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봉함.jpg


천자봉함_1.jpg


"오늘 천자봉함 진수식은 우리 해군·해병대가 한 뿌리로서 창군정신을 이어받아 일치 단결해 국민에게 신뢰받고 국가를 위해 헌신하며 세계 속의 해군·해병대로 거침없이 도약해 나가는 힘을 갖추는 전기가 될 것입니다."

잔뜩 찌푸린 하늘에 강한 바람마저 불어 옷깃을 여미게 만들던 15일 오전 11시20분. 울산광역시 현대중공업 차기상륙함(LST-Ⅱ) 2번함 '천자봉함'의 진수식 행사장은 차기상륙함의 탄생을 지켜보기 위해 모여든 관계자들로 붐볐다.

해병대사령관으로는 사상 처음으로 함정의 탄생을 알리는 출생신고와 같은 행사인 진수식의 주빈이 된 이상훈(중장) 사령관의 연설에는 묘한 흥분과 강한 의지가 섞여 있었다.

이 사령관은 "천자봉함은 국내 기술로 개발한 전투체계와 대함 유도탄 방어 기능 등 최신 기술을 탑재해 세계 어느 군의 상륙함정과도 비교할 수 없는 수준으로 우리 국가 위상을 제고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이 사령관은 "우리 해병대의 주 임무인 상륙작전을 위한 상륙기동헬기 탑재와 상륙주정 운용 능력을 구비하고 있고 함정 내에서 상륙작전 지휘가 가능하도록 건조된 천자봉함은 입체적인 고속 합동·연합 상륙작전의 주 전력이 될 것"이라며 "더불어 연합·합동 강제진입작전과 같은 새로운 형태의 신속기동 작전을 구사할 수 있는 융통성 있는 해상 플랫폼을 제공해 줄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이 사령관은 "해군·해병대 팀은 천자봉함과 함께 국가와 국민이 요구할 때는 언제든지 바다로부터 상륙전력을 지상에 신속하게 투사해 강력한 군사작전을 펼치는 것은 물론 재해재난을 포함한 인도주의적 작전 등 비군사 작전 활동 영역에서도 핵심적인 임무를 수행하게 될 것"이라고 역설했다.

그러면서 이 사령관은 "천자봉함은 대한민국의 평화와 안정을 위한 '필승해군', '호국충성 해병대' 구현을 위한 큰 디딤돌이 될 것"이라며 "해군·해병대는 보다 강하고 잘 준비된 태세로 적에게는 전율과 공포를 줘 도발을 억제하고 유사시 전승을 통해 국가와 국민이 인정하고 가장 필요로 하는 최정예 군이 될 것을 약속한다"고 말했다.

이 사령관의 이 같은 약속에 행사장에 있던 참석자들은 일제히 뜨거운 박수로 화답했다.

어어 진수식의 꽃 진수줄 절단과 샴페인 브레이킹에서는 역대 해병대사령관 부인으로는 처음으로 이 사령관의 부인 원윤희 여사가 주인공이 됐다.

'하나, 둘, 셋' 하는 사회자의 카운트가 끊어지기 무섭게 해병대사령관 부인답게 힘차게 손도끼로 진수줄을 내리쳤고, 그 광경을 지켜보던 주위의 참석자들은 "상륙돌격형 진수줄 절단"이라고 입을 모았다.

이날 진수식은 원 여사가 안전항해를 기원하는 의미로 끝에 샴페인이 매달린 오색 테이프를 절단해 천자봉함 선체에 샴페인을 깨트리는 샴페인 브레이킹으로 마무리됐다.

이날 진수식에는 이 사령관 내외를 비롯해 이병권(소장) 해군본부 기획관리참모부장, 권오갑 현대중공업 사장 등 해군·해병대, 방위사업청, 국방기술품질원, 현대중공업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상륙작전이 주 임무인 천자봉함은 4900톤급으로 길이 127m, 최대 속력은 23노트(약 40km/h)이며 함정을 운용하는 승조원은 120여 명이다.

또 완전 무장한 상륙군 300여 명과 고속상륙주정(LCM), 전차, 상륙돌격장갑차(KAAV) 등을 탑재하고 상륙기동헬기 2대를 이·착륙시킬 수 있다.

특히 국내개발 전투체계가 탑재됐고 상륙작전지휘소가 설치돼 있어 상륙작전을 지휘할 수 있는 능력을 갖췄고 기존 고준봉급(LST-Ⅰ, 2600톤급) 상륙함에 비해 기동능력이 배가돼 초수평선 상륙작전 수행도 가능해졌다.

방탄설계적용구역 및 방화격벽 설치로 함정 생존성도 한층 더 강화됐다.

천자봉함은 평시에는 기지와 도서에 대한 병력, 장비 및 물자 수송 임무를 수행하고 국지분쟁 시에는 신속대응전력을 수송한다.

필요 시에는 평화유지활동(PKO) 등 국제협력활동을 지원하며 재해재난 구호 등 비군사적·인도주의적 작전도 수행하게 된다.

천자봉함은 인수시험평가를 거쳐 2016년 후반기에 해군에 인도되며, 전력화 과정을 마친 후 2017년 3월경 작전 배치될 예정이다.

천자봉함의 함명으로 사용된 '천자봉'은 해군·해병대의 발상지이자 해군의 모항(母港)인 진해에 있는 웅산의 한 봉우리다.

해군·해병대 장병 및 예비역들에게는 신병교육 등 양성교육 과정 수료 전 극기주에 반드시 거쳐야 하는 '천자봉 행군'이라는 훈련을 통해 매우 친숙한 봉우리이기도 하다.



  1. 국방부, 병 휴대전화 사용, 평일 외출 등 정책 추진방향 결정

    국방부는 병 휴대전화 사용, 평일 외출, 외박지역 제한 폐지 등 병영문화 혁신과 관련한 정책 추진방향을 결정하였다. 국방부는 병 휴대전화 사용, 평일외출, 외박지역 제한 폐지 등에 대해 그동안 일부 부대 시범 운...
    Date2018.12.27 Views292
    Read More
  2. 마린온 추락 사고 원인은 프로펠러 중심축 균열

    지난 7월 발생한 해병대 상륙기동헬기 마린온의 추락 사고 원인은 프로펠러에 동력을 전달하는 중심축인 로터마스트의 균열 때문인 것으로 최종 결론 났다. 마린온 추락 사고 민·관·군 합동조사위원회는 21일 “소재 ...
    Date2018.12.25 Views315
    Read More
  3. 한국형상륙돌격장갑차(KAAV)에 오른 안규백 국방위원장

    안규백 국회 국방위원장(오른쪽)이 10일 해병대2사단을 방문해 한국형상륙돌격장갑차(KAAV)를 시승하고 있다.
    Date2018.12.11 Views453
    Read More
  4. 남북 한강하구 공동 수로조사 완료

    경기도 파주시 만우리에서 인천시 강화군 말도에 이르는 한강하구 수역이 ‘평화와 협력의 길’로 변모한다. 남북은 9일 지금까지 교류와 접촉이 없었던 한강하구의 물길을 확인하고 현장에서 손을 맞잡았다. 국방부는 ...
    Date2018.12.09 Views528
    Read More
  5. [국방해설] 2019국방예산 46조 6971억 원 어디에 쓰나

    내년 2019년도 국방예산은 46조 6971억 원으로 확정됐다. 이를 살펴보면 남북 화해무드 속에서도 북한의 핵과 대량살상무기(WMD)에 대응하는 한국형 3축체계 구축 등과 관련한 예산이 증액된 것이 크게 주목된다. 전...
    Date2018.12.09 Views623
    Read More
  6. 2019년 국방예산 46조6971억 원

    내년에도 변함없이 추진되는 국방개혁 2.0의 든든한 재정적 뒷받침이 마련됐다. 국방부는 8일 “2019년도 국방예산이 국회 의결을 거쳐 전년보다 8.2% 증가한 46조6971억 원으로 확정됐다”고 밝혔다. 이 증가율은 지난...
    Date2018.12.09 Views274
    Read More
  7. 정경두 국방부 장관, 연말 전군주요지휘관회의 주관

    정경두 국방부 장관이 5일 국방부에서 열린 ‘2018 연말 전군주요지휘관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정 장관은 이날 취임 후 처음으로 ‘전군주요지휘관회의’를 주관했다. 이경원 기자 정경두 국방부 장관이 전군...
    Date2018.12.06 Views265
    Read More
  8. 신형상륙함 4번함 ‘노적봉함’ 취역

    해군 신형상륙함(LST-II) 네 번째 함정인 4900톤급 ‘노적봉함’의 취역식이 열린 3일 진해해군기지에서 승조원들이 경례하고 있다. 국방일보 한재호 기자 포근한 날씨를 보인 3일 오후 2시 진해 군항 서해대. 빨간색과...
    Date2018.12.04 Views752
    Read More
  9. 국방부 후반기 장성급 인사 발표… 합참차장에 원인철 공군중장

    국방부는 22일 정부가 단행한 후반기 장성급 장교 인사를 발표했다. 정부는 김정수·안준석·이진성·윤의철 등 4명의 육군소장을 중장으로 진급시켜 육군특수전사령관과 군단장으로 임명했다. 또 권혁민·김종삼·박기경·...
    Date2018.11.22 Views812
    Read More
  10. ‘해군 암호전투기량 경연대회’ 개최

    지난 20일 해군본부 중회의실에서 열린 ‘해군 암호전투기량 경연대회’에서 참가자들이 주어진 단어를 암호로 조립하고 있다. 사진 제공=서종필 군무주사 해군 최고의 암호 전문가가 선발됐다. 해군은 22일 해군본부 ...
    Date2018.11.22 Views482
    Read More
  11. 차기상륙함 4번함 ‘노적봉함’ 해군에 인도

    방위사업청이 21일 울산 현대중공업에서 차기상륙함 4번함인 ‘노적봉함’을 해군에 인도했다. 사진 제공=방위사업청 방위사업청이 21일 울산 현대중공업에서 차기상륙함(LST-II) 4번함인 ‘노적봉함’을 해군에 인도했다...
    Date2018.11.22 Views275
    Read More
  12. 일과이후 ‘병 개인휴대폰 사용’ 관련 民‧軍 토론회 개최

    국방부는 11월 21일(수) 15시 국방컨벤션 회의실에서 장병과 국민이 참여한 가운데 ‘병 개인휴대폰 사용’에 대한 민(民)‧군(軍) 토론회를 개최한다. 국방부는 사회와의 소통과 자기개발 기회 확대 등을 위해 부대 내...
    Date2018.11.15 Views349
    Read More
  13. 병과 명칭 개정 관련 「군인사법 시행령」 일부개정안 입법예고

    국방부는 11월 14일, 병과 명칭 개정을 위한 「군인사법 시행령」 일부개정안을 입법예고한다. 이번 개정안은 시대변화에 맞지 않는 구시대적 명칭을 개선하고, 현재 수행 중인 병과의 임무를 정확히 표현하는데 주안점...
    Date2018.11.13 Views302
    Read More
  14. 남북, 시범철수 GP 병력·화기 철수 완료

    국방부는 11일 “지난 10일부로 남북은 시범철수하기로 합의한 비무장지대 내 GP의 모든 화기와 장비, 병력 등을 철수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시범철수 GP 장병들이 철수를 위해 철문을 닫고 있는 모습. 국방부 제공 ...
    Date2018.11.11 Views237
    Read More
  15. DMZ 내 화살머리고지에서 유해 추가 발견

    □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이하 ‘국유단’)은 ‘9.19. 남북 군사합의서’의 남북공동유해발굴 이행을 위한 지뢰제거 및 도로개설 작업 중 화살머리 고지에서 3번째와 4번째 유해를 추가로 발견하였습니다. □ 3번째 유해(...
    Date2018.11.07 Views28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 202 Next
/ 202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