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이폭탄 삐라.jpg

오른쪽부터 차례로 한국어, 일본어, 베트남어, 미얀마어로 각각 작성된 선전물로써 조선동포들에게는 3・1혁명정신을 부활시켜 조직적 대혁명을 일으킬 것, 일본군 병사들에게는 일본군벌을 타도하고 진실로 일본민중을 사랑할 것, 베트남과 미얀마 동지들에게는 인류와 세계의 평화를 위해 연합하여 항일전선을 구축할 것을 촉구하고 있음(출처: 하와이대학교 한국학연구소(Center for Korean Studies University of Hawai'i at Manoa)  사진 국가보훈처

 

국가보훈처(처장 황기철)는 1942년 10월 중국 쿤밍(昆明)에서 활동했던 젊은 독립운동가들이 미국 연방정부에 전달하기 위해 작성한 ‘대일 심리전 제안문건(제목 : 한국인은 추축국과 싸우는 연합국에게 종이폭탄*을 제공합니다(KOREAN CONTRIBUTES PAPER BOMBS TO ALLIES AGAINST THE AXIS)’을 공개한다고 29일 밝혔다. 

‘종이폭탄(Paper Bombs)’은 총칼로 싸우는 전쟁이 아니라 적군의 마음을 동요케 하여 전쟁능력을 떨어뜨리고 심리적 타격을 주는 종이 전단(일명 ‘삐라’)이다.

해당 문건은 국가보훈처가 작년 12월 미국 하와이대학교 한국학연구소에서 수집한 조지 맥아피 맥큔(George McAfee McCune) 문서 군에서 발굴한 것으로 ‘한국광복군의 대미 군사연대 제안 공식문서’에 이어 두 번째로 공개되는 희귀 독립운동 사료이다. 

조지 맥아피 맥큔(1908~1948)은 미국 출신 선교사이자 독립운동가로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받은 조지 새넌 맥큔(George Shannon McCune)의 아들이며, 태평양전쟁 발발 후 미국 전략정보국(OSS), 국무부 등에서 한국 전문가로 활동하면서 독립운동 관련 문서를 다수 소장하게 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독립당의 소장파 인사들을 중심으로 구성된 한국혁명통일촉진회(이하 ‘촉진회’)는 미국 연방정부에 그들의 제안을 전달하기 위해 당시 임시정부 주미외교위원부의 위원장을 맡고 있던 ‘이승만 박사’에게 이 문건을 보냈다. 

한국혁명통일촉진회는 1942년 6월 중국 쿤밍에서 강창제, 조중철, 김우경 등 한국독립당 소장파 인사들이 중심이 되어 조직한 독립운동단체로, 태평양전쟁 이후 독립운동 단체 간의 통합운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하였다.

미국 국무부의 한국 전문가였던 맥큔의 문서 군에서 이 문건이 발견된 사실로 볼 때 촉진회의 의도대로 문건이 연방정부에 전달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총 5쪽 분량의 문건은 종이폭탄의 제작 이유와 예상 효과 등을 설명하며 연합국이 이를 효과적으로 사용해 줄 것을 요청하는 편지 형식의 자료와 한국어, 일본어, 베트남어, 미얀마어로 각각 작성된 선전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자료는 태평양전쟁 발발 이후 미국을 중심으로 한 대일 공세가 치열하게 펼쳐지고 있는 가운데 독립운동가들이 구상한 심리전의 구체적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각각의 선전물에서 촉진회는 △ 한국동포들에게는 3.1혁명정신을 부활시켜 조직적 대혁명을 일으킬 것 △일본군 병사들에게는 일본군벌을 타도하고 진실로 일본민중을 사랑할 것 △베트남과 미얀마인들에게는 인류와 세계의 평화를 위해 연합하여 항일전선을 구축할 것을 촉구하였다. 

 촉진회는 이러한 심리전이 한국과 우방국의 시민들을 더욱 단결하게 하고, 일본 군인들에게 군국주의의 참혹성을 깨닫고 봉기하도록 하여 군사적 수단만큼이나 큰 효과를 가져다 줄 것이라 예상하였다.

한편, 의열단을 연구한 김영범 교수(대구대학교)는“독립운동가들이 심리전을 위해 만든 선전물의 실체가 드러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평가하며, “이 선전물이 1943년 8월 이후 미얀마 접경지역인 인도 임팔 지역에서 활동한 한국광복군 인면전구공작대에서 실제로 활용됐을 가능성이 농후하다”라고 언급했다. 

오영섭 교수(연세대학교 이승만연구원)는 해당 문건이 “국내에 처음으로 소개되는 자료로, 태평양전쟁 발발 이후 독립운동가들의 선전 활동을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이다”라고 평가했다. 

국가보훈처는 보도자료를 통해 앞으로도 “국외 독립운동 사료수집을 통해 역사적 의미가 큰 독립운동 관련 문건을 지속 발굴하고, 국내에 알려지지 않은 자료를 공개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1. 해군·해병대 신임 준사관 68명 임관

    지난 25일 해군교육사령부 체육관에서 열린 62기 준사관후보생 임관식에서 신임 준위들이 사령관에 대한 경례를 하고 있다. 사진 이승엽 하사 해군교육사령부는 지난 25일 부대 체육관에서 강동훈 교육사령관 주관으...
    Date2021.06.28 Views232
    Read More
  2. 해군, 두번째 대형수송함 마라도함 취역

    부석종 해군참모총장이 28일 경남 진해 군항에 정박중인 마라도함 비행갑판 위에서 열린 마라도함 취역식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사진 해군> 해군의 두 번째 대형수송함인 마라도함(LPH, 14,500톤급) 취역식이 28일 ...
    Date2021.06.28 Views100
    Read More
  3. [해군] 조국 바다 수호 ‘호국영웅 10명’에 무공훈장

    24일 계룡대 대연병장에서 거행된 6·25전쟁 참전용사 무공훈장 서훈식에서 유가족들이 해군군악의장대대를 사열 하고 있다. 해군 제공 [국방일보] 6·25전쟁 당시 해군의 일원으로 조국의 바다를 수호한 10명의 호국 ...
    Date2021.06.24 Views85
    Read More
  4. 백신 접종 완료자 군대 면회 가능해진다. 국방부 방역지침 완화 전군 하달

    국방부는 22일 보건 당국의 방침을 고려하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예방 백신 접종 완료자 군대에서의 면회 전면 허용과 백신 접종 완료 장병은 휴가 복귀 시 2주간 격리 대상에서 제외하는 '군 코로...
    Date2021.06.22 Views522
    Read More
  5. [국방일보 MADEX2021 포커스] 해군 경항모 각 모델 비교해보면~

    2021국제해양방위산업전에 마련된 해군 경항공모함 전시관. [국방일보 2021.06.18 인터넷] 최근 우리 군의 방위력개선사업에서 가장 핫(hot)한 이슈는 단연 경항공모함(경항모)이다. 지난 9일부터 12일까지 부산 벡스...
    Date2021.06.21 Views273
    Read More
  6. 국방부, 육군과 해병대에 1000명 조리병 추가 투입 업무부담 줄인다.

    국방부는 최근 부실급식과 관련하여 격리장병 급식지원 등으로 업무가 가중되고 있는 조리병의 업무부담을 낮추기 위해 육군과 해병대에 1천여명의 조리병을 추가 투입하기로 하였다고 17일 밝혔다. 국방부는 이를 위...
    Date2021.06.17 Views213
    Read More
  7. 원인철 합참의장, 서북도서 군사대비태세 점검

    16일 원인철(앞줄 왼쪽 둘째) 합참의장이 해병대 연평부대를 찾아 장병들을 격려한 뒤 군사대비태세를 점검하고 있다. 사진 합참 원인철 합참의장은 6월 16일(수) 서해 연평도에 위치한 해군·해병대 부대를 방문해 군...
    Date2021.06.16 Views129
    Read More
  8. 30세 미만 장병, 코로나19 예방접종(화이자) 6월 7일 시작

    국방부는 6월 7일(월)부터 7월 16일까지 군(軍)내 30세 미만 장병들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예방접종(화이자 백신 1·2차)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접종은 군(軍)내 30세 미만 장병·군무원 등 41.4만명 중 접종동의자...
    Date2021.06.07 Views191
    Read More
  9. 2021년 해군‧해병대 예비역 간부 진급 선발자 진급 1차 서류 심사 결과 및 신체검사 공고

    국방부는2021년 해군‧해병대 예비역 간부 진급 선발자 진급 1차 서류 심사 결과 및 신체검사를 공고했다. ’21년 해군‧해병대 예비역 간부 진급 선발자 2021년 해군ㆍ해병대 예비역간부 진급 선발결과를 아래와 같이 ...
    Date2021.06.07 Views825
    Read More
  10. 부석종 해군참모총장, 해병대사령부 방문

    부석종(가운데) 해군참모총장이 1일 해병대사령부에서 김태성 신임 해병대사령관으로부터 복무계획을 보고받은 뒤 주요 직위자들과 간담회를 하고 있다. 해군 제공 부석종 해군참모총장은 1일 오전 해병대사령부를 방...
    Date2021.06.01 Views188
    Read More
  11. 해병대9여단, 호국보훈의 달 맞아 충혼묘지 환경정화활동

    해병대9여단 장병들이 제주시 충혼묘지에서 제주 3·4기 선배 해병들의 묘비를 정성스럽게 닦고 있다. 사진 해병대9여단 해병대9여단 장병들이 호국보훈의 달을 맞아 지난달 31일부터 제주도 내 충혼묘지에서 환경정화...
    Date2021.06.01 Views193
    Read More
  12. 해군·해병대 제130기 사관후보생 임관

    5월 28일 경남 창원시 진해구 해군사관학교에서는 제130기 해군·해병대 사관후보생 수료 및 임관식이 실시됐다. 이번 제130기 사관후보생 수료식에는 392명의 정예 해군·해병대 장교가 배출했다. 28일 해군사관학교에...
    Date2021.05.28 Views314
    Read More
  13. 국방부, 2021년 전반기 장성급 장교 인사 단행

    정부는 5월 27일부로 ’21년 전반기 장성급 장교 인사를 단행하였다. 이번 인사는 소장급 진급 선발과 중장이하 장성급 주요직위에 대한 보직인사로서, ◦국가관과 안보관이 투철하고, 연합 및 합동작전 수행능력과 역...
    Date2021.05.27 Views285
    Read More
  14. 국제해양방위산업전(MADEX 마덱스) 2021 최첨단 함정 무기.해양방위 시스템 한눈에

    <자료사진 MADEX 2017> 우리 군의 최첨단 함정 무기체계와 세계 각국의 함정·해양방위 시스템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국제해양방위산업전(MADEX·International Maritime Defense Industry Exhibition·마덱스) 2021...
    Date2021.05.25 Views1505
    Read More
  15. 해군·해병대 공보정훈병과회의 개최

    24일 오후 계룡대 해군본부에서 열린 ‘2021년 해군·해병대 공보정훈병과회의’에서 이임하는 49대 병과장 최태복(맨 왼쪽) 대령과 이날 50대 병과장으로 취임한 권세원(왼쪽 둘째) 대령이 국민의례를 하고 있다. 국방...
    Date2021.05.24 Views645
    Read More
  16. 제주지역 주둔 해군7전단·공군308·해병대9여단 농가 대민지원 실시

    해군 및 해병대9여단 장병들이 제주도 서귀포시 대정읍 농가에서 마늘 수확 대민지원을 하고 있다. 부대 제공 해·공군, 해병대 장병들이 농번기를 맞아 농가 일손 돕기에 나섰다. 이번 대민지원은 코로나19로 인력난...
    Date2021.05.18 Views259
    Read More
  17.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 강원 양구 백석산에서 발굴된 6·25 전사자 2명 신원확인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이하 국유단)이 강원 양구에서 2017년 발굴한 6·25 전사자 2분의 유해 신원을 확인했다. 신원이 확인된 전사자는 163번째 고 윤덕용 일병(발굴일 2017. 6. 20.)과 164번째 고 강성기 일병(발굴...
    Date2021.05.17 Views108
    Read More
  18. 해군사관학교 해양연구소 전라좌수군 발간

    [국방일보] 조선 수군의 대표적인 근거지였던 전라수군진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자료집이 나왔다. 해군사관학교 해양연구소는 최근 임진왜란 당시 충무공 이순신의 지휘하에 있던 전라좌수영과 그 관하 수군진의 ...
    Date2021.05.10 Views19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59 60 61 62 63 ... 168 Next
/ 168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