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이하 국유단, 단장 이근원)은 2005년 경상북도 포항시 도음산 일대에서 발굴된 6·25전쟁 전사자 유해의 신원을 국군 제26연대 소속 고(故) 박동근 일병으로 확인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신원확인은 병적자료 등을 바탕으로 유가족을 찾아가는 기동탐문을 통해 진행했다. 국유단 기동탐문관은 고인의 병적자료에서 본적지를 전라북도 익산시로 파악한 후 해당 지역의 제적등본과 비교하여 고인의 조카로 추정되는 박영식 님(63세)에게 2022년 10월에 방문했고 유전자 시료를 채취했다. 그 이후 유해와 유가족의 유전자 시료를 정밀 분석하여 가족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써 고인의 유해를 가족의 품으로 모실 수 있게 됐으며, 이는 유해발굴을 개시한 이후 216번째로 신원이 확인된 사례이다.

 

유해발굴 조사팀은 지역주민들에게 유해의 소재를 물어보는 탐문 활동을 하였고, 주민들의 제보를 바탕으로 고인의 희생과 헌신의 흔적을 끈기 있게 추적했다.

 

6·25 전쟁 중에 부역으로 동원된 지역주민의 증언에 따르면, 당시 흩어져 있던 유해를 수습하여 도음산 정상 부근에 매장했다고 한다. 이를 확인한 후 2005년 3월경 전문 발굴병력을 투입하여 좁은 공간에 겹겹이 쌓인 다수의 유해를 수습하였다.

 

고(故) 박동근 일병은 국군 제26연대 소속으로, 낙동강 방어선인「포항 전투」(1950. 8. 18. ~ 9. 22.)에 참전 중 전사하셨다. 고인은 1929년 9월, 전라북도 익산시 성당면에서 4남 1녀 중 셋째로 태어나 어린 시절부터 부모님을 도와 함께 농사를 지었다.

 

또한 유가족 증언에 따르면 고인은 사랑하는 아내와 딸과 함께 행복한 삶을 꿈꾸었다고 한다. 하지만 전쟁이 발발하자 고인은 태중에 있는 딸을 못 보고 나라를 지키기 위해 전선에 나갔다. 당시 혼인신고 없이 출생한 딸은 불가피하게 큰 형 호적에 올려졌고 큰 형의 가정에서 아버지의 얼굴도 모르고 자랐다. 이후 어른이 되어 서울로 상경해 자영업을 하며 생계를 이어가다 최근 아버지의 유해를 보지 못한 채 안타깝게 먼저 세상을 떠났다.

 

고인은 입대일은 기록에 남아 있지 않지만 제26연대 소속으로 1950년 8월경「포항 전투」에 참전하여 북한군 남하를 저지하다 안타깝게도 1950년 8월 19일, 20세의 나이로 장렬히 전사하셨다.

 

「포항 전투」는 국군의 동부전선을 돌파하여 부산으로 조기에 진출하려던 북한군의 계획을 국군이 포항 도음산 일대에서 저지함으로써 낙동강 동부지역 작전이 수세에서 공세로 전환하는 계기를 마련한 전투이다.

 

‘호국의 영웅 귀환 행사’는 9월 14일 인천광역시 서구에 있는 유가족의 자택에서 열렸다. ‘호국의 영웅 귀환 행사’는 6·25전쟁으로 당시 산야에 묻혀 계셨던 ‘전사자를 찾아 가족의 품으로 모시는 행사’다.

 

행사는 유가족 대표에게 고인의 참전 과정과 유해발굴 경과 등에 관한 설명을 하고, 신원확인 통지서와 함께 호국영웅 귀환패, 유품 등이 담긴「호국의 얼 함(函)」을 전달하며 위로의 말씀을 전하는 순서로 진행됐다.

 

고인의 신원이 확인되었다는 소식에 조카 박영식 님(63세)은 “눈물이 흘러내리고 가슴이 뛰어올랐습니다. 삼촌의 얼굴도 못 본 채 유해만이라도 보고 싶었던 누나가 먼저 세상을 떠난 것이 안타깝고 슬픕니다.”라며 “삼촌을 찾기 위해 노력해주신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의 말씀을 드리며, 국가에 대한 무한한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라고 밝혔다.

 

전국 어디에서나 가능한 유전자 시료 채취는 6·25 전사자의 유가족으로서, 전사자의 친·외가를 포함해 8촌까지 신청 가능하며, 제공하신 유전자 정보를 통해 전사자의 신원이 확인될 경우 1,000만 원의 포상금이 지급된다.

 

6·25전쟁 후 오랜 시간이 지나면서 참전용사와 유가족의 고령화 등으로 인해 유가족 찾기는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 발굴된 유해의 신원확인을 위한 ‘시간과의 전쟁’을 벌이고 있는 만큼, 국민 여러분의 적극적인 관심과 동참이 절실한 상황이다.

 

국유단 탐문관들은 각지에 계신 유가족을 먼저 찾아갈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으며 유전자 시료 채취를 희망하고 계시지만 거동 불편, 생계 등으로 방문이 어려우신 유가족께서는 대표번호 1577-5625 (오! 6·25)로 언제든 연락 주시면 직접 찾아뵙고 유전자 시료를 채취해 드리고 있다.

 

고(故) 박동근 일병의 전체 골격 사진_1.png

▲ 고(故) 박동근 일병의 전체 골격 사진 사진 국유단

고(故) 박동근 일병.png

 

이근원(왼쪽) 국유단장이 지난 14일 인천에서 고(故) 박동근 일병의 유가족 자택을 찾아 신원확인 통지서와 호국영웅 귀환패 등이 담긴 ‘호국의 얼 함(函)’을 전달했다. 사진 국유단

 



  1. 해군·해병대, 2023 호국 합동상륙훈련 돌입

    [국방일보] 해군·해병대가 16일 합동상륙작전 수행능력을 숙달하기 위한 ‘2023 호국 합동상륙훈련’에 돌입했다. 호국훈련의 하나로 실시되는 이번 합동상륙훈련은 오는 22일까지 경북 포항시 인근 해상과 도구해안 일...
    Date2023.11.16 Views6094
    Read More
  2. 한미가 함께하는 확장억제, 미 전략폭격기 B-52H 한반도 전개 하 연합공중훈련 시행

    국방부는 15일 미 B-52H 전략폭격기가 한반도에 전개한 가운데 한미 연합공중훈련을 실시하다고 밝혔다. 이번 훈련은 올해 들어 12번째로 시행된 미 전략폭격기 전개에 따른 연합공중훈련으로서, 우리 공군의 F-35A·F...
    Date2023.11.15 Views6554
    Read More
  3. 정부, 매년 4월 넷째 금요일 '순직의무군경의 날' 지정

    “국방의 의무를 다하다 순직한 분들을 기억하겠습니다” 정부, 매년 4월 넷째 금요일 ‘순직의무군경의 날’ 지정 국가의 부름을 받아 국방의 의무를 수행하다가 안타깝게 사망한 순직의무군경의 희생을 기리고 추모하기...
    Date2023.11.14 Views6511
    Read More
  4. 휴대전화(모바일) 국가보훈등록증, 전국 농축협에서 금융거래 가능해 진다.

    ▲ 휴대전화(모바일) 국가보훈등록증 사진 국가보훈부 지난 6월 도입한 휴대전화(모바일) 국가보훈등록증을 소지하면 앞으로 전국 4,800여 개 농축협 창구에서 금융거래를 할 수 있다. 국가보훈부(장관 박민식)는 13일...
    Date2023.11.14 Views6445
    Read More
  5. 해군 함정 전투력 한 걸음 올라선다, 철갑 고폭탄 전투용 적합 판정 획득

    방위사업청(청장 엄동환)은 11월 13일(목) 중소형급 함정의 주력포인 76mm 함포에 탑재되는 철갑 고폭탄 운용시험평가 결과 전 항목 기준 충족으로 전투용 적합 판정을 획득하였다고 밝혔다. 76mm 철갑 고폭탄은 2010...
    Date2023.11.14 Views6251
    Read More
  6. 국산헬기, 세계를 향한 힘찬 날갯짓 하다, 두바이에어쇼 전시 및 시범비행

    방위사업청(청장 엄동환)은 국산헬기인 수리온과 소형무장헬기 LAH (Light Armed Helicopter)가 2023년 11월 13일에서 17일까지 UAE에서 개최되는 두바이에어쇼에서 전시 및 시범비행을 한다고 밝혔다. 그동안 해외 ...
    Date2023.11.14 Views5991
    Read More
  7. 호주 차세대 보병전투차량 도입사업, 조속한 계약 체결 위해 정부 차원 적극 지원

    신원식 국방부장관은 10월 14일(화) 한-유엔사회원국 국방장관회의 참석차 방한한 팻 콘로이(Pat Conroy) 호주 방산장관을 접견했다. 양 장관은 한-호주 간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를 재확인하고, 한-호 국방협력 ...
    Date2023.11.14 Views5719
    Read More
  8. 국방부, 한·유엔사회원국 국방장관회의 개최

    국방부는 2023년 11월 14일(화) 국방부에서 유엔사 회원국 17개국 국방장관 및 대표들이 참가한 가운데 한·유엔사회원국 국방장관회의를 개최하였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는 정전협정 체결 70주년을 맞아 한·유엔사회...
    Date2023.11.14 Views4838
    Read More
  9. 아세안 주요국가들과 국방협력 증진한다, 김선호 국방부차관 제10차 아세안 확대 국방장관회의 참가

    김선호 국방부차관은 11월 16일 인도네시아(자카르타)에서 개최되는 제10차 아세안 확대 국방장관회의(ADMM-Plus : ASEAN Defense Ministers' Meeting-Plus)에 참석하기 위해 11월 15일 출국할 예정이다. 아세안 확대...
    Date2023.11.14 Views4661
    Read More
  10. 제11회 백선엽 한미동맹상 시상식 개최, 故 김영옥 미 육군 대령 수상

    국방부는 중앙일보사와 함께 한미동맹 70주년 기념 「제11회 백선엽 한미동맹상」 수상자로 고 김영옥 미 육군 대령(The Late Colonel Kim Young Oak, United States Army)을 선정하였습고 13일 밝혔다. 백선엽 한미동...
    Date2023.11.13 Views5932
    Read More
  11. 한미동맹 국방비전 ( 2023. 11. 13 )

    한미동맹 국방비전 ( 2023. 11. 13 ) 1953년 대한민국과 미합중국은 태평양 지역의 평화를 증진하고 외부 위협으로부터 방어하며 집단방위를 강화할 것을 약속하는 상호방위조약에 서명했다. 70년이 지난 지금 한미동...
    Date2023.11.13 Views5748
    Read More
  12. 제55차 한미안보협의회의(SCM) 공동성명

    제55차 한미안보협의회의 ( SCM ) 공동성명 2023년 11월 13일, 대한민국서울 1. 제55차 한미안보협의회의( SCM, Security Consultative Meeting, 이하 SCM ) 가2023년 11월 13일 서울에서 개최되었다. 이번 회의는 신...
    Date2023.11.13 Views5748
    Read More
  13. 한미일 국방장관회의 개최

    국방부는 2023년 11월 12일, 대한민국 신원식 국방부장관과 미국 로이드 오스틴 국방장관, 일본 기하라 미노루 방위대신은 3국 국방장관회의를 개최하였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를 위해 한미 국방장관은 대한민국 국...
    Date2023.11.13 Views2997
    Read More
  14. 한-유엔사회원국 국방장관회의, 서울에서 최초 개최

    신원식 국방부장관은 로이드 오스틴 미국 국방장관을 포함한 17개 유엔사회원국 국방장관 및 대표들과 2023년 11월 14일에 한-유엔사회원국 국방장관회의를 서울에서 개최할 예정이다. 이번 회의는 한-유엔사회원국 ...
    Date2023.11.13 Views2233
    Read More
  15. 해군, 2023 네이비 위크(NAVY WEEK 행사 개최

    해군, 2023 네이비 위크(NAVY WEEK 행사 개최 11월 8일부터 12일까지 해군은 11월 8일부터 12일까지 전국 8개 지역에서 해군 창설을 기념하고 국민과 함께하는 『2023 네이비 위크(NAVY WEEK)』 행사를 개최합니다. ...
    Date2023.11.08 Views609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201 Next
/ 20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