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방부는 지난해 린 6시그마 사업으로 108개 과제(육군 46개, 해군 32개, 공군 29개, 국직 1개)를 추진하여 731억 원 이상의 예산절감 효과를 거두는 등 매년 높은 성과를 올리고 있다. 국방부의 린 6시그마 사업은 지난 2011년부터 시작되어 국방부의 대표적인 경영혁신활동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 린 6시그마 : 조직 내의 핵심적 문제를 혁신전문가 주도의 팀 활동을 기반으로 문제해결 프로세스(정의-측정-분석-개선-관리 5단계)를 통해 논리적·체계적으로 해결하는 일련의 혁신활동

□ 국방부는 지난 ‘15년 12월 린 6시그마 성과평가회의를 거쳐 총 6개의 우수과제를 선정하였고, 1.29.(금) 국방부 2층 대회의실에서 국방차관 주관으로 시상 및 발표회를 가질 예정이다.

□ 이번에 금상을 수상한 육군 탄약사령부의 “105밀리 포병탄약 철 약협 군직 정비기술” 은 그동안 정비기술 미보유로 철 약협의 발청 및 부식 발생 시 폐처리 하던 것을 정비기술 개발로 약협의 재활용을 통한 탄약 저장수명 연장 등으로 국방예산을 절감할 수 있는 기술로 평가 받았다.

□ 이 과제를 주관했던 신범수 주무관은 “105밀리 포병탄약 정비과정을 보면서 효율적으로 국방예산을 절감하는 정비방법을 모색하던 중 폐처리 되던 약협의 정비기술을 개발하는 방법을 착안 하였고, 과제로 삼아 추진하였다.

□ 105밀리 철 약협 정비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팀원들(12명)간 논의하던 중에“다양한 상황 하에서 정비를 할 수 있는 것이 필요하다.”고 의견을 모았으며, 그에 따라 정비기술 설계, 시설 및 장비를 설치함으로써 군직정비 기술을 개발하게 되었고, 이렇게 개발된 정비기술은 특허등록 및 출원함으로써 군에서 지속적인 정비기술을 보유 할 수 있게 되었다.

□ 탄약지원사령부 과제팀원들은 과거('97~) 미군 105밀리 포병탄약 정비사례를 조사하는 동시에 외부업체 정비기술에 대한 개념을 확립해 나가면서 약협정비 기술을 지속적으로 군에서 정비할 수 있는 형태를 만들어 나갔다. 특히, 이 과제는 개발과정이 정비공장 현장에서 직접 정비를 적용하고 검증함으로써 탄약정비 기술의 신뢰성을 입증하였다.

□ 기타 과제들도 조직 내 풀기 어려운 현안으로 대두된 사안들을 린 6시그마 방법론을 적용하여 효과적인 해결방안들을 찾아낸 사례들이다.

□ 해군의 “부력 방탄복 방탄판(재) 검사장비 개발”은 실전에 부합되도록 방탄판의 내구성 검사 항목을 6개 추가하고 검사장비 4종을 개발함으로써 실제 전장상황에서 장병의 안전보장 및 생존성을 향상시키기는 계기가 되었으며, 공군의“F-15K 엔진 작업공정 개선으로 정비시간 단축”은 전방 압축기 등의 분해와 세정 및 검사의 중복되는 공정을 통합하고 불필요 세부공정을 발췌 후 삭제하여 지연요소를 제거함으로써 정비기간 및 인시수를 단축하여 작전지원능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게 되었다

□ 국방부는 이번 발표 및 시상식을 통하여 앞으로도 린 6시그마 방법론을 활용한 경영혁신을 지속 추진하여 혁신이 일상화되는 조직문화를 만들어 나갈 계획이다. 끝


  1. 육군 해병대 공군 3개 군번 군인 탄생, 육군 항공운항 준사관 임관 오지성 준위

    지난 18일 육군항공학교에서 열린 항공운항 준사관 임관식을 통해 육·해·공군에서 모두 군번을 받은 첫 헬기 조종사가 된 오지성 준위가 500MD 헬기 앞에서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육군 제공 육·해·공군에서 각각의 ...
    Date2019.01.22 Views1890
    Read More
  2. 일과 후 휴대폰, 4월부터 전 부대 시범 적용

    일과 후 휴대폰 사용 시범운영 부대인 육군25사단 본부근무대 소속 병사가 생활관에서 휴대전화를 사용하고 있다. 양주=국방일보 양동욱 기자 장병들의 기본권을 보장하고, 군 복무여건을 획기적으로 바꿔놓을 ‘병 평...
    Date2019.01.17 Views1304
    Read More
  3. 국방백서로 본 北군사력…핵·미사일 고도화·재래전력 현상유지

    국방부는 15일 공개한 ‘2018 국방백서’를 통해 북한의 핵·미사일 능력은 2년 전에 비해 고도화했으나, 재래식 전력은 대체로 현상 유지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평가했다. 북한군에 대한 국방부의 평가 등이 담긴 국방...
    Date2019.01.15 Views900
    Read More
  4. 「2018 국방백서」 발간

    국방부는 국방정책을 홍보하여 국민의 알권리를 보장하고 군사적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해 「2018 국방백서」를 발간하였다. 「2018 국방백서」는 1967년 이후 23번째로 발간되는 백서로 2016년과 동일한 총 7장의 본문으...
    Date2019.01.15 Views769
    Read More
  5. 국방홍보원 국방일보부장(경력개방형 직위) 공개모집

    국방부와 인사혁신처(중앙선발시험위원회)는 경력개방형 직위로 지정된 국방홍보원 국방일보부장을 공개모집한다. 국방홍보원 국방일보부장은 국방일보․국방저널․국방화보의 제작․발간, 국방관련 행사 사진촬영 및 기...
    Date2019.01.13 Views496
    Read More
  6. 2019~2023 국방중기계획

    국방부는 문재인 정부의 강력한 국방개혁 의지를 토대로‘평화와 번영의 대한민국을 힘으로 뒷받침하는 강한 군대’를조기에 구현하기 위해 향후 5년간 국방비의 연평균 증가율을 최근 10년간 국방예산 연평균 증가율인...
    Date2019.01.13 Views545
    Read More
  7. 2023년까지 국방비 270조원 투입…‘강한 군대’ 조기 구현

    한국형 전투기 ‘KF-X’ 형상. 방위사업청 제공 ‘강한 안보, 책임 국방’ 구현을 위해 올해부터 2023년까지 총 270조 7000억원의 국방비가 투입된다. 이 가운데 94조 1000억원이 방위력 개선을 위해 사용될 예정이다. 국...
    Date2019.01.11 Views433
    Read More
  8. 합동대, 합동기본정규과정 및 합동고급과정 입교식

    합동군사대학교 합동기본정규과정, 해군·해병대 정규특별과정 입교식 행사에서 교육생들이 힘차게 경례하고 있다. 사진 제공=유영임 상사 합동군사대학교가 7일 2019년 합동기본정규과정, 해군·해병대 정규특별과정과...
    Date2019.01.07 Views493
    Read More
  9. 국방부 “日, 초계기 위협비행 사과하고 사실왜곡 중단하라”

    지난달 20일 동해 상에서 우리 해군 광개토대왕함과 함께 구조작전을 펼치던 해경 5001함이 촬영한 일본 P-1 초계기(노란색 원 안)의 모습. 초계기가 상당히 낮게 비행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국방부 유튜브 캡...
    Date2019.01.07 Views353
    Read More
  10. 일본의 초계기 동영상 공개에 대한 국방부 입장

    지난달 20일 동해에서 구조작전을 하는 우리 해군 광개토대왕함을 일본 P-1 초계기가 촬영한 영상. 국방부에 따르면 당시 초계기는 광개토대왕함의 150m 위, 거리 500m까지 접근했다. 국방부 유튜브 캡처 국방부는 한...
    Date2019.01.07 Views276
    Read More
  11. 최첨단 ICT 기술 장착 ‘스마트 해군’ 힘찬 항해

    해군혁신, 기해년 무엇이 달라지나 2019년 해군이 해양강국으로 나아가기 위한 힘찬 항해를 시작한다. 역동하는 안보상황 속에서도 굳건한 안보태세를 확립하며 한반도 평화 정착을 견인해온 해군은 지난해 이룬 성과...
    Date2019.01.01 Views418
    Read More
  12. 대체복무 방안 ‘교정시설 36개월 합숙’ 결정

    헌법 19조에 따른 ‘양심의 자유’를 이유로 병역을 거부하는 이들의 대체복무 방안이 ‘교정시설 36개월’로 정해졌다. 국방부는 지난 28일 이런 내용을 담은 ‘병역법 개정안’과 ‘대체역의 편입 및 복무에 관한 법률안’...
    Date2018.12.31 Views326
    Read More
  13. [국방일보 2018포토 : 강군리포트] 더 강해진 필승해군·무적해병

    민·군 화합의 의미를 더해 제주에서 열렸던 ‘2018 대한민국 해군 국제관함식’은 해군의 올해 역점 사업이었다. 12개국 1만여 명의 외국 장병과 46개국 대표단이 참가한 이번 관함식에서 해군은 바다를 통해 세계 평화...
    Date2018.12.31 Views345
    Read More
  14. 국방부, 병 휴대전화 사용, 평일 외출 등 정책 추진방향 결정

    국방부는 병 휴대전화 사용, 평일 외출, 외박지역 제한 폐지 등 병영문화 혁신과 관련한 정책 추진방향을 결정하였다. 국방부는 병 휴대전화 사용, 평일외출, 외박지역 제한 폐지 등에 대해 그동안 일부 부대 시범 운...
    Date2018.12.27 Views286
    Read More
  15. 마린온 추락 사고 원인은 프로펠러 중심축 균열

    지난 7월 발생한 해병대 상륙기동헬기 마린온의 추락 사고 원인은 프로펠러에 동력을 전달하는 중심축인 로터마스트의 균열 때문인 것으로 최종 결론 났다. 마린온 추락 사고 민·관·군 합동조사위원회는 21일 “소재 ...
    Date2018.12.25 Views31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 201 Next
/ 20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