상기동훈련에 전대급 세력을 추가해 전단급 기동훈련을 전개하는 것이다. 적의 위협 및 활동 양상 등을 고려한 훈련은 해군작전사령관과 각 함대사령관이 집행하며, 적 도발상황에 부합한 대비태세를 점검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훈련이 발령되면 전투전대는 즉각 출동해 북방한계선(NLL) 국지도발 대응훈련·사격훈련·전술기동 등 종합 해상훈련을 실시, 상시 전투준비태세를 유지토록 했다.

 대잠훈련은 더 강하고, 더 실전적으로 펼쳐진다. 아군 잠수함이 적 잠수함으로 묘사된 불시 대잠수함전 훈련은 해상에서 경비작전을 수행하는 함정을 대상으로 경고·시나리오 없는 대잠전을 하달, 위기대응 능력을 끌어올리는 데 역점을 뒀다.

 미 해군과의 연합 대잠전 훈련을 정례화하고 대잠훈련 참가 전력을 연안경비정(YUB)·고속단정(RIB)까지 확대한 것도 눈여겨볼 대목이다. 더불어 해상 및 대잠 자유공방전 훈련을 주·야간 구분 없는 연속 훈련으로 실시하며, 작계시행 분야는 필수 종목으로 채택해 반드시 진행토록 했다.

 이와 함께 해상기동훈련에 육·공군 및 해양경찰 전력이 참가하는 대규모 합동훈련을 확대해 합동성을 배양하고 있으며, 연합전력과의 특수작전훈련·상륙훈련 등 국지도발 및 전면전 대응훈련을 강화했다.

 장비 분야도 획기적으로 개선했다. 전 전투함정의 음탐기 탐지센서 노후부품 교체를 완료, 정격 성능을 유지하고 있다.

또 호위함(FF)·초계함(PCC)에 어뢰음향대항체계(TACM)를 장착해 어뢰 회피 능력과 생존성을 크게 향상시겼다.

 전투 승리를 위한 야전 조직도 정비했다. 함정 등 전투부대의 충원율을 100% 유지 중이며, 함대별 계획참모실을 신설하고 작전참모실 편성을 보강했다.

▶‘싸우면 박살낸다’…대응태세 완벽

조국의 동·서·남해를 수호하는 각 함대는 실전적 훈련으로 전투형 군대를 완성해 나가고 있다.

1함대는 ‘필승의 신념으로, 일전을 승리로’라는 기치 아래 ‘전투 24시’를 도입했다. 이 훈련은 출동 함정과 각급 제대를 대상으로 대잠·대함·대공 및 복합전 등의 상황을 쉴 틈 없이 부여해 전투수행 절차를 반복·숙달하는 신개념의 교육훈련체계다. 훈련은 식사·취침 등 별도의 휴식시간 없이 24시간 동안 진행하며 50여 명의 관찰관이 동승, 함정 전투 능력과 위기상황 대처 능력을 철저히 검증한다. 장병들은 훈련을 통해 극한의 전투상황을 극복하고 팀워크를 발전시키고 있다.

 1함대는 또 위기발생 시 지휘관·참모들이 신속히 모여 상황을 조치하는 ‘CR5’(Crisis Reaction5) 훈련도 시행 중이다. 지휘통신훈련의 일종인 CR5는 5시간 동안 지속되며, 실제 발생 가능한 사례를 부여한 뒤 불시 대응태세를 점검하는 훈련이다.

 2함대는 재도발은 곧 죽음이라는 것을 입증하기 위해 전투의지를 다져 왔다. 함대 전 장병은 악수나 경례 때 “싸우면 박살 내겠습니다”라는 구호를 외치고, “우리의 바다를 넘보는 자 그 누구도 용서치 않는다” “적이 도발하면 백 배, 천 배로 처절하게 응징한다”는 결의문을 낭독하고 있다.

 함대는 정신대비태세뿐만 아니라 ‘적은 반드시 도발한다’는 전제 아래 최고도의 전투태세 완비에도 정성을 쏟고 있다. 서해 북방한계선(NLL) 인근에서 적 함정을 자주 접하는 특성상 적 함정 식별대회를 개최하고, 전투기량 경연대회를 수시로 열어 전투 능력을 제고하고 있다. 이를 통해 적 도발 시 유도탄은 1분 내, 함포는 15초 내에 발사할 수 있는 즉각 대응태세를 완벽히 갖췄다.

 3함대 역시 전비태세 완비를 위해 전 장병이 똘똘 뭉쳤다. 함대는 지난해부터 시험 가동 중인 종합전투훈련(ICT : Integrated Combat Training)을 보완·발전시켰다. 이 훈련은 함정에 요구되는 훈련·평가·검열들을 종합, 중복된 행정소요를 간소화 또는 통·폐합해 오로지 전투임무에만 매진토록 하는 프로그램이다.

한반도 해역의 47%를 책임지는 함대는 협동·합동작전 능력 배양에도 구슬땀을 흘리고 있다. 올해 들어 해안침투 대비 공·지·해 합동훈련을 7회 실시했으며 해군-해경 합동훈련, 통합 항만방호훈련 등을 집중 전개해 유관기관과의 긴밀한 협조체계를 구축했다.

 해군 관계관은 “(해군은) 지난 2년 동안 뼈를 깎는 노력으로 의식·조직문화·제도·무기체계 등 전 분야를 전투임무 중심으로 개선했다”며 “이를 통해 적의 도발을 단호하고, 처절하게 응징할 수 있는 만반의 준비를 갖췄다”고 말했다. <윤병노기자>


TAG •

  1. 방사청, 신형 화학탐지경보장비 2017년까지 개발

    방위사업청이 신경·수포·혈액·질식작용제 등 화학작용제 12종과 독성산업화학물질 6종을 탐지·식별·경보할 수 있는 화학탐지경보장비(사진)를 오는 2017년까지 개발하기로 했다. 방사청은 23일 “지난 10월 체계개발업...
    Date2013.12.23 Views1413
    Read More
  2. 아라우부대 상륙함단대 출항

    Date2013.12.23 Views1003
    Read More
  3. 아라우부대 상륙함단대, 필리핀 재해복구 장비·물자 수송

    성인봉함·비로봉함, 지원 병력 260여명 식량·생수·수리부속 등 장비·물자 운반 필리핀 태풍피해 복구·재건을 위한 합동지원단 ‘아라우부대’ 상륙함단대 장병들이 21일 출항에 앞서 장비 결박상태를 점검하고 있다. 해...
    Date2013.12.23 Views1885
    Read More
  4. 육군, 「전쟁의 종결자 : 일명 FINAL BATTLE」네티즌 참여형 광고 영상 공개

    ◦육군은 한반도 전쟁 상황에서 네티즌이 육군의 일원(전차병)으로 참전, 육군의 주요전력과 함께 적(敵)의 공격을 격퇴하고 전쟁에서 승리하는 스토리를 담은 인터랙티브(Interactive) 영상 <육군, 전쟁의 종결자 -FI...
    Date2013.12.20 Views1646
    Read More
  5. 아우라부대 김관진 국방부 장관 주관 환송식… 육·해·공군·해병대 합동지원단 첫 해외파병

    1제대 21일, 2제대 27일 출국 19일 인천 계양구 국제평화지원단에서 필리핀 재해복구 지원 임무를 수행할 ‘필리핀 합동지원단(아라우부대)’ 환송식이 눈발이 날리는 가운데 김관진 국방부 장관 주관으로 열려 파병 장...
    Date2013.12.20 Views2520
    Read More
  6. 황기철 해군참모총장, 서북해역 군사대비태세 집중 점검 연평부대·전진기지 등 현장지도

    황기철 해군참모총장, 서북해역 군사대비태세 집중 점검 연평부대·전진기지 등 현장지도 황기철 해군참모총장은 18일 연평부대를 방문해 군사대비태세를 점검하고 작전현장 지도를 했다. 황 총장은 “국지도발과 전면...
    Date2013.12.20 Views2494
    Read More
  7. 육군특수전교육단, 국내 최대 규모 첨단 스쿠버 전문 훈련장 개장

    육군특수전교육단, 국내 최대 규모 첨단 스쿠버 전문 훈련장 개장 지난 13일 국내 최대 규모의 스쿠버 전문 훈련장에서 특전용사들이 헬기 램프도어 모형의 공중이동 리프트를 이용해 소프트 덕 훈련을 하고 있다. 부...
    Date2013.12.15 Views2279
    Read More
  8. 박신애 육군소령 여군 최초 대통령상 수상

    합동군사대학교합동기본정규과정졸업식에서대통령상을수상한송철(사진왼쪽부터) 해병대소령, 박신애 육군소령, 강훈영 공군소령이 경례를 하고 있다.사진=민정현 하사 제공 합동군사대학교는 지난 13일 학교 내 충무...
    Date2013.12.15 Views3804
    Read More
  9. 해군 제주방어사령부(제방사), 창설 63주년 기념식

    해군제주방어사령부는 11일 부대창설 63주년을 맞아 장병·군무원이 참석한 가운데 사령부 한라관에서 창설 기념식을 가졌다. 이날 기념식은 사령부 장병·군무원 300여 명이 참가해 개식사를 시작으로 부대약사 및 축...
    Date2013.12.11 Views1476
    Read More
  10. 이지스함 3척 2020년대 중반까지 추가 확보

    합동참모회의서 소요결정… 현 3척에서 6척 체제로 北 미사일 등 비대칭위협과 해양 잠재위협 대비 강화 10일 열린 합동참모회의에서 이지스구축함 3척을 추가로 건조키로 한 가운데, 2011년 6월 3일 울산 동방해상에...
    Date2013.12.10 Views1276
    Read More
  11. 육해사 생도 T-103 체험비행

    - 공사에서 통합교육 중인 육·해사 생도 10명, T-103 훈련기 체험비행 - 비행 체험 통해 공군 임무 이해… 합동성 강화에 기여 공군사관학교(이하 ‘공사’)는 통합교육 중인 육·해군사관학교(이하 ‘육·해사’) 1학년 생...
    Date2013.12.10 Views1059
    Read More
  12. 필리핀 재건지원 아라우부대 창설

    9일 인천시 계양구 국제평화지원단에서 열린 ‘필리핀 합동지원단’창설식에서 장병들이 국기에 대한 경례를 하고 있다. 이 부대의 애칭은 ‘아라우’로, 육군은 물론 해군과 해병대 병력까지 포함돼 있다.
    Date2013.12.10 Views1165
    Read More
  13. 해군 순항훈련전단 14개국 순방 마치고 오늘 귀국6·25전쟁 참전국서 보은행사·실전적 훈련 등 성과

    해사68기 사관생도들이 순항훈련 기간 중 함정내에서 실습을 하고 있다.부대제공 2013년 대한민국 해군 순항훈련전단이 137일의 대항해를 성공적으로 마치고 오늘 진해 군항으로 귀국한다. 이번 항해에서 순항훈련전...
    Date2013.12.08 Views1574
    Read More
  14. 참전용사의 희생, 잊지 않겠습니다 - 6·25 국군 전사자 666명 합동봉안

    6·25전쟁 국군 전사자의 유해 합동봉안식이 지난 6일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려 국군의장대원들이 유해를 운구하고 있다. 이날 봉안된 유해는 올해 전국 77개 지역에서 발굴한 국군 전사자 666구다. 박흥...
    Date2013.12.08 Views1026
    Read More
  15. 130㎜ 유도로켓 LIG넥스원이 개발한다

    차기고속정에 탑재할 130㎜ 유도로켓의 구조(위)와 발사대 개념도. 방위사업청이 차기고속정(PKX-B)에 탑재할 130㎜ 유도로켓을 개발할 업체로 LIG넥스원을 선정했다. 또 KF-16 전투기에 장착할 야간표적식별장비 2차...
    Date2013.12.08 Views193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 201 Next
/ 20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