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군사관학교 제75기 사관생도 졸업·임관식,  신임 소위 144명 탄생

 

 

해군사관학교 제75기 사관생도 졸업·임관식이 12일 오후 2시 해군사관학교 연병장에서 개최됐다. 행사는 국민의례, 우등상 수여, 졸업증서 및 임관사령장 수여, 계급장 수여, 임관 선서, 대통령 축전 낭독, 교장 식사, 국방부장관 축사, 분열 등의 순으로 진행됐다.

 

서욱 국방부 장관 주관으로 진행된 이날 졸업·임관식에선 해군 121명과 해병대 23명 등 총 144명의 신임장교가해군사관학교.jpg 

소위로 임관했고 이 가운데 여군은 모두 15명으로 해군이 13명, 해병대가 2명이다. 또한 베트남·필리핀·투르크메니스탄 등 3개국의 수탁생도 3명도 이날 졸업식을 함께하고 본국으로 돌아가 장교로 임관할 예정이다.

 

이날 임관하는 144명의 장교들은 지난 2017년 입학해 4년 동안 ‘진리를 구하자’, ‘허위를 버리자’, ‘희생하자’라는 교훈 아래 국가와 국민에 헌신하는 정예 해군ㆍ해병대 장교가 되기 위해 정진해왔다. 

 

영예의 대통령상은 4년간 종합성적을 합산해 가장 우수한 성적을 거둔 최윤호 소위(남/22세, 해군)가 수상한다. 최 소위는 “국가에 충성하고 필승해군의 전통을 계승하기 위한 훌륭한 해군장교가 될 수 있도록 꾸준히 배우고 노력하겠다”라고 포부를 밝혔다.

 

또 국무총리상은 최상빈 소위(22), 국방부 장관상은 양병준 소위(22), 합참의장상은 최상인 소위(24), 한미연합사령관상은 신정우 소위(23), 해군참모총장상은 김기환 소위(22), 육군참모총장상은 서지호 소위(22), 공군참모총장상은 정지훈 소위(23), 해병대사령관상은 이채윤 소위(22·여), 그리고 해군사관학교장상은 김건모 소위(23)가 각각 수상했으며 정지훈·이채윤 소위는 해병대, 나머지 인원은 해군 소속이다.

 

해군사관학교 75기 해병대 수상자.jpg

 <공군참모총장상(사진 좌) 정지훈소위와 해병대사령관상 이채윤소위>

 

 

이날 임관한 신임 장교들의 이색 사연도 눈길을 끌었다. 먼저 최상인 소위(남/24세, 해군)를 비롯해 4명의 신임 장교가 형제ㆍ남매 군인으로 탄생했다.

 

최상인 소위는 “먼저 군인이 된 형을 보며 군인에 대한 동경심을 갖고 있었는데, 이제 형과 함께 명예로운 길을 걷게 되어 가슴이 벅차다”며, “자랑스러운 대한민국 군인으로서 바다와 땅을 굳건히 지켜내는 든든한 형제가 되겠다”고 각오를 밝혔다.

 

임현우 소위(남/22세, 해군)는 6·25전쟁 참전유공자 고(故) 고학용 하사의 외손자이다. 고 고학용 하사는 6·25전쟁 당시 불굴의 의지로 적과 맞서 싸운 공로를 인정받아 화랑무공훈장을 수훈했다. 이 밖에도 곽성빈(남/22세, 해군)ㆍ김구열(남/23세, 해군)ㆍ남승표(남/23세, 해군)ㆍ박귀현(남/24세, 해군)ㆍ김지환(남/22세, 해군)ㆍ박현준(남/22세, 해병)ㆍ송예준(여/22세, 해군)ㆍ신형동(남/22세, 해군)ㆍ윤종민(남/23세, 해군) 소위가 6ㆍ25전쟁 참전용사의 후손으로 선대의 호국정신을 이어받아 해군ㆍ해병대 장교로 임관, 해양수호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

 

전대준(남/22세, 해병), 유환일(남/22세, 해군) 소위는 사관생도 생활 중 인간의 한계를 시험하는 대회에 여러 차례 참가한 강인한 체력의 소유자다. 전 소위는 마라톤 대회 17회, 트라이애슬론 대회에 2회 참가했으며, 유 소위는 트라이애슬론 대회에만 여섯 번 참가해 두 차례 입상했다. 유 소위는 “군인으로서 극한의 정신력 함양 및 강철 체력을 위해 대회에 참가하면서 스스로의 한계를 극복해 왔다”며 “싸우면 반드시 이기고, 국민에게 신뢰받는 해군장교가 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3명의 외국군 수탁생도도 졸업을 하며, 본국으로 돌아가 임관할 예정이다. 베트남의 응우엔 꿕 중(Nguyen Quoc Trung, 남/23세) 생도, 필리핀의 페스타노 세실 킴(Pestano Cecil Kim, 남/26세) 생도, 투르크메니스탄의 오베즈굴예프 막사트(Ovezgulyyev Maksat, 남/24세) 생도가 그 주인공이다. 

 

필리핀에서 온 페스타노 세실 킴 생도는 “대한민국은 저의 두 번째 집이자, 나의 마음을 사로잡은 제2의 조국”이라며, “필리핀에서 장교로 복무하는 동안 필리핀과 대한민국 간 군사교류 협력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해군사관학교는 군사교류의 일환으로 2008년부터 외국 사관생도 수탁교육을 시작해 지금까지 5개국 24명의 외국군 졸업생을 배출했다. 현재는 아제르바이잔, 캄보디아, 터키, 사우디아라비아 등 10개국 19명의 수탁생도들이 교육을 받고 있다.

 

이날 해군사관학교 앞 옥포만 해상에는 구축함 충무공이순신함(4,400톤급), 최초의 훈련함 한산도함(4,500톤급), 군수지원함 소양함(10,000톤급), 기뢰탐색함 김포함(450톤급)과 214급 잠수함 손원일함(1,800톤급), 209급 잠수함 나대용함(1,200톤급)이 위치해 대한민국 해군의 위용을 드러냈다.

 

또한 해상초계기와 해상작전헬기의 공중사열, 해군특수전요원(UDT/SEAL)의 해상 급속강하 시범, 고속단정 해상사열 등이 차례로 펼쳐지며 75기 해군사관생도들의 졸업 및 임관을 축하했다.

 

한편 해군사관학교는 개교 75주년을 맞아 ‘국민과 함께한 75년, 미래로 도약하는 해사’를 주제로 특별 사진전을 마련하고, 졸업생 147명 모두의 이름을 담은 포토월을 운영해 졸업과 임관의 의미를 되새기고 있다. 

 

이날 졸업·임관식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방역 차원에서 가족·외부인 초청 없이 교내 행사로 진행됐다.



  1. 국방부, 병 휴대전화 사용, 평일 외출 등 정책 추진방향 결정

    국방부는 병 휴대전화 사용, 평일 외출, 외박지역 제한 폐지 등 병영문화 혁신과 관련한 정책 추진방향을 결정하였다. 국방부는 병 휴대전화 사용, 평일외출, 외박지역 제한 폐지 등에 대해 그동안 일부 부대 시범 운...
    Date2018.12.27 Views292
    Read More
  2. 마린온 추락 사고 원인은 프로펠러 중심축 균열

    지난 7월 발생한 해병대 상륙기동헬기 마린온의 추락 사고 원인은 프로펠러에 동력을 전달하는 중심축인 로터마스트의 균열 때문인 것으로 최종 결론 났다. 마린온 추락 사고 민·관·군 합동조사위원회는 21일 “소재 ...
    Date2018.12.25 Views315
    Read More
  3. 한국형상륙돌격장갑차(KAAV)에 오른 안규백 국방위원장

    안규백 국회 국방위원장(오른쪽)이 10일 해병대2사단을 방문해 한국형상륙돌격장갑차(KAAV)를 시승하고 있다.
    Date2018.12.11 Views453
    Read More
  4. 남북 한강하구 공동 수로조사 완료

    경기도 파주시 만우리에서 인천시 강화군 말도에 이르는 한강하구 수역이 ‘평화와 협력의 길’로 변모한다. 남북은 9일 지금까지 교류와 접촉이 없었던 한강하구의 물길을 확인하고 현장에서 손을 맞잡았다. 국방부는 ...
    Date2018.12.09 Views528
    Read More
  5. [국방해설] 2019국방예산 46조 6971억 원 어디에 쓰나

    내년 2019년도 국방예산은 46조 6971억 원으로 확정됐다. 이를 살펴보면 남북 화해무드 속에서도 북한의 핵과 대량살상무기(WMD)에 대응하는 한국형 3축체계 구축 등과 관련한 예산이 증액된 것이 크게 주목된다. 전...
    Date2018.12.09 Views623
    Read More
  6. 2019년 국방예산 46조6971억 원

    내년에도 변함없이 추진되는 국방개혁 2.0의 든든한 재정적 뒷받침이 마련됐다. 국방부는 8일 “2019년도 국방예산이 국회 의결을 거쳐 전년보다 8.2% 증가한 46조6971억 원으로 확정됐다”고 밝혔다. 이 증가율은 지난...
    Date2018.12.09 Views274
    Read More
  7. 정경두 국방부 장관, 연말 전군주요지휘관회의 주관

    정경두 국방부 장관이 5일 국방부에서 열린 ‘2018 연말 전군주요지휘관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정 장관은 이날 취임 후 처음으로 ‘전군주요지휘관회의’를 주관했다. 이경원 기자 정경두 국방부 장관이 전군...
    Date2018.12.06 Views265
    Read More
  8. 신형상륙함 4번함 ‘노적봉함’ 취역

    해군 신형상륙함(LST-II) 네 번째 함정인 4900톤급 ‘노적봉함’의 취역식이 열린 3일 진해해군기지에서 승조원들이 경례하고 있다. 국방일보 한재호 기자 포근한 날씨를 보인 3일 오후 2시 진해 군항 서해대. 빨간색과...
    Date2018.12.04 Views752
    Read More
  9. 국방부 후반기 장성급 인사 발표… 합참차장에 원인철 공군중장

    국방부는 22일 정부가 단행한 후반기 장성급 장교 인사를 발표했다. 정부는 김정수·안준석·이진성·윤의철 등 4명의 육군소장을 중장으로 진급시켜 육군특수전사령관과 군단장으로 임명했다. 또 권혁민·김종삼·박기경·...
    Date2018.11.22 Views812
    Read More
  10. ‘해군 암호전투기량 경연대회’ 개최

    지난 20일 해군본부 중회의실에서 열린 ‘해군 암호전투기량 경연대회’에서 참가자들이 주어진 단어를 암호로 조립하고 있다. 사진 제공=서종필 군무주사 해군 최고의 암호 전문가가 선발됐다. 해군은 22일 해군본부 ...
    Date2018.11.22 Views482
    Read More
  11. 차기상륙함 4번함 ‘노적봉함’ 해군에 인도

    방위사업청이 21일 울산 현대중공업에서 차기상륙함 4번함인 ‘노적봉함’을 해군에 인도했다. 사진 제공=방위사업청 방위사업청이 21일 울산 현대중공업에서 차기상륙함(LST-II) 4번함인 ‘노적봉함’을 해군에 인도했다...
    Date2018.11.22 Views275
    Read More
  12. 일과이후 ‘병 개인휴대폰 사용’ 관련 民‧軍 토론회 개최

    국방부는 11월 21일(수) 15시 국방컨벤션 회의실에서 장병과 국민이 참여한 가운데 ‘병 개인휴대폰 사용’에 대한 민(民)‧군(軍) 토론회를 개최한다. 국방부는 사회와의 소통과 자기개발 기회 확대 등을 위해 부대 내...
    Date2018.11.15 Views349
    Read More
  13. 병과 명칭 개정 관련 「군인사법 시행령」 일부개정안 입법예고

    국방부는 11월 14일, 병과 명칭 개정을 위한 「군인사법 시행령」 일부개정안을 입법예고한다. 이번 개정안은 시대변화에 맞지 않는 구시대적 명칭을 개선하고, 현재 수행 중인 병과의 임무를 정확히 표현하는데 주안점...
    Date2018.11.13 Views302
    Read More
  14. 남북, 시범철수 GP 병력·화기 철수 완료

    국방부는 11일 “지난 10일부로 남북은 시범철수하기로 합의한 비무장지대 내 GP의 모든 화기와 장비, 병력 등을 철수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시범철수 GP 장병들이 철수를 위해 철문을 닫고 있는 모습. 국방부 제공 ...
    Date2018.11.11 Views237
    Read More
  15. DMZ 내 화살머리고지에서 유해 추가 발견

    □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이하 ‘국유단’)은 ‘9.19. 남북 군사합의서’의 남북공동유해발굴 이행을 위한 지뢰제거 및 도로개설 작업 중 화살머리 고지에서 3번째와 4번째 유해를 추가로 발견하였습니다. □ 3번째 유해(...
    Date2018.11.07 Views280
    Read More
  16. 실미도 공작원 유해 매장지 제보자를 찾습니다.

    □ ‘실미도 사건’은 대북침투작전을 목적으로 창설된 실미도부대가 1971년 8월 23일 가혹한 훈련과 부당한 처우에 반발해 부대를 탈출하여 서울로 향하던 과정에서 다수의 사망자가 발생한 불행한 과거사입니다. □ 사...
    Date2018.11.07 Views380
    Read More
  17. 육·해·공군 사관생도, 첫 해외 합동순항훈련

    3군 합동순항훈련전단 참모들이 지난 24일 진해군항에 정박해 있는 훈련함정 앞에서 파이팅을 외치며 훈련 성공 결의를 다지고 있다. 왼쪽부터 윤효은(육군소령) 간호장교, 송재우(공군대위) 의무참모, 이상훈(해군소...
    Date2018.10.31 Views857
    Read More
  18. ‘군인의 지위 및 복무에 관한 기본법 시행령’ 일부 개정안 시행

    ● 임신·출산·육아 관련 달라지는 것들 만 5세 이하 자녀 부모, 24개월 범위 내 하루 최대 2시간 육아시간 여군 출산휴가 분할사용 대상 연령 40세 이상→35세 이상 임신 중인 모든 여군 하루 2시간 모성보호시간 보장 ...
    Date2018.10.30 Views52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74 75 76 77 78 ... 168 Next
/ 168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