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1년 6월 8일 새벽이었습니다. 도솔산 정상 공격을 위해 매복 중이던 아군 머리 위로 소련제 수류탄 수십 발이 hbcom_3344.jpg날아왔습니다. 아군 진영은 순식간에 아비규환의 현장으로 변했습니다. 순간 나도 모르게 수류탄 4발을 들고 적군 진지를 향해 30~40m를 기어올랐습니다. 놀란 소대원들의 엄호사격을 받으며 수류탄을 뽑아 든 적을 향해 먼저 수류탄을 던져 넣었습니다.”

이날의 전공으로 화랑무공훈장과 미국 은성무공훈장을 받은 예비역 대령 이근식(80)씨가 지난 4일 강원 양구의 도솔산지구전투위령비 앞에서 옛 기억을 더듬었다. 59년 전 소위 계급장을 달고 도솔산 전투에 투입되던 바로 그날이었다. 전적지 답사교육에 나선 해병대 초급장교들의 노병의 증언에 눈이 반짝였다. 미 해병대와 임무교대한 아군 해병대 제1연대는 17일간의 혈전 끝에 난공불락의 요새인 도솔산을 점령했다. 해병대를 상징하는 ‘무적해병’이라는 말은 이때 생겨났다.

도솔산(1148m)은 펀치볼로 불리는 해안분지를 둘러싼 험준한 산봉우리 중 하나. 1년 전 양구 동면과 해안면을 연결하는 터널이 뚫리기 전까지 현기증이 날 정도로 높고 구불구불한 돌산령(1000m)을 넘어야 했다. 돌산령 위령비에서 해병대도솔산지구전적비가 위치한 도솔산 정상까지는 약 1㎞.

육중한 철문을 열고 야생화가 만발한 산길을 오르자 칼날처럼 날카로운 도솔산 능선이 해안분지를 둘러싸고 있다. 바라만 보아도 현기증이 날 정도로 아찔한 이 산을 차지하기 위해 남북의 젊은이 4000여명이 목숨을 잃었지만 그날의 아픔을 아는지 모르는지 산하는 침묵을 지키고 있다.

이른 아침 인적 드문 돌산령을 넘어 대암샘터에 다가가는 순간 노루 한마리가 모습을 드러냈다. 대암샘터에서 흘러나오는 약수로 목을 축이고 있었던 모양이다. 녀석은 인기척이 나자 큰 눈망울로 힐끗 쳐다보더니 껑충껑충 뛰어 지뢰 표시가 달린 철조망을 넘어 깊은 산속으로 사라졌다.

대암샘터 주변은 해안분지가 한눈에 들어오는 곳. 동서 3.5㎞ 길이의 타원형인 해안분지는 양구 최북단에 위치한 특이한 지형으로 펀치볼(Punch Boul)로 더 유명하다. 한국전쟁을 취재하던 외국 종군기자가 차별침식으로 생긴 분지에 운해가 떠 있는 풍경을 보고 칵테일의 일종인 펀치를 담는 그릇과 비슷하다고 펀치볼로 이름 지었다. 기온차가 큰 가을 아침에는 해안분지를 뒤덮은 운해의 장관을 촬영하기 위해 사진작가들이 인산인해를 이룬다.

hbcom_3345.jpg어머니의 품처럼 아늑한 해안분지에 들어서면 제4땅굴과 을지전망대로 가는 길이 나온다. 을지전망대 아래에 위치한 제4땅굴은 1990년 군사분계선과 1.2㎞ 떨어진 지점에서 발견된 북한의 남침용 땅굴. 전동차를 타고 암흑의 공간에 들어서자 ‘오직 혁명을 위하여’ 등 북한군이 암벽에 써놓은 구호가 선명하다.

해안면 소재지에서 가칠봉 능선에 위치한 을지전망대(1049m)로 오르는 군사도로는 풍광이 아름다워 자주 길을 멈추게 하는 매력을 지니고 있다. 을지전망대는 남쪽의 해안분지와 북쪽의 산을 한곳에서 감상할 수 있는 전망대. 전망창 너머로 늘 운해가 낀다는 운봉과 북한 여군들이 목욕을 한다는 선녀폭포, 그리고 금강산이 희미하게 보인다. 7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진 가칠봉은 금강산 1만2000봉을 완성하는 남쪽의 마지막 봉우리. 한국전쟁 때 이 고지를 확보하기 위해 40일 동안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다. 다행히 국군이 가칠봉을 점령하면서 휴전선이 38선 북쪽으로 획정되는 계기를 마련했다.

천안함 사건으로 휴전선을 둘러싸고 남북 사이에 팽팽한 긴장감이 돌지만 산하는 평화롭기 그지없다. 가칠봉(1242m)과 대우산(1178m), 도솔산(1148m), 대암산(1304m) 능선에 둘러싸인 해안분지는 어머니의 치마폭에 안긴 듯 평온하고, 휴전선 너머에서는 북한군들이 화전을 일구기 위해 산을 태우는 파르스름한 연기가 마치 포연처럼 피어오른다.
내금강에서 발원한 수입천은 분단 이후 민간인들의 발길이 닿지 않은 원시계곡. 수입천과 나란히 달리는 구 31번 국도는 분단 직전까지 내금강으로 가던 유일한 통로로 몇 해 전 ‘두타연 생태 트레킹’ 코스로 개방됐다.
방산 초소에서 민통선 철문을 통과해 포연처럼 하얀 먼지를 꼬리에 달고 비포장도로를 5㎞쯤 달리면 국내 최대의 열목어 서식지인 두타연. 반세기를 민간인 통제구역으로 남아있다 개방된 두타연은 직경 7.2m에 수심 20m인 소(沼). 두타연 옆에는 보덕굴이 검은 입을 벌리고 있고, 원시림을 달려온 수입천은 통일을 염원하듯 바위 틈에서 한반도 지도를 닮은 와폭을 연출한다.

두타연에서 구 31번 국도를 5㎞쯤 달려 하야교를 건너면 상수도 취수장이 위치한 삼거리가 나온다. 내금강 가는 길목으로 대우산 줄기가 병풍처럼 막아서고 봉우리엔 남방한계선의 GOP가 보인다. 이곳에서 금강산 장안사까지는 백리도 안 되는 35㎞.

내금강 가는 길목에서 오른쪽 길로 접어들어 1.6㎞를 더 오르면 수입천 지류를 가로지르는 비아교를 만난다. 비아교에서 비득재까지 이어지는 ‘피의 능선’은 영화 ‘태극기 휘날리며’에서 장동건이 전사한 두밀령 전투가 있었던 곳. 이곳의 계곡은 한국전쟁 중 가장 치열했다는 두밀령 전투를 비롯한 수많은 혈전으로 산골짜기를 타고 내려오는 물이 온통 핏빛이었다고 한다.
신라의 마의태자가 금강산으로 갈 때 진을 쳤다는 진고개를 넘고 여름에는 산사태, 겨울에는 눈사태가 난다는 사태리를 지나 숨 가쁘게 산을 오르면 ‘단장의 능선’ 전투가 벌어졌던 931고지. 미2사단과 프랑스대대 등이 한 달 동안 전투를 벌였던 단장의 능선은 4㎞ 남짓. 외국 종군기자가 한 부상병이 가슴이 찢어지는 고통을 호소하는 것을 보고 명명했다.
벙커를 리모델링해 지난달 개관한 931고지 전시관에는 프랑스대대를 이끌고 한국전에 참전하기 위해 스스로 중장 계급장을 떼고 중령으로 강등한 2차대전 영웅 몽클라르 대대장의 말이 패널로 전시되어 가슴을 뭉클하게 한다.

“저는 육군 중령이라도 좋습니다. 저는 언제나 전쟁터에서 살아 왔습니다. 곧 태어날 자식에게 제가 최초의 유엔군 일원으로 한국전에 참전했다는 긍지를 물려주고 싶습니다.”
양구=글·사진 박강섭 관광전문기자 kspark@kmib.co.kr  <국민일보>

?

  1. 서북도서방위사령부 창설식 보도사진들

    15일 경기도 발안 해병대사령부 연병장에서 열린 서북도서방위사령부 창설식에서 장병들이 깃발을 들고 도열해 있다. <세계일보 발안=송원영 기자> (화성=연합뉴스) 신영근 기자 = 15일 오후 경기도 화성 해병대사령...
    Date2011.06.15 By운영자 Views16280
    Read More
  2. 이명박 대통령, 서방사 창설 기념 메시지 '조국수호의 선봉'

    이명박 대통령은 15일 “국방 개혁의 최종 목적은 무엇보다도 싸워 이기는 군을 만드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후 해병대사령부 연병장에서 열린 서북도서방위사령부(사령관 유낙준 해병대사령관·해사3...
    Date2011.06.15 By운영자 Views17986
    Read More
  3. 서북도서방위사령부 현판식

    (화성=연합뉴스) 신영근 기자 = 연평도와 백령도 등 서북 5개 도서의 방어를 전담하는 서북도서방위사령부 창설 현판식이 15일 오전 경기도 화성 해병대사령부에서 열려 해병대사령관과 서북도서방위사령관을 겸직하...
    Date2011.06.15 By운영자 Views15306
    Read More
  4. 서북도서방위사령부, 드디어 창설

    해병대 사령부를 중심으로 육․해․공군 지원 北방사포, 공기부양정 대응할 각종 전력 이미 배치 / 뉴데일리뉴스 전경웅기자 최종편집 2011.06.14 10:44:25 지난해 11월 북한의 연평도 포격도발 이후 논의되던 서북도서...
    Date2011.06.14 By운영자 Views8001
    Read More
  5. 오종혁, 현빈 이어 '특등사수상'..해병군악대 배치

    가수 겸 배우 오종혁(28)이 해병대 수료식에서 특등사수 상장을 받았다. 3일 해병대 관계자에 따르면, 오종혁은 지난 2일 포항 해병대 신병훈련소에서 진행된1140기 수료식에서 특등사수로 상장을 받았다. 특등사수 ...
    Date2011.06.03 By운영자 Views15547
    Read More
  6. No Image

    해병대 사령관 진급로비 각서 목사 김모씨가 허위 작성·제보

    군검찰, 컴퓨터서 원문 확보 유낙준 해병대 사령관 음해 사건의 발단이 된 진급로비 각서가 건설업자 겸 목사인 김모씨가 작성한 가짜인 것으로 드러났다. 음해 사건과 관련해 수사를 받고 있는 해병대 장성들은 김씨...
    Date2011.06.02 By운영자 Views13980
    Read More
  7. 제14회 도솔산 전적문화제 행사일정 및 프로그램안내

    Date2011.06.01 By운영자 Views17412
    Read More
  8. No Image

    도솔산 전적문화제 IBS대회에 참가해 보십시요!

    도솔산 전적문화제에서는 매년 해병대 IBS보트 체험을 했는데 이번 제14회 도솔산 전적 문화제에서는 용맹IBS대회를 개최한다고 합니다. 이번대회에 총상금 200만원 이며 첫 대회인 만큼 대회 참가비는 무료로 하기로...
    Date2011.06.01 By운영자 Views15128
    Read More
  9. 유용원기자 해병대사태 수습돼 빨리 정상화되길...

    국방부 최장수 출입기자인 조선일보 유용원 군사전문기자가 자신의 트위터에 최근 발생한 해병대사상 초유의 사태과 관련하여 하루빨리 사태가 수습되어 정상회되기를 바란다고 밝혔습니다.
    Date2011.06.01 By운영자 Views21270
    Read More
  10. 제방사 장병들 해발 1950m 한라산 행군, 전투력도 최고봉

    <시사제주> 국토최남단 부대로 제주도를 지키고 있는 해군제주방어사령부(사령관 해병준장 정진립) 장병 200여명이 27일 한라산 일대에서 산악행군을 실시했다. 이번 산악행군은 제방사의 주요 작전지역인 한라산 일...
    Date2011.06.01 By운영자 Views18323
    Read More
  11. SBS 현빈화보집 제작 관련 반론보도

    해병대 “현빈 홍보도서 수익금 검토한 적 없어”(SBS 8시 뉴스 5.31) 지난 5월 11일 SBS 8시뉴스에서 보도된 ‘해병대 판매용 현빈 화보집 제작’ 기사와 관련해 해병대는 “출판사로부터 수익금의 일부라도 받거나 수익...
    Date2011.06.01 By운영자 Views16777
    Read More
  12. No Image

    사령관 음해 혐의 해병대 소장 구속

    군검찰은 31일 해병대 사령관을 음해한 혐의(특가법상 무고 등)로 최근 보직해임된 해병대 모 사단 박모 소장을 구속했다. 그러나 법리 적용에서 사실관계보다는 군 수뇌부의 의지가 작용했다는 논란이 일고 있다. 군...
    Date2011.06.01 By운영자 Views12390
    Read More
  13. 해병대 사격표적지는 김정은

    신병 훈련장서 사용 … 일부 육군 예비군엔 ‘김일성 3부자’ / 경향신문 | 박성진 기자 | 입력 2011.05.30 21:56 해병대가 올해부터 신병교육 훈련장에서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아들인 김정은의 사진을 사격표적지...
    Date2011.05.30 By운영자 Views16141
    Read More
  14. No Image

    도솔산 전적 문화제 내달 17일 개최

    한국전쟁 당시 가장 치열했던 도솔산 전투 승리를 기념하고 한국 해병들의 ‘살신성인의 투혼’ 을 기리기 위한 제14회 도솔산 전적문화제가 내달 17일~19일 사흘간 도솔산 및 양구종합운동장을 중심으로 한 양구군 일...
    Date2011.05.30 By운영자 Views14441
    Read More
  15. No Image

    해병대사령관 음해 사건 전말

    [서울신문] 유낙준 해병대사령관에 대한 음해 사건을 둘러싸고 군이 시끄럽다.<서울신문 5월 21일자 9면> 해병 소장 4명 가운데 2명에 대한 구속영장이 청구되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한 탓에, 국방부와 군 검찰이 유례...
    Date2011.05.30 By김종영 Views1354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55 Next
/ 55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