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2493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내일은 제59주년 재향군인의 날
충북 청주 거주 김태연 예비역 병장

 

빨간 명찰을 달고 귀신을 잡을 군기를 갖고 있는 해병대. 강군(强軍)의 상징인 해병대가 드라마 ‘시크릿가든’의 히어로에244792_42083_1150.jpg 서 빨간 명찰을 달게 된 배우 현빈과 지난 7월 강화도 해병2사단에서 발생한 총기난사 사건으로 전국을 강타하며 각종 언론매체를 수놓았다. 이런 해병대의 희노애락을 50년이 넘는 세월동안 지켜본 이가 있다. 주인공은 충북 청주시에 살고 있는 올해 83살의 김태연 할아버지. 김 할아버지는 바로 청춘은 물론 노년까지도 해병대 사랑을 이어오고 있는 충북은 물론 전국에서도 유일무이한 해병대 1기생이다. ‘제59주년 재향군인의 날’을 이틀 앞둔 6일 김 할아버지로부터 해병대 창설부터 재향군인으로의 삶에 대해 들어봤다.

 

▶어떻게 해병대에 입대하게 됐나.

“6ㆍ25 한국전쟁 발발 1년 전인 1949년 4월 5일 해군으로 입대했다. 이후 함께 입대한 1천200명의 해군 중에서 해병대를 창설하기 위한 인원 착출이 있었고 나를 포함해 300명의 해병이 선발돼 자랑스런 해병대 1기생의 삶을 살게 됐다.”

 

▶해병대원으로 선발돼 어떤 삶을 살았는지 이야기 해주신다면.

“처음에는 신병으로 해병대가 무엇인지도 몰랐던 시절 1년 동안 훈련만 받았다. 그 당시 훈련을 받으면서 기합을 받기도 했지만 최강 군인이 되는 길이라 생각하고 묵묵히 견뎌냈다. 기합은 1957년 8년간의 해병대 생활을 마칠 때까지도 이어졌다. 하지만 이것도 훈련의 하나라고 생각하니 아무런 장애가 되지 않았다.”

 

▶훈련이 혹독했었다는데.

“훈련은 말로 표현할 수 없을 정도로 힘들었어. 밤낮을 가리지 않고 실시됐고 분대장과 소대장들은 강군을 만들기 위해 우리들을 들볶았지. 정말이지 그때는 상사들을 모두 죽이고 싶을 정도였으니까. 그런 상사들과 6ㆍ25전쟁 때는 한없이 다정하게 지냈지. 상사들과 떨어지면 삽시간에 죽을 수도 있었으니까.”

 

▶힘든 해병대 생활 중 기억에 남는 일이 있다면.

“해병대 3대대 11중대 소속으로 훈련하면서 일주일을 넘게 굶어본 적도 있었어. 그 때는 젊은 혈기에 견뎠지만 지금이라면 한 시간도 못 넘길꺼야.”

 

▶6ㆍ25 전쟁을 치르면서 위험했던 일은.

“파주 장단 31고지전이 가장 기억에 남아. 여기서 사랑하는 해병대 후임 6명을 잃었거든. 당시는 인해전술을 펼치던 중공군이 진지로 밀려들고 있었고 이를 막기 위해 아군은 쉼없이 포격을 가하고 있던 급박한 상황이었어. 나를 포함해 후임 등 7명은 벙커에 들어가 있는 힘을 다해 중공군을 막다 잠시 밖으로 나왔고 이 때 아군 포가 벙커를 덮쳐 가까스로 죽을 고비를 넘겼지만 아직도 또렷이 기억나는 후임들의 얼굴을 생각하면 미안한 마음 뿐이야.”

 

▶해병대를 전역해 좋은 점은.

“첫번째로는 활발하다는 것이고 두번째는 의리가 있다는 것이다. 해병전우들이 제대 후에도 각종 봉사활동은 물론 주민들을 위한 행사를 위해 솔선수범하는 것은 해병대를 나왔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동기들이 하나둘 세상과 작별할 때 기분은.

“할 수 없잖아. 사람은 태어나면 언젠가는 죽게 되니까. 하지만 아직 남아있는 전우들과 후임들이 있기에 행복하게 살 수 있는 것 같아.”

 

▶해병대는 의리빼면 시체인데 총기사건에 대해 한 말씀 하신다면.

“그 일은 정말 이해가 안가는 사건이야. 요즘 젊은이들의 생각이 달라졌다는 것은 이해하지만 함께 땀 흘리며 의지하고 살아가는 동료를 죽인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며 있어서도 안되는 일이지. 솔직히 지금 훈련은 우리 때랑 비교하면 ‘누워서 콩 먹기’로 우리처럼 훈련받았으면 다 죽여야 한다. 동료를 살해한다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다.”

 

▶해병대 입대를 앞둔 후배들에게 충고의 말을 전한다면.

“빨간 명찰, 팔각모의 자부심을 생각하면 자신의 행동 하나하나에 책임을 질 수 있는 정신이 건강한 사람이 됐으면 좋겠어. 젊어서 고생은 사서도 한다는데 최강 군인인 해병대에서 몸과 마음을 수행할 길을 만들었으면 하는 소망이야.”

 

▶무공훈장 수훈자로 재향군인의 삶을 살아가시고 있는데 어려운 점은.

“전쟁에 참여해 나라를 지켰다고 훈장을 주고 매달 일정액의 돈도 주는데 더 바랄 것이 없지. 해병대 전우회에서도 1기 선배라고 깍듯이 모시니까 바랄 것은 없어. 하지만 상이군경은 물론 참전용사에 대한 관심이 부족한 것은 정말 가슴이 아파.”

 

▶어떤 관심이 필요한가요.

“병원치료도 무료로 받고 있지만 나는 아직 건강해서 병원 신세를 별로지지 않지만 다른 참전용사들은 정해진 일정액을 넘기면 자신이 부담해 병을 치료해야 하는데 지원액을 조금 늘려줬으면 하고 다음으로는 학자금 지원 등 각종 혜택이 있지만 이에 대한 홍보가 제대로 되지 않아 모르는 사람들이 너무 많아. 보훈청이 바쁜 곳이라는 것은 알지만 조금만 신경을 써줬으면 좋겠어.”

 

▶마지막으로 하실 말씀이 있다면.

“아직 살아 있으니까 이런 인터뷰도 할 수 있고 오래 살 일이지만 이 나라가 이만큼 성장할 수 있는 토대에는 목숨을 바쳐가며 전쟁을 치룬 선배들이 있다는 생각을 잊지 말아줬으면 하는 작은 소망이 이뤄졌으면 한다.”      

 

<출처 : 충청매일 http://www.ccd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44792 >


?

  1. [SBS 취재파일] '서울시' 없는 '서울 수복 기념식'

    62년 전 어제(9월28일)는 해방 이후 수도 서울이 가장 환희로 넘쳤던 날입니다. 6.25전쟁이 발발한 지 100일 가까이 지난 1950년 9월 28일, 인천상륙작전에 성공한 우리 해병대와 미 해병대가 격전에 격전을 치른 끝...
    Date2012.09.29 By운영자 Views15878
    Read More
  2. 정병국 의원 서울탈환작전 62주년 축하메시지 "해병대의 굳세고 강한 애국 정신 이어받아야"

    【나눔뉴스=김용숙 기자】귀신잡는 해병대 출신 정병국(새누리당 4선. 경기 여주 가평 양평) 의원이 해병대 서울탈환작전 62주년 축하메시지를 전했다. 해병 장병들로부터 '해병대 삼촌' '해병대 엉아' 라는 애칭을 ...
    Date2012.09.29 By운영자 Views14362
    Read More
  3. 60여 년만에 돌아온 영웅 “숭고한 희생 감사합니다”

    해병대司, 6·25전쟁 참전 美 예비역 해병 중장 초청 / 국방일보 2012.09.26 25일 해병대사령부를 방문한 6·25전쟁 참전용사 필립 셔틀러 예비역 해병 중장이 이호연 해병대사령관과 의장대를 사열하 고 있다. 부대제...
    Date2012.09.26 By운영자 Views10109
    Read More
  4. 해병대 사병, 백혈병 어머니에 조혈모세포 이식

    (김포=연합뉴스) 김창선 기자 = 해병대 청룡부대는 방준호(23) 일병이 급성 골수성 백혈병을 앓고 있는 어머니에게 조혈모세포를 이식하는 수술을 성공적으로 받았다고 25일 밝혔다. 해병대에 따르면 방 일병의 어머...
    Date2012.09.25 By배나온슈퍼맨 Views14146
    Read More
  5. No Image

    해병대, 서울 여의도서 기념 마라톤대회

    해병대, 서울 여의도서 기념 마라톤대회 / 국방일보 2012.9.24 해병대는 9·28 서울 수복의 감격을 되새기고, 국민에게 올바른 안보의식을 심어주기 위한 제4회 해병대 마라톤대회를 23일 서울 한강 시민공원 여의지구...
    Date2012.09.23 By운영자 Views12568
    Read More
  6. "해병대 타는 최강 '상륙기동헬기' 드디어"

    [아시아경제 양낙규 기자]해병대가 사용할 상륙기동헬기의 체계개발이 내년 7월부터 시작된다. 한국형 기동헬기인 '수리온을'해상에서도 운용할 있도록 개조할 계획이다. 12일 방위사업청에 따르면 "상륙기동헬기 체...
    Date2012.09.13 By운영자 Views15229
    Read More
  7. 해병대상륙기동헬기 내년 7월부터 국내개발

    국방일보 보도에 따르면 김관진 국방부장관이 주재하는 방위사업추진위원회가 11일 중거리지대공유도무기(M-SAM) 천궁의 양산을 공식 결정하고 내년 7월 한국형 기동헬기 수리온을 기본으로 상륙기동헬기를 국내 개발...
    Date2012.09.12 By운영자 Views14663
    Read More
  8. No Image

    화성 해병대사령부, 재하도급 방관 의혹?

    <중부일보 신창균.정은아기자> 정부가 건설업체의 수주감소에 따른 동반부실과 하도급 업체의 피해를 막기 위해 부실, 불법 건설업체를 근절하는 등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가운데 화성시 해병대사령부가 입찰계약 맺...
    Date2012.09.11 By운영자 Views13692
    Read More
  9. 경기북부제대군인지원센터,백령도 해병6여단 방문 5년이상 복무 장병 대상

    경기북부제대군인지원센터가 해병6여단을 찾아 제대군인 지원에 대한 교육을 한 뒤 기념촬영하고 있다. 경기북부제대군인지원센터(센터장 강만희)가 지난 4일 서해 최북단 백령도에 위치한 해병6여단을 방문해 5년 이...
    Date2012.09.10 By운영자 Views15742
    Read More
  10. '황금사자상' 김기덕, 韓서는 아웃사이더였으나…

    김기덕감독이 영회 '피에타'로 베니스국제영화제에서 최고상인 황금사자상을 수상했다고 합니다. 참고로 김기덕감독은 해병대부사관 152기입니다. [마이데일리 = 배선영 기자] 김기덕(52) 감독의 구슬프면서도 당당한...
    Date2012.09.10 By운영자 Views46412
    Read More
  11. 해병대, 1986년 독도 방어훈련 시작 후 매년 참가했는데…

    해병대는 1986년 독도 방어 훈련이 시작됐을 때부터 매년 빠짐없이 이 훈련에 참여해 왔다. 해병대의 '독도 상륙 훈련'은 독도가 가상 적군에게 점령당한 상황에서 해병대가 독도에 잠입하는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진...
    Date2012.09.06 By운영자 Views11766
    Read More
  12. No Image

    해병대 독도 상륙훈련 돌연 취소 논란

    日, 지난달 31일 강력 항의… 해경이 주도키로 한국일보 김광수기자 rollings@hk.co.kr / 권경성기자 ficciones@hk.co.kr 입력시간 : 2012.09.04 02:39:24 수정시간 : 2012.09.04 12:56:32 정부가 7일부터 나흘 동안 ...
    Date2012.09.04 By운영자 Views13620
    Read More
  13. 靑 “해병대 독도 방어훈련 ‘과유불급’"

    【서울=뉴시스】박영환 기자 =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4일 해병대 독도 방어 훈련 취소 배경과 관련 “냉철한 국익의 관점에서 판단하고, 결정하는 것이 순리”라며 "(이번 훈련이) 과유불급"이라고 강조했다. 청와대 고...
    Date2012.09.04 By운영자 Views13958
    Read More
  14. 잠수함사령부 2015년 창설, 제주에 해병대 부대 만든다 - 조선일보

    사이버戰 인력 1000명으로 확충, 中·日 정찰위성에 대한 감시 강화 병력 감축시기 다소 늦춰 2022년 52만2000여명으로… 5년간 국방비 188兆 필요 <조선일보 유용원군사전문기자> 국방부는 2015년 제주도에 여단급 해...
    Date2012.08.30 By운영자 Views14887
    Read More
  15. No Image

    제주 해병대의 날 30ㆍ31일 일정 취소…태풍복구 현장으로!

    제주특별자치도는 제12회 제주해병대 기념의 날 행사를 일부 취소하고 태풍 피해 복구에 참여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당초 오는 30일부터 31일까지 천지연광장에서 안보체험행사와 군악대 연주 등 행사를 하기로 했으...
    Date2012.08.30 By운영자 Views1264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55 Next
/ 55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