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글 속 전술기동.jpg

다국적군 연합훈련 ‘2023 코브라골드’에 참가한 한국·미국·태국 해병대원들이 5일(현지시간) 태국 로타윈 정글훈련장에서 연합수색훈련을 펼쳤다. 정글훈련장에서 경계하며 전술기동 중인 우리 해병대 수색중대 장병들. 태국 로타윈에서=김병문 기자

2023 코브라골드 - 한·미·태 해병대 연합 수색훈련 1.jpg

한국·미국·태국 연합 수색훈련에 참가한 우리 해병대 수색중대 장병들이 5일 태국 로타윈 정글훈련장에서 수풀을 헤치며 전술기동하고 있다.

2023 코브라골드 - 한·미·태 해병대 연합 수색훈련 2.jpg

 

정글 생존교육에서 한 장병이 뱀을 목에 둘러 보고 있다.

2023 코브라골드 - 한·미·태 해병대 연합 수색훈련 3.jpg

미 해병대 수색대와 사격훈련을 하는 우리 해병대원들.

2023 코브라골드 - 한·미·태 해병대 연합 수색훈련 4.jpg

 

사격 후 우리 해병대원이 미군 교관과 표적지를 확인하는 모습.

 

 

[국방일보 2023.03.06] 태국에서 열리고 있는 다국적군 연합훈련 ‘2023 코브라골드’에 한국·미국·태국 해병대 최정예가 모였다. 3개국 해병대 수색부대가 전투기술을 교류하는 연합 수색훈련이 전개된 것. 훈련에는 우리 해병대 수색중대 장병 26명, 미 해병대 리콘마린(Recon Marine) 장병 30명, 태국 해병대 수색부대 장병 30명이 참가했다. 정글 생존·전술훈련, 기동사격훈련 현장을 동행하며 확인한 3개국 해병대원들의 진한 전우애를 소개한다. 태국 로타윈에서 글=이원준/사진=김병문 기자

 

위험 도사린 정글에서 생존하는 법

 

5일 태국 로타윈 해병대 기지에 있는 정글교장. 입구에 있는 ‘Jungle Survival(정글 생존)’이란 글자부터 불길하게 느껴졌다. 수십m 높이 야자수에 가려 한 줄기 햇살조차 들지 않는 이곳엔 ‘꺼욱, 꺼욱’ ‘찍찍’ 등 정체 모를 동물들이 내는 불협화음이 울려 퍼졌다.

한·미·태 해병대 수색부대는 본격적인 전술훈련에 앞서 야외교장에서 생존술 교육을 받았다. 정글에는 독사, 독거미, 독전갈, 독성식물 등 숱한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 방대한 지형을 헤매다 보면 물과 식량이 떨어지는 일도 다반사다.

첫 번째 생존 비결은 식량 구하기. 강단에 오른 태국 해병대 전문교관은 정글에서 바나나 나무를 찾았다면 ‘운이 좋은 것’이라고 운을 뗐다. 그러나 그가 준비해온 나무엔 바나나가 달려 있지 않아 한·미 해병대의 궁금증을 자아냈다. 답은 열매가 아닌 나무 자체에 있었다. 사람 몸통만 한 나뭇잎을 제거하니 잎과 줄기 사이에 숨어 있던 통통한 하얀색 벌레가 나왔다. 일제히 ‘으~’ 하며 몸서리를 쳤지만, 교관은 표정을 바꾸며 정글에서 살아남기 위한 방법임을 강조했다. 그의 말처럼 벌레는 훌륭한 단백질 공급원이다.

두 번째 생존 비결은 ‘위험한 동물’을 구분하는 것. 정글에서 위험하지 않은 동물이 어디 있겠느냐만, 몇몇 동물은 생명을 앗아갈 수 있는 독을 지녀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타란툴라 거미, 민물뱀 등에 이어 소개된 동물은 이름만 들어도 섬뜩한 ‘코브라’. 2m 길이의 코브라 2마리가 등장하자 순간 교장이 조용해졌다. 태국에는 정글뿐만 아니라 논·밭·초원에서도 쉽게 볼 수 있다고 한다.

코브라를 조우했을 때는 어떻게 해야 할까? 교관 설명에 따르면 뒤돌아 도망치는 행동은 절대 금물이다. 민첩한 코브라가 쫓아와 물 수 있기 때문이다. 대신 코브라를 마주 바라본 채 손·칼로 빠르게 제압하는 방법을 추천했다.

마지막 순서는 체험. 한미 장병들은 독은 없지만 몸집이 거대한 구렁이를 만져보며 낯선 동물과 친숙해지는 시간을 가졌다. 장현철 중사는 “해수색(해병대 수색)에 무서운 건 없어!”라며 호기롭게 교관이 건넨 구렁이를 받았지만, 이내 목과 머리가 감기자 얼굴이 새빨개지며 교관에게 “스톱(Stop)!”을 연거푸 외쳤다.

 

우리는 최정예…생존 문제없다

 

생존교육을 마친 장병들은 수목이 울창한 정글로 이동해 본격적인 전술훈련에 돌입했다. 3개국 장병들이 4개 팀으로 나눠 정글을 돌파하는 것이 훈련 목표. 국방일보도 첫 번째로 나선 알파팀을 따라나섰다.

호기롭게 출발한 것도 잠시, 얼마 지나지 않아 등골이 오싹해졌다. 생애 처음 겪어보는 정글이 상상 이상으로 위험한 곳이란 사실을 알았기 때문이다. 특히 발이 푹푹 꺼지는 습지, 걸음을 방해하는 넝쿨, 옷을 뚫고 들어오는 가시나무가 걸림돌이 됐다. 여기에 방금 본 독사·독전갈 생각에 머리가 하얘졌다.

이날 현지는 섭씨 33도에 습도가 70%에 달했다. 10㎏이 넘는 군장이 어깨를 짓누르고, 비 오듯 나는 땀에 온몸이 젖었다. 그러나 장병들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정예 부대’라는 자부심으로 목표지역을 향해 한 걸음 한 걸음 내디뎠다.

가다, 서다를 반복하던 중 알파팀을 이끌던 김우진 대위가 대항군의 움직임을 발견하고 정지 수신호를 보냈다. 인기척은 느꼈지만, 대항군이 정확히 어디에 숨어 있는지는 모르는 상황. 고민 끝에 알파팀은 적과 교전을 피하기 위해 우회기동을 선택했다. 매복·습격에 최적화된 정글이기에 내린 판단이었다.

정글 기동 1시간째. 대항군에 노출될까 조심스럽게 수풀을 헤치며 나아가는 장병들 턱 아래로 땀방울이 계속 흘러내렸다. 그리고 오랜 시간 끝에 당도한 목표지역. 3개국 장병들은 헬멧과 모자를 벗은 채 서로의 땀방울을 닦아주고, 물을 나눠 마시며 전우애를 나눴다. 낯선 정글에서 함께 고생하며 자연스럽게 쌓은 우정이었다.

 

미 해병대 특수부대 전투기술 공유

 

한·미·태 3개국 해병대 장병들은 정글훈련 하루 전날인 지난 4일 로타윈 기지에서 기동사격훈련을 했다. 상륙훈련에서 연합수색팀을 구성했던 이들은 다시 한자리에 모여 연합작전 수행능력 배양에 몰두했다.

이날 기동사격훈련은 실전 경험이 풍부한 미 해병대 수색대가 한·태 해병대에 전투기술을 공유하는 방식으로 전개됐다. 리콘마린은 세계적으로 명성을 떨치는 미 해병대 최고의 특수부대다. 그런 이들과 함께 훈련하며 전술을 교류한다는 것 자체에 우리 장병들은 고무된 모습이었다.

우리 해병대는 만반의 준비를 해왔다. 레이저 사이트·도트 사이트·3배율 조준경 등 워리어 플랫폼이 적용된 K1A 기관단총을 주화기로, 헬멧·방탄복 등 장구류를 모두 갖췄다.

 

반면 미 해병대는 별도 장구류 없이 전투복에 베레모 차림. 훈련 문화에서 차이가 느껴지는 대목이었다.

훈련은 비사격·영점사격·근접전투사격·기동사격 순으로 진행됐다. 미 해병대는 몸통 부위에 2발을 연속 사격하는 ‘더블 탭(Double Tap)’, 몸통에 2발·머리에 1발 사격하는 ‘모잠비크 드릴(Mozambique Drill)’을 집중 선보였다. 이 사격술은 근접전에서 적을 제압하기 위해 활용된다.

우리 해병대는 평소 교육훈련에서 해왔던 사격술이기 때문에 익숙하다는 반응이었다. 다만 어깨에 개머리판을 올려놓는 ‘오버 더 숄더(Over the Shoulder)’ 자세는 조금 어색한 듯했다. M4 계열 소총을 사용하는 미·태 해병대와 달리 우리 해병대는 길이가 짧은 K1A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리 장병들은 실사격에서 ‘백발백중’으로 과녁을 꿰뚫었다. 기동사격에서는 절도 있는 ‘퇴격사격’을 선보이며 미·태 해병대의 찬사를 받았다.

한·미·태 해병대가 참가하는 연합수색훈련은 8일까지 이어진다. 장병들은 다채로운 훈련으로 열대지역에서의 전술·작전 수행능력을 극대화할 방침이다.

김우진 대위는 “타국 해병대 수색부대와 훈련하며 전투기술 노하우를 공유하고, 연합작전 수행능력을 함양하고 있다”며 “해병대다운 강인한 전투력을 갖추도록 훈련을 마치는 날까지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1. 전쟁기념관, 어린이날 문화축제 개최

    어린이날 문화축제 Happy Together 포스터 전쟁기념사업회법에 따라 1989년 설립된 국가기관인 전쟁기념사업회(회장 백승주)는 제101회 어린이날을 맞아 다채로운 공연과 체험행사가 가득한 어린이날 문화축제 ‘Happy...
    Date2023.04.21 Views6643
    Read More
  2. 경북 칠곡군 발굴 6·25 전사자 유해 신원확인

    고(故) 이승옥 이등중사 유해의 전체 골격 사진<사진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 2020년 11월 경상북도 칠곡군 용수리 일대에서 발굴된 고(故) 이승옥 이등중사 유해의 최초 식별 당시 모습 <사진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
    Date2023.04.21 Views5039
    Read More
  3. 6·25참전유공자께 드리는 ‘새 제복’ 신청하세요!

    - 올해 1월 1일 기준 생존 6·25참전유공자 5만 1,000여 명 전원 지급 - 전담 전화(콜센터) 통해 8월까지 신청 접수… 제복 치수 및 주소 등 확인 - 1차 신청기간(4월 22일까지) 중 신청 시 6월 중 제복 지급, 11월까지...
    Date2023.04.20 Views5362
    Read More
  4. 한·미 참전용사 10대 영웅, 미(美) 뉴욕 타임스퀘어에 영상 송출된다

    - 보훈처·한미연합사, 대한민국 자유 수호 및 한·미동맹 기여한 10대 영웅 선정 - 10대 영웅 영상, 뉴욕 타임스퀘어 삼성·엘지(LG) 전광판 통해 하루 약 680회 송출 - 박민식 처장 “10대 영웅 등 참전용사의 희생과 ...
    Date2023.04.20 Views4912
    Read More
  5. 「국군방첩사령부령 일부개정령」 공포‧시행

    국방부는 군내 보안∙방첩의 기능이 중요해지고 있는 안보환경 변화에 따라, 국군방첩사령부의 직무와 정원에 대한 규정을 일부개정하는 「국군방첩사령부령 일부개정령」을 4월 18일부로 공포 및 시행한다고 밝혔다. 국...
    Date2023.04.18 Views5675
    Read More
  6. 2023년 전반기 국군장병 취업박람회 개최

    2023년 전반기 국군장병 취업박람회 개최 □ 국방부는 4월 18일부터 19일까지 2일간, ‘2023년 전반기 국군장병 취업박람회’를 일산 킨텍스 10홀과 공식 누리집(http://motijobfair.com)에서 온․오프라인 방식으로 동시...
    Date2023.04.18 Views3785
    Read More
  7. 한미동맹 70주년 기념 한미동맹 관련 사진 공모전 개최 안내

    해군은 4월 3일부터 5월 5일까지 국민 여러분과 장병 및 군무원이 참여할 수 있는 한미동맹 70주년 기념 이벤트(한미동맹 관련 사진 공모)를 진행합니다. 본인만이 가지고 있는 한미동맹과 관련된 사진을 보내주세요~...
    Date2023.04.03 Views11360
    Read More
  8. 2023 대한민국해군 호국음악회 (서울) 공연

    2023 대한민국해군 호국음악회 (서울) 공연 대한민국해군 호국음악회 서울공연에 국민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 일시 : 4월 26일 (수) 19시 30분 ◎ 장소 : 서울 장충체육관 ◎ 출연 : 해군 군악대·의장대·홍보대, 미8군...
    Date2023.04.03 Views17180
    Read More
  9. 한미일 대잠전훈련 및 수색구조훈련 실시

    대한민국 해군은 4월 3일부터 4일까지 제주 남방 공해상에서 미국, 일본 참가전력과 함께 대잠전훈련, 수색구조훈련 등 한미일 훈련을 실시할 예정이라고 국방부가 3일 밝혔다. 이번 훈련의 지휘관은 크리스토퍼 스위...
    Date2023.04.03 Views9980
    Read More
  10. 제 55주년 예비군의 날 주간 문화혜택 안내

    4월 3일(월)부터 9일(일)까지는 '예비군 주간'입니다. 제 55주년 예비군의 날과 예비군 주간을 맞아 국방에 헌신하는 예비군들을 위해 문화공연 및 놀이공원, 관광지 등의 무료관람 및 할인혜택을 마련하였습니다. 자...
    Date2023.04.02 Views8297
    Read More
  11. 국방부 과장급 인사

    국방부 과장급 인사 □ 군수관리관실 물자관리과 서기관 배 성 준 군수관리관실 물자관리과장에 보함. □ 국방운영개혁추진관실 국방혁신기술담당관실 기술서기관 조 기 윤 동원기획관실 자원동원과장에 보함. 2023. 3....
    Date2023.03.31 Views8789
    Read More
  12. 6·25전쟁서 산화한 호국의 형제, 고(故) 허창식 하사 신원확인

    □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이하 국유단, 단장 이근원)은 2011년 5월경 강원도 인제군 저항령 일대에서 발굴된 6·25전쟁 전사자 유해의 신원을 국군 11사단 소속 고(故) 허창식 하사(현 계급 상병)로 확인했습니다. ◦ ...
    Date2023.03.31 Views8368
    Read More
  13. 국방부 6·25 비정규군 보상 시행 1주년 성과

    □ 국방부 비정규군 공로자 보상심의위원회(위원장 임천영 변호사, 이하 ‘위원장’)는 “6·25 비정규군 보상법 시행 후 약 1년간 14차례에 걸친 심의를 통해 1,792분을 6·25 비정규군 공로자로 인정하고 본인 및 유족에...
    Date2023.03.31 Views8235
    Read More
  14. 포항 수성사격장 민군 상생 양해각서 체결

    「포항 수성사격장 반대대책위원회 ( 이하 “대책위”)」와 국방부는 3월 30일(목), 포항에서 수성사격장 관련 민·군 상생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였다. 이날 행사에는 대책위 대표위원장 및 임원진과 국방부 정책기획...
    Date2023.03.31 Views8242
    Read More
  15. DMZ 11개 DMZ 평화의 길 테마노선 개방

    정부는 오는 4월 21일(금)부터 비무장지대(DMZ) 접경지역 인근의 생태문화·역사자원을 통해 자유와 안보, 평화의 소중함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DMZ 평화의 길 테마노선(이하 테마노선)’을 전면 개방해 지역 관광과 ...
    Date2023.03.31 Views720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 202 Next
/ 202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