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해의 특수부대 SSU 해군 해난구조대

글 : 아시아경제 양낙규 기자   사진 : 한국국방안보포럼(KODEF) 손민석 사무국장

 

  기원전 5세기경 페르시아 제어제스왕이 침몰선의 보물을 인양하기 위해 '시실리스'라는 잠수사를 고용했고 알렉선더 대왕은 용맹스런 잠수사들을 육성해 적함정의 닻줄을 끊어 조류에 표류하게하거나 밑창에 구멍을 내어 침몰시켜 항구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했다. 잠수사의 역사는 기원전 5000년경부터 시작된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현재 우리 해군에서도 최강 잠수사를 양성하기 위해 심해속에서 오늘도 구슬땀을 흘리고 있다.

 

ssu1.jpg

 

1950년 부산에서 해상공작대로 창설된 해난구조대(SSUㆍShip Salvage Unit). 이들은 15년전만해도 일반인들에게는 알려지지 않은 특수부대였다. 1993년 서해 위도 근해에서 훼리호가 침몰했을때 SSU대원들이 투입돼 292구의 시신과 선체를 모두 건져 올리며 세상에 이름이 알려지기 시작했다. 이후 충주호 유람선 화재사건(1994년), 북한 반잠수정 인양(1998년), 제2연평해전의 고속정 인양(2002년) 등 대형조난 사건사고와 군사작전 현장에서 명성을 떨쳤다.

특히 1997년 12월 남해로 침투하다 격침된 북한 반잠수정을 수심 150m 깊이에서 건져 올려 기네스북에 올랐다. 미 해군의 1990년대초 98m수심에서 선박을 인양한 기록을 깨뜨린 것이다. 또 최신형 북한 반잠수정 정보를 획듬함은 물론, 증거물 획득으로 국내의 간첩을 소탕하는데 일등공신이 됐다. 어둠이 짙게 깔린 심해에서 작전을 수행하는 해난구조대(SSU). 대원들은 해마다 평균 6대 1의 경쟁률을 뚫고 입교하지만 기초훈련과정에서 40%가 탈락한다. 수치를 보면 알수 있듯이 이들의 교육과정은 인간의 한계를 초월하는 고난의 연속이다. 교육은 병,장교,부사관 계급별로 초급 중급 고급과정으로 나눠 이뤄진다. 장교는 33주간 지옥훈련을 받는다. 초급교육은 장교와 하사관이 함께 받고, 병은 따로 훈련한다. 중등ㆍ고등ㆍ특수과정은 장교와 하사관만 받을 수 있다.

 

ssu2.jpg

 

ssu3.jpg

 

 

수심 50m 이상 잠수 할 수 있는 교육을 받는 중등과정까지는 천해잠수사라고 부른다. 고등과정 이상의 교육을 받고 수심 100m이상 잠수 가능한 이들을 심해잠수사라고 부르며, 100m이상 잠수하는것을 포화잠수라 부른다. 포화잠수교육을 받는 특수과정까지 마치려면 보통 10년정도 걸린다. 잠수는 기법에 따라 수심 40m까지 내려갈수 있는 공기잠수(SCUBA), 58m까지 내려가는 표면공급공기잠수, 58m까지 내려갈수 있는 표면공급혼합기체잠수, 300m까지 내려가는 포화잠수로 나눈다.

일반인들이 보통 숨을 참고 잠수하는 스킨다이빙은 훈련을 받으면 5m까지 가능하며 통상 1분정도 물속에서 머물수 있다. 해녀의 경우 최대 20m까지 잠수해 2~3분정도 숨을 참을수 있다고 한다. 스쿠버(SCUBA)장비를 이용하는 잠수 한계수심은 40m로 잡는다. 영화 '그랑블루'의 주인공인 자크마욜은 이탈리아의 실존인물로 수심 105m까지 도달한 기록을 갖고 있다. 현재의 최고기록은 1996년 쿠바 태생 피핀이 세운 130m로 알려졌으며 당시 소요시간은 2분 18초였다. 정상인의 폐활량은 3~4ℓ인데 그는 8.2ℓ나 된다.

 

ssu4.jpg

 

 해저 100m보다 더 깊이 내려가는 포화잠수는 미국의 조지본드 대령이 1966년 처음 개발했다.포화잠수를 위해서는 산소와 헬륨을 혼합한 혼합기체 공급장치와 수면으로 상승할때 압력을 서서히 줄여주는 감압장치가 꼭 필요하다. 혼합기체를 이용하는것은 질소 마취현상을 극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헬륨을 마시면 목소리가 높아지고 날카롭게 되는 일명 '도널드현상'이 일어나 교신도 쉽지 않은 편이다.
감압장치가 필요한 것은 고압력 상태에 있다가 갑자기 저압력 상태로 나올때 생기는 공기색전증(塞栓症), 관절통, 근육통 운동지각장애 등 잠수병(caisson병)을 막기 위한 것이다.공기색전증은 잠수도중 급상승할 경우 폐안에 있던 공기가 혈관을 타고 이동하다 혈관을 막는 현상으로 현기증과 마비,의식불명 등의 증상을 낳는다.쉽게 말해 술에 취한 것처럼 정신이 혼미해져 이성적인 판단을 잃을 수도 있다는 뜻이다.

 

 

 때문에 포화잠수를 하는 잠수사들은 잠수를 하기전에 밀폐된 방같은 챔버(DDC)에 들어가 1분당 수심 1m 하강속도를 정한뒤 가압해 잠수목표수심과 같은 압력을 받는다. 이 과정을 거쳐 바다에 들어간뒤 임수를 수행하고 작전완료후 느린속도로 수심 1m로 해상으로 올라오게 된다. 올라온 후에도 일상생활에 복귀하기 위해 일정기간 챔버속에서 생활을 해야하며 챔버속 생활은 고온다습은 물론, 식욕도 없어지고 밥알을 씹으면 고무를 씹는듯한 느낌을 받는다. 이러한 이유에서 잠수사들은 강인한 체력과 정신력이 없다면 버티기 힘들다.

 

 

 

 


TAG •

  1. 월터 샤프 한미연합사령관 환송 행사

    6일 국방부 연병장에서 한민구 합참의장 주관으로 열린 이임 환송의장행사에서 월터 샤프 한미연합군사령관 겸 주한미군사령관이 의장대를 사열하고 있다. 샤프 장군은 ‘전략동맹 2015’를 공동으로 구상해 내실있게 ...
    Date2011.07.06 Views3969
    Read More
  2. 육군 `정훈공보 업무발전 세미나·언론 관계관 간담회'

    육군본부 정훈공보실이 6일 육군회관 무궁화홀에서 연 ‘정훈공보 업무발전 세미나 및 언론 관계관 간담회’에 참석한 여단급 이상 정훈공보참모 등 170여 명이 초빙강연을 듣고 있다. 이헌구 기자 육군본부 정훈공보실...
    Date2011.07.06 Views3626
    Read More
  3. 육군22사단 수색대대 폭우 뚫고 천리행군 완주

    육군22사단 수색대대 장병들이 성공적인 천리행군 복귀를 자축하며 힘찬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육군22사단 수색대대는 지난달 27일부터 5일까지 200㎜의 폭우가 쏟아지는 등 악조건 속에서도 천리행군을 완수했다. ...
    Date2011.07.06 Views5826
    Read More
  4. 軍 영내 총기난사 사고, 해결책 없나?

    [머니투데이 | 김예현 인턴기자 | 입력 2011.07.06 14:01 해병대 총기난사 사고가 사회적 파장을 일으키고 있는 가운데 재발방지를 위한 근본적인 해결책 모색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6일 국방부에 따르면 이번 사건...
    Date2011.07.06 Views2121
    Read More
  5. 예비군훈련장, 안보체험의 장으로

    국방부 10월 서초훈련장 개방 민간인도 사격·서바이벌 가능 / 국방일보 이주형기자 2011.07.05 예비군 훈련장이 일반 국민들에게 개방돼 사격 등을 체험할 수 있는 안보의 장으로 거듭난다. 국방부는 “오는 10월부터 ...
    Date2011.07.05 Views2395
    Read More
  6. K11<국산 복합형 소총>, 11월부터 양산 재개

    방위사업청은 생산이 잠정 중단된 국산 K-11 복합형 소총을 야전운용 적합성을 검증한 후 오는 11월부터 양산을 재개할 예정이라고 4일 밝혔다. 방사청은 이날 “K-11 양산 과정에서 제기됐던 보완 요소의 개선을 완료...
    Date2011.07.05 Views2057
    Read More
  7. 육군 유탄폭발 1명 사망, 해병대 총기난사사고 이어 충격

    육군 유탄폭발, 해병대 총기난사사고.. 하루에만 군사고 사망자 5명 해병대 총기난사사고로 4명이 숨져 우려가 빗발치는 가운데 이번엔 육군에서 유탄이 폭발해 1명이 사망하는 사고가 일어났다. 군은 7월 4일 오전 4...
    Date2011.07.05 Views3186
    Read More
  8. 폭발물처리대폭발물처리 훈련을 통한 합동성 강화

    양준구 소령 (해군 특수전여단) / 국방일보 2011.7.4 내가 근무하고 있는 해군작전사 특수전여단 폭발물처리대(EOD)는 지난달 22ㆍ23일 이틀 동안 영남지역 내 폭발물처리를 담당하고 있는 민·관·군 6개 부대 및 기관...
    Date2011.07.03 Views4107
    Read More
  9. 국군사이버사령부 국직부대로 소속 변경

    <국방일보 김병륜기자 / 2011.07.04> 국방부는 지난 1일 ‘국방개혁 11-30 계획’의 일환으로 국군사이버사령부를 국방정보본부 예하 부대에서 국방부 직할부대로 소속을 변경했다. 국방부는 이날 “사이버 공간에서 테...
    Date2011.07.03 Views3371
    Read More
  10. 군, 담배와의 전쟁!

    국방부, 고강도 금연 프로그램운영 금연부대·장병에겐 `특별 인센티브' / 국방일보 이주형기자 2011.07.04 군이 담배와의 전투에 나섰다. 국방부가 육ㆍ해ㆍ공군의 21개 부대를 전체 금연부대로 선정, 흡연과의 전쟁 ...
    Date2011.07.03 Views2893
    Read More
  11. 북한 목함지뢰 관련 언론 설명자료

    합참은 본격적인 장마기간을 앞두고 집중호우로 인해 북한에서 유실된 목함지뢰가 해안가로 유입될 가능성 이 있다며 지역주민과 피서객들에게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목함지뢰는 가로 20Cm 세로 9Cm, 높이 4Cm의 ...
    Date2011.07.02 Views2782
    Read More
  12. 각군 "사업 축소될라"..방위력개선예산안 감소

    내년도 10조4천600억원 책정..기대치 밑돌아 (서울=연합뉴스) 김귀근 기자 = 육ㆍ해ㆍ공군과 해병대는 내년부터 5년간 각종 무기도입에 투입될 방위력개 선비 편성안이 기대치를 밑돌자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
    Date2011.07.01 Views2942
    Read More
  13. `Clean Navy 운동' 장착 청렴·당당한 해군상 정착

    해군이 올해 4월부터 역점 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는 범해군 의식개혁운동 `클린 네이비(Clean Navy) 운동'이 신념화·내실화 단계로 발전, 청렴하고 위풍당당한 해군상 확립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클린 네이비 운동은 ...
    Date2011.06.30 Views3192
    Read More
  14. 공군사관후보생 126기 임관식 거행

    조국 영공수호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할 428명의 신임 소위가 야전으로 배출됐다. 공군교육사령부는 30일 박종헌 공군참모총장 주관으로 제126기 공군사관후보생 임관식’을 개최했다. 공군 주요 지휘관과 참모, 임관...
    Date2011.06.30 Views5754
    Read More
  15. 정보본부 예하 국방지형정보단 오늘 창설

    통합 지리공간정보센터 역할 수행 / 국방일보 2011.7.1. 김병륜기자 3차원 디지털 입체 지도에 기반한 지형 정보체계를 구축하는 등 군 지형정보 선진화의 기수가 될 국방지형정보단이 1일 창설식을 갖고 정식 출범한...
    Date2011.06.30 Views451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 201 Next
/ 20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