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덱스2021 1.jpg

2021국제해양방위산업전에 마련된 해군 경항공모함 전시관.

 

 

[국방일보 2021.06.18 인터넷] 최근 우리 군의 방위력개선사업에서 가장 핫(hot)한 이슈는 단연 경항공모함(경항모)이다. 지난 9일부터 12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2021국제해양방위산업전(마덱스 MADEX·International Maritime Defense Industry Exhibition)에서 해군본부는 ‘경항공모함 전시관’을 마련, 경항모 확보의 당위성을 소개했으며 국내 조선업을 대표하는 대우조선해양과 현대중공업은 각각 제작한 개념설계 모형을 제시해 향후 경항모 건조사업에서의 뜨거운 수주 경쟁을 예고했다.

 

마덱스2021 2.jpg

 

2020년 12월 합동참모본부에서 필요성이 인정돼 소요가 결정된 이후 경항모 확보 당위성을 적극적으로 홍보해온 해군은 그 동안 개념설계를 통해 제작한 모형을 제시해 경항모에 대한 이해 도왔다.

 

해군의 개념설계 모형을 보면, 평갑판(flat deck)과 2개의 상부 구조물(island)를 설치한 길이 265m에 폭 43m의 3만톤급(경하톤수)의 크기의 경항공모함이다.

 

이는 해군이 운용하고 있는 대형수송함(LPH) 독도함의 길이 199.4m, 폭 30m에 배수량 1만4,500톤보다 훨씬 큰 규모이지만 중국의 6만톤급(길이 304m)의 중형항모 랴오닝함, 길이 7만톤급(길이 315m) 산둥함 그리고 350~380m로 추정되는 Type-003함의 8만5000톤급보다는 비교가 된다. 일본의 경우 헬기모함급이나 다름없는 길이 248m에 2만4000톤급의 이즈모함을 운용하고 있는데 곧 F-35B와 같은 수직 이착륙기를 운용할 수 있는 경항모로 개조될 예정이다.

 

 

     ■ 한국형 경항공모함 개념설계모델 비교

 

마덱스2021 3.jpg

마덱스2021 4.jpg

대우조선해양이 제시한 한국형 경항공모함 모델로서 125대1 크기의 모형이다.

 

 

대우조선해양은 경항공모함 건조와 관련해 2015년 ‘한국형 경항공모함 확보를 위한 선도형 핵심기술과제 발굴 및 로드맵 수립’과 2016년 ‘스텔스형 전투기가 적용된 건조 가능성 검토’ 등 해군이 발주한 각종 연구과제를 수행하면서 자체적으로 꾸준한 핵심기술 조사 분석을 통해 경항모 설계를 발전시켜왔다는 점을 강조했다.

 

대우조선해양이 제시한 모델은 평갑판에 2개의 아일랜드가 설치된 모습으로 해군의 개념설계 모델과 외관적으로 거의 유사하다. 다만 해군의 개념설계 모델과는 길이가 2m 가량 짧은 대신 폭이 4m 정도 넓다. 탑재 예정인 주요 무기체계의 배치도 약간 상이하다.

 

마덱스2021 5.jpg

대우조선해양의 소개 동영상에서 캡처한 항해 이미지. 

 

 

이와 관련, 대우조선해양 관계자는 “해군이 제시하고 있는 모든 요구조건(ROC)를 충족시키면서 운용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함정의 크기를 최대한 압축했다”면서 “특히 전투기가 일정 시간 내에 최대한 출격하는 출격가능횟수 즉 ‘소티 생성률(sortie generation rate)’에 중점을 두고 설계했다”고 설명했다. 

 

 

그 예로서 함재기를 갑판으로 이동시킬 엘리베이터를 함 우현으로만 배치해 효율적인 함재기 이동 동선을 설계에 반영하고 있다. 또한 최적의 항공기 운용을 위한 설계의 일환으로 함교에서의 효율적인 지휘통제를 위해 전방표시장치(Head Up Display)를 적용하고 있다.

 

 

마덱스2021 6.jpg

대우조선해양의 모델은 함재기를 비행갑판으로 이동시키는 엘리베이터를 우현쪽으로 배치하고 있으며(왼쪽), 함교의 작전요원들의 효율적인 지휘통제를 위해 첨단 전방표시장치(Head Up Display)를 적용하는 안을 제시했다. 사진=대우해양조선 영상 캡처.

 

 

마덱스2021 7.jpg

대우조선해양 경항모의 격납고 구성. 소개 영상 캡처. 

 

현대중공업은 함수에 스키점프(ski jump) 형식을 적용한 모델을 제시해 눈길을 ‘확’ 모았다. 해군이 이미 스키점프 형식이 아닌 일반 평갑판을 적용할 것이라고 밝힌 상태이기 때문이다. 스키점프대는 이탈리아의 카보우르함, 영국의 항공모함 퀸엘리자베스함 등에서 채택하고 있다.

 

마덱스2021 8.jpg

2021국제해양방위산업전에서 현대중공업이 제시한 경항공모함 모형을 관람하고 있다. 사진 = 양동욱 기자

 

 

1대 150 크기로 제시한 현대중공업 개발모델은 3만톤급으로 배수량 면에서 해군의 개념모델과 동일하고 역시 2개의 아일랜드 형식을 취하고 있지만 비행갑판 폭을 약 30% 확장한 전체길이 270m, 폭 60여m(비행갑판 길이 260m, 폭57m)의 크기이다.

 

현대중공업 관계자는 “해군의 개념설계 모델보다 함재기를 더 많이 운용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면서 “스키점프대를 추가한 것은 활주 길이를 감소시켜 함재기에 더 많은 무장과 연료를 탑재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경항모의 미래 확장성을 염두에 두고 향후 비행갑판의 개조/개조가 용이토록 설계했다”며, “이 경우 어레스팅 와이어(arresting wire)를 이용한 착륙이 가능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현대중공업의 모델은 함미에 무인항공기(UAV) 및 무인수상정·잠수정(USV·UUV)을 운용할 수 있는 공간/플랫폼도 제시하고 있다.

 

마덱스2021 9.jpg

현대중공업의 경항모 소개 영상에서 캡처한 격납고 내 항공기 정비.

 

마덱스2021 10.jpg

현대중공업 소개 영상에서 제시된 함미의 무인체계(UAV·UUV·USA) 운용 플랫폼. 

 

 

경항공모함은 기본적으로 함정을 공격하는 대함미사일을 방어할 미사일 및 발사체계를 비롯해 함정의 최종 수비수 근접방어무기체계(CIWS)-Ⅱ, 12.7mm 중기관총 그리고 대(對)유도탄기만체계와 어뢰음향대항체계(TACM), 전자전장비(재밍송신장치), 정밀접근레이더 및 중·장거리 관제레이더 등 갖추게 된다.

 

마덱스2021 11.jpg

대우조선해양이 개념모델에서 각종 탑재 무기체계를 배치한 사례. 

 

 

이번 MADEX에서는 경항모에서 다종의 미사일을 함께 발사할 수 있는 한국형 수직발사체계(KVLS·Korean Vertical Launching System)-Ⅱ을 한화시스템이, 근접방어무기체계로는 국내 개발될 30mm 개틀링기관포 기반의 CIWS-Ⅱ를 한화시스템과 LIG넥스원이 선보였다.

 

마덱스2021 12.jpg

    한화시스템이 선보인 한국형 수직발사체계(KVLS·Korean Vertical Launching System)-Ⅱ. 한국형 표준 수직발사대로서 다종의 미사일을 함정 내부에 탑재해 수직으로 발사한다.  

 

마덱스2021 13.jpg

   경항모를 비롯해 해군의 차기 구축함 등 주요 함정에 탑재하기 위해 국내 개발 근접방어무기체계(CIWS)-Ⅱ 사업을 수주하기 위해 한화시스템(왼쪽)과 LIG넥스원(오른쪽)이 각각 제시한 모델. 

 

 

경항공모함을 건조하는 데는 얼마나 들까. 해군은 2조여 원이 들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하지만 함정을 국내에서 건조하고 탑재되는 무기체계와 전투체계(combat system) 등을 국내 연구개발을 통해 획득하게 되므로 국내 산업발전에 기여하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경항모를 운영에 소요되는 비용은 연료비, 수리비, 정비비 등 수순 운영유지비만을 볼 때 연 500억 원 수준이 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이는 2021년 올해 해군예산의 약 0.06% 수준이다.

 

경항모 건조사업에는 약 10년이라는 장기간이 소요될 전망이다. 현재 경항모를 건조 운영하는 일이 적절한지를 검증하는 사업타당성조사를 비롯한 선행절차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후 기본설계 및 상세설계를 거쳐 본격적인 함 건조가 진행돼 2033년께 전력화가 이뤄질 것으로 해군은 전망하고 있다.  <국방일보 신인호기자>

 


TAG •

  1. 제54주년 예비군의 날

    2022년 4월 1일(금)은 제54주년 예비군의 날이다. 이번 제54주년 예비군의 날 기념식 행사는 코로나19 상황과 지역별 행사 여건을 고려하여 각 지방자치단체와 군부대에서 정부 방역수칙 준수하 시행되었다. 육군 수...
    Date2022.04.01 Views5450
    Read More
  2. 국립서울현충원, 호국문예 백일장과 그림그리기 대회 개최

    국립서울현충원(원장 김수삼)은 순국선열과 호국영령들의 숭고한 나라사랑 정신을 계승하고 이를 널리 확산하기 위해 국민을 대상으로 5월 21일 10시, 현충원 경내에서 호국문예백일장과 그림 그리기 대회를 개최한다...
    Date2022.04.01 Views3882
    Read More
  3. 김정수 해군참모총장, 올해 첫 장성단 토의 해병대사령부에서 주관

    김정수(가운데) 해군참모총장이 31일 해병대사령부에서 장성단 토의를 주관하고 있다. 사진 해군 김정수 해군참모총장은 31일 해병대사령부에서 해군·해병대 주요 직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올해 첫 장성단 토의를 주...
    Date2022.03.31 Views12732
    Read More
  4. 육군, 제54주년 예비군의 날 예비군 초청행사

    - 코로나19 대민 지원 180여 회, 41년간 지원예비군 소대장 헌신 등 눈길 - 예비군 홍보대사에 육군 특전사 출신 방송인 최영재 · 유튜버 박은하 씨 위촉 육군이 오는 4월 1일 제54주년 예비군의 날을 앞두고 국가에 ...
    Date2022.03.30 Views2671
    Read More
  5. 132기 해군사관후보생 입교식

    132기 해군사관후보생들이 30일 해군사관학교 연병장에서 열린 입교식에서 경례하고 있다. 사진=전준혁 하사 미래 해군·해병대를 이끌 132기 해군사관후보생 229명이 30일 해군사관학교(해사) 연병장에서 입교식을 갖...
    Date2022.03.30 Views2439
    Read More
  6. 국가보훈처, 대일 심리전 제안문건 종이폭탄 최초 발굴·공개

    오른쪽부터 차례로 한국어, 일본어, 베트남어, 미얀마어로 각각 작성된 선전물로써 조선동포들에게는 3・1혁명정신을 부활시켜 조직적 대혁명을 일으킬 것, 일본군 병사들에게는 일본군벌을 타도하고 진실로 일본민중...
    Date2022.03.30 Views1896
    Read More
  7. 우주강국 도약을 위한 고체 우주발사체 첫 시험발사 성공

    국방과학연구소(ADD)는 3월 30일 국방과학연구소 종합시험장에서 국방부장관 및 각 군 주요 인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순수 우리 기술로 개발한 고체추진 우주발사체의 성능 검증을 위한 첫 번째 시험발사에 성공했다고...
    Date2022.03.30 Views1838
    Read More
  8. 한국-뉴질랜드 국방차관 양자회담 실시

    박재민(왼쪽) 국방부 차관이 28일 오후 서울 용산구 국방부 청사에서 앤드루 브리지먼(오른쪽) 뉴질랜드 국방차관과 역내 안보정세 및 양국 간 국방협력 방안 등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사진 국방부 박재민 국방부 차...
    Date2022.03.28 Views1556
    Read More
  9. 서욱 국방부장관, 공군기지 대비태세 점검

    서욱 국방부장관은 3월 25일, 공군기지를 방문하여 ’대한민국을 지키는 보이지 않는 힘‘ F-35A의 「Elephant Walk 훈련」을 현장지휘하고 어제 북한의 ICBM 발사 관련 우리 군의 군사대비태세를 점검했다. 이번 공군기...
    Date2022.03.27 Views1719
    Read More
  10. 해군, 서해수호의 날 추모행사

    26일 해군2함대사령부 천안함 46용사 추모비 앞에서 진행한 제12주기 천안함 46용사 추모식에서 최원일(예비역 대령·맨 앞) 전 천안함장을 비롯한 참전 장병들이 경례하고 있다. 부대 제공 해군 수병들이 제7회 서해...
    Date2022.03.27 Views1115
    Read More
  11.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국방드론 발간

    미래국방 2030 기술전략 : 드론 표지 국방기술진흥연구소(이하 국기연, 소장 임영일)는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대표적 신 기술, 신 산업 분야인 국방 드론 개발을 선도하기 위한 핵심기술을 도출하고 기술 확보 전략...
    Date2022.03.25 Views3429
    Read More
  12. 공군 중앙방공통제소 성능개량 체계개발 착수

    방위사업청(청장 강은호)은 대한민국 영공방어를 책임지는 공군의 지휘통제체계인 중앙방공통제소(MCRC)의 성능개량 체계개발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중앙방공통제소(MCRC, Master Control & Reporting Center) : 효과...
    Date2022.03.25 Views1363
    Read More
  13. 광대역 잡음을 이용한 레이더 핵심기술 개발

    - 상호간섭 및 피탐지 확률을 줄인 근거리 레이더 기술 확보 - 국방과학연구소 부설 방위산업기술지원센터(센터장 엄동환)와 STX엔진은 산학연 주관 핵심기술 응용연구 과제인 ‘광대역 잡음레이더 기술’을 통해 근거...
    Date2022.03.25 Views1259
    Read More
  14. 신형 호위함(FFX Batch-II) 8번함 춘천함 진수식

    ▲ 신형 호위함 춘천함(FFG-827)과 동형 함정인 경남함(FFG-819) 항해 사진사진 방위사업청 해군과 방위사업청은 3월 22일 오후 울산 현대중공업에서 신형 호위함(FFX Batch-II) 8번함인 춘천함 진수식을 거행했다. 춘...
    Date2022.03.25 Views1371
    Read More
  15. 제7회 서해수호의 날, 서해의 별이 되어 영원한 이름으로

    제7회 서해수호의 날, 서해의 별이 되어 영원한 이름으로 국방부 카드뉴스
    Date2022.03.24 Views315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 201 Next
/ 20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