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 카에다의 최고지도자 오사마 빈 라덴의 사살로 마무리된 미군 특수부대의 미션은 치밀한 계획과 첨단 기술이 동원된 ‘성공작’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과거 세계 각국의 군대와 경찰 특수요원들이 동원된 작전이 이번과는 반대로 비극적 결말을 보인 적도 적지 않았다. 미 CNN 방송은 7일(현지시간) 미 해군 실 특수부대의 빈 라덴 은신처 급습 작전을 계기로 이를 포함해 현대사에서 주목할 만한 특수작전 18건을 소개했다.
▶피그만 침공사건=1961년 4월 쿠바 혁명정권이 사회주의국가 선언을 하자 미 중앙정보국(CIA)이 쿠바 망명자 1400여 명으로 부대를 창설, 쿠바 남서쪽 피그만을 침공했으나 100여 명이 사망하고 1200여 명이 체포됐다.
▶뮌헨 올림픽 참사=1972년 9월 하계올림픽이 열린 독일 뮌헨에서 테러단체 ‘검은 9월단’이 이스라엘 대표팀 11명을 인질로 잡고 협상을 시도하자 독일 경찰특수부대가 진압을 시도했으나 11명의 인질이 모두 살해당했다.
▶엔테베 구출작전=1976년 7월 이스라엘 특공대가 우간다 엔테베 공항에서 인질이 된 에어프랑스 탑승객 10여 명을 성공적으로 구출했다. 작전 과정에서 7명의 납치범이 모두 사살됐으며, 3명의 인질과 1명의 이스라엘 군인이 숨졌다.
▶이란 인질 사건=1979년 11월 테헤란 주재 미 대사관에 무슬림 학생들이 난입해 외교관 및 군인 52명을 억류하자 미 정부는 이듬해 4월 인질 구출을 위한 비밀 군사작전을 감행했다. 그러나 투입된 대형헬기 8대 중 3대가 이란의 사막지대에서 고장을 일으켰고, 작전이 취소된 뒤에도 헬기 1대가 C-130 수송기와 부딪치면서 군인 8명이 사망하는 참극이 벌어졌다.
▶노리에가 체포작전=1989년 12월 파나마 침공을 감행한 미국은 해군 실 요원을 투입해 독재자 마누엘 노리에가를 추적했고, 바티칸대사관으로 망명한 노리에가는 이듬해 1월 미군에 투항했다.
▶웨이코 다윗파 급습=1993년 2월 미 주류담배화기단속국(ATF), 연방수사국(FBI)과 종교조직 ‘다윗파’가 텍사스 주 웨이코에서 벌인 총격전으로, 어린이 20여 명을 포함해 76명이 숨졌다.
▶모가디슈 전투=1993년 10월 미군이 소말리아 내전에 개입, 모가디슈에서 블랙호크 헬기 등을 투입해 공중 강습작전을 펼치다 델타포스 등 특수부대 부대원 18명이 사망하고 73명이 부상했다.
▶오그래디 구출작전=1995년 6월 보스니아에 파견된 미군 F-16 전투기 조종사 스콧 오그래디 대위가 세르비아 민병대의 미사일 공격을 받고 격추된 후 적진의 숲속에 고립됐으나 미 해병 특공대의 구출작전으로 무사 귀환했다.
▶엘리안 곤살레스 송환 = 1999년 11월 미국으로 밀입국하던 중 파선으로 일가족을 잃은 쿠바 소년 엘리안 곤살레스를 쿠바로 송환하기 위해 국경경비대 요원이 소년을 데리고 있던 삼촌 집을 급습한 사건.
▶모스크바 극장 인질=2002년 10월 모스크바의 한 극장에서 뮤지컬을 관람하던 850여 명이 체첸 무장세력에 의해 나흘간 인질로 잡히자 러시아 특수부대가 진압에 나섰으나 130여 명이 숨지고 700여 명이 부상했다.
▶제시카 린치 구출 = 2003년 3월 이라크군과 교전 중에 생포됐던 미군 포로 제시카 린치 일병이 일주일 만에 미 특수부대에 의해 구출됐다.
▶칼리드 셰이크 모하메드 체포=2003년 3월 CIA가 9·11테러를 기획한 혐의를 받은 알 카에다 작전사령관 칼리드 셰이크 모하메드를 파키스탄에서 체포해 관타나모 수용소에 이송했다.
▶베슬란학교 인질 사건=2004년 9월 북오세티야 공화국 수도 블라디캅카스 인근 베슬란학교에서 체첸 반군이 1500여 명을 인질로 잡고 대치하자 러시아 보안군이 탱크와 로켓으로 공격해 최소 380여 명이 숨졌다.
▶리트비넨코 독살 사건=2006년 러시아 연방보안국(FSB) 요원 출신인 알렉산드르 리트비넨코가 영국에서 독극물 테러로 사망한 사건으로, 러시아 정보당국의 연관설이 유력하다.
이 밖에 무사브 알 자르카위 사살, 머스크 앨라배마 호 선원 구조, 미 해군 소말리아 해적 급습 등이 있다.
<국방일보 2011. 5. 9 연합뉴스>
2011.05.10 13:21
현대史 특수작전 `18대 미션'
조회 수 4669 댓글 0
TAG •
- 특수작전,
-
헬기잡는 대헬기 지뢰
저고도 비행 헬기 음향센서로 감지해 폭발시켜 / 국방일보 2012.03.05 대헬기 지뢰(왼쪽 러시아, 오른쪽 폴란드) 출처:Jane’s Land-Based Air Defence 2012 지뢰는 저가의 비용으로 손쉽게 설치가 가능하고 적의 이동... -
현대적 전투화의 시작
美 육군, 1943년 발목 보호 M1943 전투화 선봬 / 국방일보 2012.02.27 반장화형으로 발목 부분은 별도 버클로 고정 2차 대전 후반부터 미군이 사용한 M1943 전투화. M1942 점프 부츠. 미 육군은 제1차 세계대전부터 ... -
독일 구데리안 기갑군단에 맞선 프랑스 제55보병사단
“불송에 獨 전차 출현” 한마디 외침 겁에 질려 어둠 속으로 사라진 병사 佛 ‘수치의 현장’ 산림속에 버려두다 / 국방일보 12.02.28 스당시내의 전적지를 답사한 후 시외의 요새지역을 가려고 렌터카 회사에 들렀다. ... -
영국의 공정부대
“누가 감히 우리와 맞서랴 !” ‘붉은 악마’ 함성 들리는 듯 / 국방일보 2012.02.07 영국군 공정부대 역사관에 들어서면 몇 가지의 인상적인 전시물을 보게 된다. 공정부대 상징인 붉은 베레들의 제2차 세계대전, 포클... -
주노 비치를 피로 물들인 캐나다 상륙군
‘평화 위한 희생’ 加 젊은이들 넋 잠들다 / 국방일보 2012.01.31 상륙 예정시간 1944년 6월 6일 07시 35분! 캐나다군 제3사단 장병들이 상륙정 안에서 마른침을 삼키며 백사장 건너편의 작은 촌락 꾸르셀러 마을을 지... -
미키 마우스 부츠 - 美, 1951년 한국 전선 제1해병사단에 첫 지급
1951년 보급된 후 개량을 거쳐 현재도 사용 중인 미키 마우스 부츠(오른쪽)와 설장위장·단열 등 을 고려해 흰색으로 만든 버니 부츠. 필자제공 제2차 세계대전 중 유럽 전선에서는 슈팩이라는 우수한 방한화가 애용됐... -
잠수함 발사 다목적 미사일
지상·해상·공중표적 등 정밀 타격 / 국방일보 2011.12.20 IDAS 미사일. <출처:Jane’s Under Warfare Systems> 잠수함에서 발사되는 미사일은 수중에서 발사돼 주로 지상 또는 해상표적에 대한 정밀 공격을 수행한다. ... -
No Image
이스라엘 軍, 새 특수부대 창설
美 군사전문지 `디펜스 뉴스' 보도 / 국방일보 2011.12.19 이스라엘이 지난 15일(현지시간) 여러 특수부대를 단일한 지휘 계통으로 통합해 새 부대를 창설한다고 발표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로 이스라엘이 이란 ... -
기뢰전의 악몽
원산 상륙전 敵 기뢰 4000발로 사실상 무산 / 국방일보 2011.11.14 김병륜기자 1950년 10월 원산 소해전 당시 소련제 기뢰가 아군 소해정에 접촉해 폭발하고 있다. 자료사진 접촉식 기뢰. 기뢰의 폭발력으로 구축함 ... -
F-35B<5세대 스텔스 전투기>, 첫 해상 수직 착륙 성공
해병공지기동부대에 새 항공력 제공 기대 / 국방일보 2011.10.11 록히드마틴의 F-35B 라이트닝 II 시험비행용 BF-2가 지난 3일 사상 최초로 미 상륙함 와스프 함의 비행갑판에 수직 착륙하고 있다. <록히드마틴 제공>... -
제2상륙작전 공포 … 서해안에 극비 기뢰부설
1953년 임육성이 소형기뢰를 조작하고 있는 모습. 2000년 월간 잡지 종횡(縱橫)10월호 게재. 서상문 /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선임연구원 해군발전자문위원 1951년 6월 중순부터 북한 내 중국군의 배후에 유엔군이 상... -
`원샷 원킬' 슈퍼 저격소총
단 한 발로 원거리 표적 쉽게 명중시킨다 / 국방일보 2011.08.16 12.7㎜ 저격소총으로 훈련하는 저격팀 모습. 인류 역사에서 총이 발명될 무렵부터 단 한 발의 총탄으로 사람을 죽이는 저격술은 발전하기 시작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