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3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인천상륙작전 전초기지 영흥도 

 

미국 극동사령부 해군 정보장교 클라크 대위 와 한국 해군 첩보부대 KLO-8240 부대원은 1950년 9월 15일 01:40에 팔미도 등대에 불을 밝힌다. 이 등대 불을 신호로 유엔군은 261척에 달하는 연합 함대가 05:00부 터 공격 준비 사격에 이어 상륙주정(LCVP) 20척에 분승하여 인천상륙작전을 감행하였다.

 

06:33에 녹색 해안(Green Beach)인 인천 월미도에 상륙하여 06:55에 월미산 105고지 정상을 탈환하였고, 08:00 월미도를 확보한 후 흑 정오쯤 소탕 작전을 완료하였다. 월이도 상륙 작전 시 미 해병대의 총 피해는 부상자 17명이었으며 적 사살 108명, 포로 136병을 생포하는 전과를 거두었다.

인천상륙작전은 한국 전쟁의 승패를 좌우하는 대대적인 작전이었다. 그러므로 미 극동군사령관인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은 손원일 해군창모총장에게 북한군 첩보활동을 위한 부대 창설을 요청했다. 함명수 소령, 임병래 중위, 응시욱 하사 등 17명의 대원으로 구성된 해군 특수첩보대가 비밀리에 창설된된 배경이다. 해군첩 보대는 8월 18일 01:00에 어선을 타고 부산항을 떠나 6일째인 8월 24일 서해 영흥도에 도착했다.

 

작전보안을 위해 첩보작전의 거점인 영흥도에 도착해서야 함 소령은 대원들에게 작전(작전명:X-ray)의 목적과 구체적인 임무를 하달했다. 특수첩보대 대원들은 3개조로 나뉘어 인천과 서울 수원을 왕래하면서 북한군에 관한 접보활동을 펼쳤다. 인천상륙작전 개시 하루 전 영흥도를 거점으로 첩보활동을 펼치던 특수첩보 대에 철수명령이 떨어졌다. 철수 준비를 서두르던 02:00, 한국군의 첩보활동을 뒤늦게 감지한 북한군 1개 대대가 영흥도를 기습했다. 영흥도에는 17명의 첩보대원과 영흥도 청년방위대원 6명만 남아 있었다. 첩보 대원과 청년방위대원이 적의 공격을 필사적으로  저지하는 동안 나머지 9명의 첩보대원들은 해안에 정박해 둔 마지막 보트를 타고 탈출했다. 상륙작전을 불과 24시간 앞두고 영흥도 전투에서  8명의 해군 첩보대원과  영흥도 청년방위대원 6명 등 14명이 전사했다.

 

이후 북한군은 영흥도를 완전히 장악한 상태에서 그 동안 한국 해군 첩보대와 클라크 첩보대에게 적극 협조한 영흥도의 청년들을 학살하였는데  「한국전쟁2」의 기록에 의하연 “9월 16일, 미 해병대가 영흥도를 점령해 보니 클라크 퇴거한 직후에  1개 대대(400명 정도)의 북한군이 상륙하여 아군에게 협력한 부락민 50여명을 학살 했음을 알았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인천상륙작전의 성공은 잘 알려지지 않은 여러 희생자들의 호국정신과 영흥도 주민들의 갸륵한애향심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임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인천 월미공원에는 2011년 예비역 대한민국 특수임무수행자 동지들이 뜻을 모아 건립한 해군첩보부대(UDU) 충혼탑이 있다. 

 

인천상륙작전전초기지.jpg

 

 



  1. 영흥도 인천상륙작전 전초기지 표지석

    인천상륙작전 전초기지 영흥도 미국 극동사령부 해군 정보장교 클라크 대위 와 한국 해군 첩보부대 KLO-8240 부대원은 1950년 9월 15일 01:40에 팔미도 등대에 불을 밝힌다. 이 등대 불을 신호로 유엔군은 261척에 달하는 연합 함대가 05:00부 터 공격 준비 사격에 이어 ...
    Date2025.10.23 By관리자 Views13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