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일드캣.jpg

1일 작전 배치된 해군 해상작전헬기 ‘와일드캣(AW-159)’이 해상 기동을 하고 있다.뒤쪽에 보이는 함정은 광주함. 해군 제공




‘북 잠수함 잡는 헬기’ 와일드캣(AW-159) 신형 해상작전헬기가 1일 전력화돼 본격적으로 영해수호 임무를 시작했다. 해군은 지난해 두 차례에 걸쳐 인수한 와일드캣 8대 중 4대를 작전 배치했다. 와일드캣 작전배치로 북한 잠수함 위협에 대비한 해군의 대잠작전 능력이 한층 강화돼 입체적인 작전수행 역량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해군은 와일드캣 전력화에 맞춰 이날 경남 거제도 남방 해상에서 대잠전 훈련을 전개했다. 훈련에는 와일드캣 2대와 2500톤급 신형 호위함(FFG) 광주함이 참가해 함정 이착륙, 대잠 탐색 및 공격 절차 등을 펼쳤다.

적 잠수함을 탐색하기 위해 신형 해상작전헬기 와일드캣이 모습을 드러냈다. 호위함 광주함에서 서서히 이륙한 헬기는 이내 해상 한가운데서 적 잠수함을 탐지하기 위해 수면 위 80피트(약 24m)의 저고도로 비행하며 정지했다. 긴 줄에 연결된 수중형 음파탐지기, 디핑 소나(Dipping Sonar: 공중 정지 상태에서 수중으로 내려 잠수함을 탐지하는 능동 소나)를 수중 300m까지 깊숙이 내려 수중 물체 확인에 들어갔다. 디핑 소나가 약 9분간 음파를 쏘며 적 탐색에 나섰다. 적 잠수함으로 추정되는 미식별 수중 물체가 소나에 접촉되자 조종사가 해상 지휘관에게 긴급히 상황을 보고했다.

“수중 접촉물 접촉 보고! ○○○도 ○마일, 적 잠수함으로 판단됨.”

이어 헬기는 적의 예상 위치에 소노부이(Sonobuoy·부표형 음파탐지기) 4발을 투하해 적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했다. 조금 뒤 해상 지휘관으로부터 공격명령을 받았다. 와일드캣은 훈련용 어뢰, 해상 위치 표시탄인 ‘마린 마커’ 2발을 신속히 투하해 적 잠수함을 수장시키며 해군의 ‘핵심 대잠 전력’ 위세를 과시했다.

이날 전력화된 와일드캣은 지난해 6월 해군에 인도됐다. 해군은 기체 인수 이후 7개월간 작전임무 투입을 위한 조종사·조작사·정비사 양성, 주야간 비행훈련, 함정 이착륙 훈련, 전술훈련 등 와일드캣 4대의 전력화 과정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지난해 12월 인수한 나머지 4대는 조종사 등 운용요원을 추가로 양성해 올해 7월 작전 배치할 예정이다.

헬기 최초로 소노부이 장비를 장착한 와일드캣은 호위함 등 전투함에 탑재돼 대잠전·대함전 및 해상정찰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 잠수함 공격을 위한 ‘청상어’ 어뢰와 소형 표적 공격용 12.7㎜ 기관총을 무장으로 장착한다. 또한, 광학 및 적외선 유도 방식의 스파이크 대함유도탄을 장착, 공기부양정을 비롯한 적 함정의 조타실 창문까지 타격할 수 있다.

탐지장비 성능은 대폭 강화됐다. 기존 해상작전헬기 링스(Lynx)보다 엔진 출력, 최대 이륙 중량이 향상돼 체공시간이 약 1시간 증가하는 등 작전성능이 향상됐다. 또한, 링스보다 탐지거리가 2배 이상 늘었고, 탐지면적도 4배 가까이 넓어졌다. 디핑 소나보다 성능이 우수한 저주파 디핑 소나가 탑재돼 있다. 무엇보다 우리나라에 도입된 항공기 중에서는 처음으로 최장 200마일(약 360㎞)까지 탐지 가능한 능동위상배열(AESA) 레이더와 전자광학 열상장비를 장착해 원거리 정밀 감시능력을 갖췄다.

와일드캣은 디핑 소나만 장착할 경우 3시간 이상, 디핑 소나와 청상어 어뢰 1발을 장착했을 때는 2시간 이상, 디핑 소나와 어뢰 2발을 동시 장착했을 때는 1시간 이상 작전이 가능하다. 해군 관계자는 “와일드캣·링스 등 해상작전헬기는 수상함·해상초계기(P-3) 등과 협동으로 대잠작전을 수행한다”면서 “각 상황에 따라 선별적으로 무장을 탑재해 작전 효율성을 발휘할 수 있다”고 밝혔다.

와일드캣 전력화 임무를 수행한 곽한중(중령) 해군622비행대대장은 “AW-159 신형 해상작전헬기는 적 잠수함을 잡기 위한 최첨단 탐지장비와 공격 무기를 탑재하고 비행능력이 향상된 우수한 헬기”라며 “수상·수중 어디든 도발하는 적은 반드시 그 자리에서 수장시키겠다”고 말했다. <국방일보 조아미기자>


와일드캣(AW-159) 주요 제원

주요 임무: 대잠수함전, 대수상함전, 탐색 및 구조, 해상정찰
최대 이륙 중량: 6050㎏
주요 탐지장비: 능동위상배열(AESA) 레이더, 디핑 소나, 소노부이, 전자광학 열상장비
주요 임무장비: 자동비행장치, 디지털 디스플레이, 항재밍 GPS, 선박 자동식별장치(AIS: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전술 데이터 링크(Link-16), 구조용 인양기(Hoist), 대공 유도탄 대응체계
무장: 공대함 유도탄(스파이크 미사일·4기), 청상어 어뢰(2기), 기관총(12.7㎜)



  1. 육군 공군 참모총장 등 대장급 인사 단행

    정부는 육군 및 공군 참모총장, 연합사 부사령관, 작전사령관 2명에 대한 인사를 단행했다. 육군 참모총장에는 現지상작전사령관인 남영신 대장을 보직하고, 공군 참모총장에는 現합참 전략기획본부장인 이성용 중장...
    Date2020.09.21 Views287
    Read More
  2. 군 마트 추석 선물세트 무료 배송

    국군복지단 장병들이 16일 복지단 내 군 마트에서 부모님께 보낼 추석 선물세트를 산 뒤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복지단은 오는 25일까지 군 마트와 인터넷 쇼핑몰을 통해 시중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366개 선물 품목을...
    Date2020.09.20 Views1286
    Read More
  3. 2025년 병장 봉급 100만 원 가까이 된다

    2025년까지 병장 봉급이 월 100만 원 가까이 될 전망이다. 10일 국방부가 발표한 ‘2021∼2025 국방중기계획’에 따르면 병장 봉급은 2025년까지 96만3000원으로 하사 1호봉 월급의 50% 수준까지 오를 예정이다. 올해(54...
    Date2020.09.09 Views1782
    Read More
  4. 2021년 병 월급 12.5% 인상

    정부는 2021년도 국방예산 편성에서 장병의 기본적 생활여건과 생산적인 병영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장병 복무여건을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사기 충천한 선진병영문화를 정착시켜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편성안 중 장...
    Date2020.09.01 Views3040
    Read More
  5. 2021년 국방예산, 전년 대비 5.5% 증가한 52.9조원

    정부는 2021년도 국방예산을 2020년 본예산 대비 5.5% 증가한 52조 9,174억원으로 편성하여 9월 3일(목) 국회에 제출할 예정이다. 정부는 우리 군이 전방위 안보위협에 주도적으로 대응하고, 감염병·테러 등 비전통적...
    Date2020.09.01 Views1513
    Read More
  6. 신임합참의장에 원인철공군참모총장 내정

    신임 합참의장에 원인철(사진) 공군참모총장이 내정됐다. 정부는 31일 “서욱 국방부 장관 내정자의 의견을 반영해 원인철 공군참모총장을 신임 합참의장에 내정하는 인사를 단행했다”고 밝혔다. 공사 32기인 원 내정...
    Date2020.08.31 Views1441
    Read More
  7. 신임 국방부장관에 서욱 육군 참모총장

    문재인 대통령은 28일 신임 국방부 장관으로 서욱(57) 육군 참모총장을 발탁했다. 서 후보자는 광주광역시 출신으로 1985년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해 소위로 임관한 뒤 합동참모본부 작전부장과 작전본부장 등을 거쳐 ...
    Date2020.08.29 Views805
    Read More
  8. 국방부, 코로나19 추가적인 확산 방지를 위한 부대관리 지침 시달

    수도권 지역의 ‘사회적 거리 두기’ 단계가 2단계로 격상됨에 따라 국방부가 추가적인 확산 방지를 위한 부대관리 지침을 16일 시달했다. 이번 지침은 최근 외부 민간강사 출입, 민간 종교시설 참석 등 민간인 접촉에 ...
    Date2020.08.17 Views393
    Read More
  9. 집중호우로 인한 특별재난지역 예비군훈련 면제

    국방부는 코로나19에 더하여 전국적 규모의 집중호우로 인한 크고 작은 피해가 발생하고 있는 상황에서 특별재난지역의 조기 피해 복구와 지역사회 안정을 위하여,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된 지역의 예비군에 대해 202...
    Date2020.08.17 Views225
    Read More
  10. 2025년 병장 월급 100만원 정도 된다.

    2025년까지 병장 봉급이 월 100만 원 가까이 될 전망이다. 10일 국방부가 발표한 ‘2021∼2025 국방중기계획’에 따르면 병장 봉급은 2025년까지 96만3000원으로 하사 1호봉 월급의 50% 수준까지 오를 예정이다. 올해(54...
    Date2020.08.17 Views421
    Read More
  11. 해군사관학교, 54주기 이인호제 거행

    11일 해군사관학교 고(故) 이인호 소령 동상 앞에서 거행된 ‘54주기 이인호제’에서 김명수 해군사관학교장이 헌화 및 분향을 마친 뒤 경례하고 있다. 사진 해군사관학교 해군사관학교는 11일 교내 이인호 소령 동상 ...
    Date2020.08.13 Views329
    Read More
  12. 수해복구 대민지원하는 육군 37사단 장병들

    육군 장병들이 집중호우로 피해를 본 충북 북부지역에서 복구 작업 지원에 나섰다. 육군 37사단 장병들이 충북 제천 산곡동 수해복구 현장에서 대민지원을 실시하고 있다. 육군 37사단 장병들이 제천시 명지동 무지골...
    Date2020.08.05 Views516
    Read More
  13. 해군 각급부대 바다주간 맞아 바다의 날 개시

    3함대 소속 해군과 해병대 장병들이 31일 부대 인근 해안에서 해양환경 정화활동을 실시하고 있다. 부대 제공 해군 각급 부대가 31일부터 오는 7일까지 진행되는 ‘바다 주간’을 맞아 다채로운 바다 사랑 체험활동을 ...
    Date2020.08.02 Views463
    Read More
  14. [2020 하반기부터 이렇게 달라집니다] 대한민국 방위산업 경쟁력

    [2020 하반기부터 이렇게 달라집니다] 대한민국 방위산업 경쟁력 &lt;출처 : 국방부홈페이지&gt;
    Date2020.07.27 Views435
    Read More
  15. [2020 하반기부터 이렇게 달라집니다] 군 인사·복지 시설

    [2020 하반기부터 이렇게 달라집니다] 군 인사·복지 시설 &lt;출처 국방부 홈페이지&gt;&gt;
    Date2020.07.27 Views30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205 Next
/ 205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