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최근 국내에서 우리 기업과 기관을 대상으로 한 크고 작은 해킹 사고가 연이어 발생하고 있다. 올해 4월 말에는 국내 최대 통신사인 SKT에 대규모 해킹 공격으로 유심 정보를 포함한 약 2300만 명 규모의 개인정보 유출 사건이 발생했다. 8월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SKT에 역대 최대 규모인 1348억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6월에는 랜섬웨어 공격으로 인터넷 서점 YES24의 모든 고객 정보가 탈취당하고 관련 서비스가 마비되었다. 8월에도 동일 수법으로 공격을 당해 서비스가 마비됐다. 두 번에 걸쳐 연쇄적인 공격이 발생됐다.

7월에 SGI서울보증을 해킹한 것으로 알려진 해킹조직 ‘건라’(Gunra)가 9월 초에 삼화콘덴서공업을 해킹했다고 주장했다. 이 조직은 다크웹을 통해 114기가바이트(GB) 규모의 삼화콘덴서 재무자료를 탈취했다고 밝혔다.

8월 말부터 KT 해킹으로 피해신고가 잇따랐다. 소액결재에 의한 피해는 9월 10일 현재 278건, 피해액은 1억 7000만 원으로 나타났다. 유령기지국을 이용해 가입자식별번호(IMSI), 인증정보, 대화 내용, 문자메시지 등을 탈취한 것으로 나타났다. 9월 중순에는 롯데카드 해킹 사고가 또 발생했다. 수백만 명의 개인정보가 유출됐을 가능성이 크다 

국가정보원 등이 발행한 ‘2025 국가정보보호백서’는 사이버 공격과 관련해 5개 이슈를 분석했다. AI 기술을 연계한 사이버 공격 심화, 고도화된 랜섬웨어 공격 확산, 지능형 IoT 기기 해킹, AI 기술을 연계한 사이버 공격 심화, 북한의 대남 적대정책과 김정은 역점 사업을 기조로 한 사이버 공격 증가 등이다. 

북한은 남북 관계를 여전히 ‘전쟁 중인 교전국’으로 규정하고 있다. 국내를 대상으로 한 도발과 적대행위가 정당하다는 기조이다. 북한은 국방력 강화와 지방발전과 같은 김정은의 역점 사업 추진 목적으로 첨단 산업기술을 절취하고 있다. 사회 혼란 조장 목적으로 사이버공간을 분쟁의 핵심 공간으로 악용 중이다. 

하루 평균 우리나라를 대상으로 한 사이버 공격 중 북한 소행으로 추정되는 공격이 80%에 육박한다고 한다. 북한은 사이버공간에서 국내 대상 악의적 적대행위를 지속하고 있다. 국정원의 자료에 의하면 일일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한 패킷 공격이 162만 건에 이른다고 한다............정순채 칼럼 '끊임없이 발생하는 해킹 공격과 북한' 전문보기는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정순채 사이버칼럼

정순채 동국대학교 융합교육원 겸임교수·경희대학교 사이버대 객원교수 · 법무법인 린 전문위원 · 해병대부사관153기

  1. [정순채 칼럼] 캄보디아 범죄조직 참여자와 법감정

    [정순채 칼럼] 캄보디아 범죄조직 참여자와 법감정 정순채 서울과기대 겸임교수/법무법인 린 전문위원 최근 캄보디아에서 중국계 범죄조직이 한국의 MZ(20·30)세대를 현지로 유인한 사건이 사회적 충격을 주고 있다. “월 1000만 원 이상 고수익 보장”과 같은 허위 채용 ...
    Date2025.10.22 By관리자 Views2688
    Read More
  2. [정순채 칼럼] 어이없이 멈춰 선 국가전산망, 다시 반복돼선 안 된다

    [정순채 칼럼] 어이없이 멈춰 선 국가전산망, 다시 반복돼선 안 된다 지난달 26일 정부 정보 시스템의 중심 역할을 하는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발생한 화재로 인해 700여 개에 달하는 정부 전산 서비스가 멈췄다. ‘정부24’를 포함한 주요 전자정부 서비스가 중단...
    Date2025.10.14 By관리자 Views7818
    Read More
  3. [정순채 칼럼] 인공지능(AI ) 이용 사이버 공격하는 북한

    [정순채 칼럼] 인공지능(AI ) 이용 사이버 공격하는 북한 업무부터 일상생활에서 생성형 인공지능 챗GPT를 이용하는 시대이다. 이제 일상을 함께하는 인공지능(AI)지만 부작용도 적지 않다. 북한은 AI를 악용하는 대표적인 나라이다. 북한은 정찰총국 산하에 해커 부대를...
    Date2025.10.02 By관리자 Views8645
    Read More
  4. [정순채 칼럼] 끊임없이 발생하는 해킹 공격과 북한

    최근 국내에서 우리 기업과 기관을 대상으로 한 크고 작은 해킹 사고가 연이어 발생하고 있다. 올해 4월 말에는 국내 최대 통신사인 SKT에 대규모 해킹 공격으로 유심 정보를 포함한 약 2300만 명 규모의 개인정보 유출 사건이 발생했다. 8월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SKT에...
    Date2025.09.22 By관리자 Views12211
    Read More
  5. No Image

    [정순채 칼럼] 인간의 AI 과의존과 동반자

    [정순채 칼럼] 인간의 AI 과의존과 동반자 2022년 11월 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를 시작한 지 채 3년이 지나지 않았다. 인공지능(AI)의 대중화는 ‘기계가 인간 고유의 능력을 침범할 수 있다’라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 가능성의 현실화가 우려된다는 지적이다. 늑대로부...
    Date2025.09.06 By관리자 Views9027
    Read More
  6. No Image

    [정순채 칼럼] 통신 역사상 최악의 SKT 해킹 사태

    SKT의 해킹 사고와 관련한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이번 공격으로 가입자 전원의 유심(USIM) 정보뿐 아니라 개인정보가 관리되는 서버도 공격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SKT 측에서는 개인정보 서버와는 분리되어 있기에 실제 피해는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SKT는...
    Date2025.05.23 By관리자 Views13101
    Read More
  7. [정순채 칼럼] 개선이 필요한 ‘털린 내 정보 찾기’ 서비스

    개선이 필요한 ‘털린 내 정보 찾기’ 서비스 정순채 서울과기대 겸임교수 법무법인 린 전문위원 다크웹에 4억건이 넘는 한국인 개인정보가 유통된다고 한다. 정보 유출 심각성은 매우 높으나 적당한 대책은 없는 것 같다. 내 정보 유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털린 내 정...
    Date2025.04.22 By관리자 Views11253
    Read More
  8. No Image

    [정순채 칼럼] 남발되는 명예훼손 관련 고소·고발

    [정순채 칼럼] 남발되는 명예훼손 관련 고소·고발 명예훼손 관련 고소와 고발이 10년 새 두 배가량 급증했다. 이를 수사하는 경찰의 업무 부담도 가중되고 있다. 이들 고소 등 사건이 검찰로 송치돼 처벌까지 이어지는 비중은 4건 중 1건 정도로 미미해 경찰 수사력 낭비...
    Date2025.04.15 By관리자 Views10772
    Read More
  9. [정순채 칼럼] 2차 피해 우려되는 다크웹의 개인정보

    불법 사이트 차단·다크웹 마켓 폐쇄 위한 국제 공조 필수 정순채 서울과기대 겸임교수 법무법인 린 전문위원 다크웹(dark web) 전문 보안기업 스텔스모어가 다크웹에서 유통되는 한국인 개인정보는 4억6704만8278건에 이른다고 밝혔다. 현재 인구수와 비교하면 한 사람당...
    Date2025.04.08 By관리자 Views14278
    Read More
  10. No Image

    [정순채 칼럼] 사용자도 모르는 좀비 스마트폰

    악성 앱, 연락처·통화목록·사진첩 등 모든 개인 및 금융정보 탈취 부고장 등 스마트폰에 첨부된 링크(미끼 문자)를 함부로 눌러서는 안 된다. 첨부된 링크를 누르면 금전적 피해가 없더라도 메신저 계정이 도용돼 지인들까지 피해를 입을 수 있다.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
    Date2025.04.03 By관리자 Views11080
    Read More
  11. [정순채 칼럼] 생성형 AI의 데이터 ‘블랙홀'

    서울과기대 겸임교수 법무법인 린 전문위원 "생성형 AI가 해킹 공격 등에 대비가 충분하지 않다" 지난달 18일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지구에서 가장 똑똑한 AI’라며 ‘그록(Grok)3’을 공개했다. 그 후 세계 소셜미디어에선 개인정보 유출 우려 목소리가 ...
    Date2025.03.26 By관리자 Views11433
    Read More
  12. No Image

    [정순채 칼럼] 손쉬운 접근, 숨겨진 위험 ' 큐싱(Qshing)'

    QR코드, 생성·인쇄에 큰 비용 들지 않아 악용 사례 많다 “QR코드 생성 시 첨부되는 URL 유해 여부 검증 절차 의무화해야” QR코드는 스마트폰 스캔으로 결제, 주문 등을 손쉽게 할 수 있다. 최근 이를 악용한 범죄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QR코드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큐...
    Date2025.03.11 By관리자 Views15136
    Read More
  13. [정순채 칼럼] 우려되는 생성형 AI의 ‘사이버 탈옥’...“딥시크 사이버 탈옥 공격에 취약”

    中딥시크, 시한폭탄 될 수도...딥시크 탈옥 성공률 100%, 오픈 AI의 GPT-4o(86%) 최근 미국의 보안 전문기업은 중국의 ‘딥시크가 탈옥 공격에 취약하다’라는 보고서를 공개했다. ‘가성비’ 좋은 인공지능(AI) 모델로 세계적인 관심인 중국 AI 모델의 위험성을 경고한 것이...
    Date2025.03.08 By관리자 Views13278
    Read More
  14. No Image

    [정순채 칼럼] 당하지 마세요! 투자리딩방 불법행위

    [정순채 칼럼] 당하지 마세요! 투자리딩방 불법행위 우리 주변에는 투자 전문가를 사칭한 ‘투자리딩방’ 불법행위가 성행하고 있다. 투자리딩(leading)방은 문자, 전화, SNS 등을 이용해 “고수익을 보장한다”라며, 투자 종목을 추천하거나 매매 시점을 안내하는 방법으로 ...
    Date2025.03.04 By관리자 Views13484
    Read More
  15. No Image

    [정순채 칼럼] 여론재판, 20년째 바뀌지 않는 악플

    [정순채 칼럼] 여론재판, 20년째 바뀌지 않는 악플 초고속 인터넷이 활성화된 2000년대 이후 악성 댓글 네티즌들의 폐해가 심각하다. 악성 댓글로 유명인들의 사망이 30년 가까이 잇따르고 있다. 2월 중순 배우 김새론(25)이 악풀로 비극의 길을 택한 것으로 알려졌다. ...
    Date2025.02.25 By관리자 Views1259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Next
/ 10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