ㅁ 한민구 국방부 장관은 6월 5일(금) 오전 10시 30분 정부서울청사에서 개최된 제 6차 사회관계장관회의에 참석하였다. 이 회의는 황우여 사회부총리 주재로 진행되었으며, 관계부처 합동으로 마련한「교육-군-취업 연계를 위한 군 인적자원개발 추진방안(안)」을 심의‧발표하였다.
ㅇ 이는 국정과제인「군 복무여건 개선 및 국민존중의 국방정책 추진」과 3.13. 개최된 제2차 사회관계장관회의 안건으로 상정된 사회정책 분야 3대 협력과제* 후속조치로서 추진되는 것이다.
* 3대 협력 과제 : 우리 국민이 삶의 단계에서 겪게 되는 3대 단절(군 입대-출산・육아-직장 은퇴)을 범정부 차원에서 해소하기 위해 추진, ① 교육-군-취업 연계 ② 일-가정 양립 ③ 퇴직 연착륙

ㅁ 이번 방안은 ① 교육-군 단절 해소, ② 군-취업 연계 강화, ③ 교육-군-취업 인프라 개선 분야를 중심으로 주요 과제들을 마련하였다.

ㅁ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ㅁ 교육-군 단절 해소
ㅇ 군 복무 자체가 자신의 능력을 더욱 발전시키고 미래설계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입대 전 사회에서의 경력‧자격 및 전공 등을 군 복무와 연계시키는 모집병 확대 및 특기분류제 내실화를 추진한다.
•모집병 확대 계획: (2015년) 50% → (2020년) 60%
•‘개인의 희망과 자력’을 반영한 특기부여 확대 시행
- 이를 통해, 군은 장병의 입대 전 경험과 전공을 군 복무기간 중 활용하여 국방 전문성을 제고하고,
- 장병들은 복무 경험을 전공‧경력과 연계하여 역량을 개발함으로써 보람 있는 군 복무생활을 영위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보병, 포병, 기갑 등 전투병에 보직되는 병사에 대하여는 체력단련, 정신력 강화, 리더십 향상 등을 지원
* 실내 체육관 증설, 계급별 리더십 교육, 독서카페 운영 확대 등
ㅇ 병사들의 80%가 대학 재학 중 입대한 상황을 고려하여 군 복무 중 다양한 분야에서의 학점취득 지원제도를 적극 추진한다.
•2017년까지 대학의 원격강좌 참여율을 50%까지 확대할 수 있도록 교육부와 협업
* 대학 참여 현황(2015년 5월) : 115개(30%) (4년제 94개, 전문대 17개, 사이버대 4개)
•2016년부터 병사들의 원격강좌 수강료 일부 지원
•복무기간 단축에 따라 특기병 병과학교 교육기간이 축소(4주 → 3주)됨에 따른 학점인정 기준 미충족 관련 대책 마련
* 4주 교육과정(병과학교 교육 3주 + 자대실습 1주 포함)을 마련하여 학점은행제에 의한 학점인정 기준을 충족하도록 개선
•평생교육 관점에서 군 경험(교육훈련) 중 대학 교과목과 관련 있는 내용(교양·인성, 리더십, 체력단련 등)의 학점인정 방안 검토
* 군 교육훈련의 내용, 수준, 방식에 대한 분석 및 학점 인정 가능 여부 연구 실시(교육부 공동)
- 이를 통해, 제대 후 복학 시 적응 곤란・학점취득 부담을 다소 해결할 수 있을 것이며,
- 특히, 병사들에게는 봉급(상병기준 약 15만 원) 대비 고액인 원격강좌 수강료 부담이 완화될 것이라 기대된다.
ㅇ 고졸 미만 병사들에 대한 검정고시・독학사 등 자기개발을 지원한다.
•검정고시 응시료·교재 및 학습콘텐츠를 지원하고, 부대별로 ‘학습도우미’ 지정·운영
•독학사 취득을 위한 온라인 학습콘텐츠 및 교재 지원
- 이를 통해, 군 복무기간 중 기초학력을 보완하여 전역 후 다양한 분야에서 자신의 경력 발전을 추구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ㅁ 군-취업 연계 강화
ㅇ 부처 합동으로 맞춤특기병제 활성화를 추진한다.
•맞춤특기병제 적용 범위를 기존 육군에서 해·공군까지로 확대하고, 실시 규모도 대폭 확충
* (2014년∼2015년) 연간 1,000명 내외 → (∼ 2018년) 연간 5,000명 내외
•맞춤특기병제 지원자가 일학습병행, 국가기간·전략직종훈련 등 체계적 직업교육을 받은 경우에는 입대 전 기술훈련을 면제
•맞춤특기병 전역 시 취업정보를 제공하고, 취업성공수당을 지급(고용부 협업)
- 기술을 갖춘 고졸 이하자가 동일・유사 분야에 군 복무 할 수 있는 맞춤특기병제를 확대함으로써 복무 중 기술력을 심화・발전시키고, 전역 후에도 취업이 용이할 것이라 기대된다.
ㅇ 자격증 취득 및 직업진로 교육을 강화한다.
•민간에 비해 우수한 군 특수직무 분야에 대한 국가자격 검정 확대
* (2014년) 3개 종목(헬기정비사, 심해잠수사, 항공장구관리사) → (2016년) 2개 종목 신설 추진(재난안전관리, 수중발파)
•병사들의 국가기술자격 검정(82개 종목)에 대한 행·재정 지원
* 주요종목 : 건설기계정비, 정보처리, 굴삭기 운전, 조리 등
* 검정준비를 위한 집체교육, 강사초빙 교육, 온라인 학습콘텐츠, 도서구입비 지원 등
•직업진로 교육 강화
* 기술 분야 자격증 취득 컨설팅 및 직업・진로교육 확대 실시(고용노동부 협업)
* 게임, 애니메이션 등 문화콘텐츠 제작관련 교육지원(문화체육관광부 협업)
- 장병들의 임무수행 능력이 증진되고, 전역 후에도 취업이 활성화되어 국가산업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ㅁ 교육-군-취업 인프라 개선
ㅇ 일과 후 컴퓨터(PC)를 활용한 학습 및 자기개발을 지원하기 위하여 사이버 지식 정보방(군 부대 내 인터넷 컴퓨터(PC)방 컴퓨터(PC)를 현재 장병 9명당 1대에서 중장기적으로 5명당 1대 수준까지 확대 추진한다.
* (2014) 9명당 1대 → (2015) 8명당 1대(5.6만대) → ・・・ → 목표: 5명당 1대(11만대)
ㅇ 또한, 군 장병들의 역량강화를 위해 우수한 민간 전문가를 활용하는 재능기부시스템을 구축한다.
ㅇ 군 장병들의 정서함양, 교양증진, 자기개발을 위해 병영도서관을 설치‧운영하고, 2018년까지 일반 전초(GOP)/해안소초 등에 독서카페를 설치 확대한다.
* 독서카페 설치 계획 : (2015년 상반기) 14개소 운영 중 → (2015년 하반기) 20개소(민간 기증) → (2016년) 310개소(18억 원) → (2017년) 500개소(29억 원) → (2018년) 410개소(24억 원) 설치
ㅇ 마지막으로 군 인적자원개발 실적 우수부대를 발굴‧표창하고, 우수 사례를 홍보하여 군 인적자원개발 문화 개선을 유도한다.

ㅁ 국방부는 향후에도 범정부 차원의 협력을 통해 군 복무가 ‘인생의 단절기’가 아니라 ‘재도약기’가 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할 예정이다.

ㅁ 한민구 국방부장관은 ‘군은 국가를 위해 헌신하는 장병들이 교육-군-취업 단계의 단절을 극복하여 보다 보람 있고 생산적인 군 복무를 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할 것이며, 이를 위한 범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협력과 지원을 요청’하였다. 끝.


  1. 국방부 “한·미 연합군사훈련 4월1일 실시” 공식 발표

    국방부는 20일 평창동계올림픽과 패럴림픽으로 미뤘던 연례 한미 연합훈련인 키리졸브(KR·컴퓨터 시뮬레이션 위주의 지휘소연습)와 독수리(FE·병력과 장비 전개를 수반하는 야외 실기동연습) 연습을 다음 달 1일 시작...
    Date2018.03.20 Views426
    Read More
  2. 해군사관학교 72기 졸업 및 임관식

    송영무(맨 앞줄 가운데) 국방부 장관이 13일 오후 경남 창원시 진해구 해군사관학교 연병장에서 열린 제72기 해군사관생도 졸업 및 임관식에서 사관생도들의 졸업·임관을 축하하며 ‘손 하트’를 만들고 있다. 사진=국...
    Date2018.03.14 Views839
    Read More
  3. 해군·해병대 병기병과 전승 보장 머리 맞댔다

    해군·해병대 병기병과 주요 직위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전승 보장에 기여하는 핵심 병과로의 도약을 결의했다 해군·해병대 병기병과는 지난 8·9일 경남 창원시 진해기지 운주관 대강당과 해군군수사령부 병기탄약창에...
    Date2018.03.14 Views808
    Read More
  4. 포항특정경비지역사령부 6·25 전사자 유해발굴 개토식

    포항특정경비지역사령부(포특사)가 6·25 전사자 유해발굴 작전에 돌입했다. 포특사는 지난 9일 경북 경주시 안강읍 수변공원에서 2018년 6·25 전사자 유해발굴 개토식을 열고 본격적인 유해발굴에 나섰다. 이날 개토...
    Date2018.03.11 Views397
    Read More
  5. 엄현성 해참총장, 해병대사 방문 ‘국방개혁 2.0’ 핵심 과제 토의

    5일 해병대사령부를 방문한 엄현성(앞줄 가운데) 해군참모총장이 전진구(왼쪽 다섯째) 해병대사령관을 비롯한 해군·해병대 주요 지휘관·참모들과 국방개혁 2.0 핵심 과제의 성공적인 수행을 다짐하며 파이팅을 외치고...
    Date2018.03.08 Views69341
    Read More
  6. 김학용 국회 국방위원장, 해병대 연평부대 방문

    지난 19일 해병대 연평부대를 방문한 김학용(맨 앞줄 오른쪽 둘째) 신임 국회 국방위원장과 서영교·김종대·이종명 국방위원이 이승도(해병소장) 국방부 전비태세검열단장으로부터 2010년 연평도 포격전 당시 소나무에...
    Date2018.01.21 Views633
    Read More
  7. 해군교육사·해병대1사단, 잇따라 사랑의 헌혈운동 전개

    해군교육사령부에서 열린 전반기 사랑의 헌혈 운동에 참가한 장병들이 헌혈증을 들고 기념 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 제공=김미진 하사 해군·해병대 장병들이 따뜻한 생명나눔 실천으로 국민의 군대 상 구현에 단단히 ...
    Date2018.01.18 Views637
    Read More
  8. 해군, 엄현성 해참총장 주관 올해 첫 정책설명회 국방개혁 추진 맞춰 해군·해병대 업무 지지 당부

    엄현성(맨 앞줄 오른쪽 둘째) 해군참모총장이 11일 예비역 정책 설명회 시작에 앞서 참석자들과 국민의례를 하고 있다. 사진 제공=장우성 군무주무관 해군은 11일 서울 해군호텔에서 엄현성 해군참모총장 주관으로 올...
    Date2018.01.14 Views566
    Read More
  9. 한미 정상, 평창올림픽 기간 한미연합군사훈련 연기 합의

    한미 정상은 4일 평창 올림픽 기간 중 한미 연합군사훈련을 실시하지 않기로 합의했다. 이날 청와대에 따르면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밤 10시부터 30분가량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전화통화를 통해 평창올림픽을...
    Date2018.01.05 Views476
    Read More
  10. 국방부, 장성급 인사 단행… 여성 장군 3명 탄생 등 77명 준장으로

    국방부가 28일 장성급 인사를 단행했다. 이날 국방부는 중장(2명)과 소장(31명), 준장(77명) 진급 인사를 발표했다. 준장 진급자는 최초 계획보다 7석이 줄어든 숫자다. 이날 인사에서 김영환 육군소장과 부석종 해군...
    Date2018.01.01 Views1482
    Read More
  11. 문재인 대통령, 신년 장병 격려 영상메시지…강도 높은 국방개혁 강조

    문재인 대통령이 1일 오후 청와대 관저에서 ‘나라답게 정의롭게 국민과의 전화통화’의 시간을 갖고 대상자와 통화하고 있다. 전화통화 대상자들은 혹한에 쓰러진 할아버지를 구한 전농중학교 학생 정호균·엄창민·신세...
    Date2018.01.01 Views500
    Read More
  12. 2018년 달라지는 국방업무

    병사 복지 향상을 위해 봉급이 지난해 대비 두 배 가까이 오른다. 육군 논산훈련소 충성클럽에서 병사들이 간식을 구매해 데우고 있다. 국방일보DB 2018년에는 병장 월급이 40만5700원으로 크게 인상되고, 전역증 대...
    Date2018.01.01 Views766
    Read More
  13. 해군 훈련교관 40명 임명·수료식

    박영식(오른쪽) 해군1군사교육단장이 지난 15일 열린 훈련교관 임명·수료식에서 훈련교관을 악수로 격려하고 있다. 사진 제공=서준혁 중사 정예 해군장병을 길러낼 훈련교관(DI: Drill Instructor) 40명이 탄생했다. ...
    Date2017.12.17 Views10817
    Read More
  14. 「장교 합동임관식」, 각 軍 및 학교별 졸업 및 임관식으로개선

    국방부는 내년부터 장교 합동임관식을 폐지하고, 각 軍 및 학교별로 졸업 및 임관식을 함께 실시하는 이전 방식으로 환원한다고 밝혔다. 장교 합동임관식은 2011년부터 합동성 강화, 행사의 효율성 등을 이유로 시행...
    Date2017.12.14 Views9701
    Read More
  15. 국방부, '제14회 웹어워드 코리아' 정부기관분야 최우수웹사이트 선정

    국방부 인터넷 홈페이지가 '제14회 웹어워드 코리아(WEB AWARD KOREA)' 정부기관분야 최우수 웹사이트로 선정되었다. ‘웹어워드 코리아’는 한 해 동안 새로이 구축되거나 개편된 유무선 기반의 웹사이트들을 대상으로...
    Date2017.12.14 Views950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 201 Next
/ 20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