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111_39_2.jpg

역경의열매 이승만 (11) 성경 읽으며 해병대 혹독한 훈련 견뎌 / 국민일보 [2010.11.11 17:55]

서울에서 방위군으로 자원입대한 후 18일간 사선을 넘나든 끝에 훈련소인 진해의 한 초등학교 교실에 도착했다. 1951년 1월이었다. 그곳에서 해병대라는 것이 있다는 사실을 처음 알았다.

“훈련은 제일 세고 가장 치열한 전투에 투입되지만 보급은 최고로 좋다더라.” 이 말에 나와 성화신학교 동창 중 15명은 “기왕 군대에 들어간다면 밥이라도 실컷 먹게 거기로 가자”고 뜻을 모았다. 그리고 시험을 보러 경회동 해병대 신병훈련소를 찾아갔다.

간단한 필기시험신체검사를 마친 뒤 체력시험이 치러졌는데, 이는 기합을 얼마나 견디는지를 측정하는 단계였다. 시험관은 한 사람씩 ‘엎드려뻗쳐’를 시킨 뒤 두툼한 각목으로 엉덩이를 다섯 대씩 사정없이 내려쳤다. “바지 내려! 허리 구부려! 하나! 둘! 셋! 넷! 다섯!” 시험관의 악쓰는 소리와 퍽퍽 소리는 다음 대기자를 얼어붙게 만들었다.

하나님! 견뎌낼 수 있게 해 주십시오. 하나님이 저와 함께하심을 믿습니다!” 마음으로 기도하며 한 대씩 매를 견뎌냈다. 문제는 그 다음이었다.

동생 승규 차례가 된 것이었다. 방위군 대열에서 낙오할 뻔한 아이를 천신만고 끝에 데려왔는데 여기서 헤어질 수는 없었다. “승규야! 이제는 떨어지면 안 되니까 꾹 참고 매를 맞아야 해. 살면 같이 살고 죽어도 같이 죽자!”

동생은 생각보다 잘 견뎌줬다. 그러나 동생이 맞는 모습을 보는 것은 내가 맞을 때보다 몇 배 아팠다. 결과는 우리 17명 모두 합격이었다. 헤어지지 않아도 된다는 기쁨에 우리는 아픈 것도 잊은 채 얼싸안고 펄쩍펄쩍 뛰었다.

이렇게 해병 6기가 됐다. 시험 장소였던 신병훈련소에서 4주간의 훈련에 들어갔다. 소문과 달리 춥고 배고프기는 이전과 별다를 바 없었다. 막사 창유리는 다 깨져 있고 그 사이로 들이치는 바닷바람은 소스라치게 차가웠다. 난로나 이불도 없었다. 추위에 몇 번씩 잠을 깨고야 새벽을 맞을 수 있었다.

훈련 또한 혹독하기 그지없었다. 깜깜한 새벽에 기상명령이 떨어지면 전기쇼크를 받은 사람들처럼 벌떡 일어나 연병장에 집결하고, 얼음장 같은 바닷물에 뛰어들어 씻는 것으로 일과가 시작됐다. 조금이라도 늦거나 꾸물거리면 바로 구둣발이 날아들었다. 종일 쉴 새 없이 뛰고 구르고 달리며 훈련을 받았다.

다행히 나는 무엇이든 빨리 배워 분대장을 맡기도 했지만 힘든 것은 마찬가지였다. 훈련은 고되고 식사는 너무 적은 터라 많아 보이는 밥그릇을 차지하기 위해 동료와 싸우는 일도 있었다.

나는 점점 짓눌려 가는 마음을 이기기 위해 모두 잠든 시간에 성경책을 읽었다. 피란과 험한 행군 가운데서도 늘 지녀 온 성경이었다. 창에 스미는 달빛을 받으며 읽었던 시편과 예언서들, 복음서와 바울서신은 말할 수 없는 위로와 평안을 줬다. 특히 창세기의 요셉 이야기를 즐겨 읽었다. 요셉도 갖은 고생을 했지만 결국 자신의 사명을 끝까지 붙들고 하나님 앞에서 정직히 행했기에 모든 이들에게 복을 주는 사람이 됐다는 이야기는 몇 번이고 되풀이해 읽었다. “그래, 요셉처럼 살아보자. 끝까지 하나님의 방법대로 살아보는 거다!”

동생 승규와 떨어지지 않고 지내는 것만도 큰 은혜라고 생각하기로 했다. 승규는 내게 삶을 지탱할 수 있는 목적이었다. 승규는 성격이 밝아서 중대장 전령병으로 발탁됐는데 중대장이 취사장에서 얻어다 주는 누룽지를 내게 가지고 와 밤에 담요를 뒤집어쓰고 나눠먹곤 했다.

그때쯤 내 인생의 기로가 된 일이 생겼다. 해병부대 본부에서 영어를 할 줄 아는 사람을 모집한다는 공고가 난 것이다.
<정리=황세원 기자 hwsw@kmib.co.kr>

 


TAG •

  1. 준비된 자만이 기회를 잡는다 - 이영주 해병준장

    이영주 해병준장 우리는 평소 드라마나 스포츠를 즐겨본다. 여기에 극적인 변화나 반전이 없다면 재미가 없을 것이다. 세상사 역시 반전의 묘미가 있어 더욱 살맛 나는지 모른다. 70년대 고교야구는 프로 스포츠 못지않은 큰 인기를 누렸다. 그 인기의 요소 중 하나가 역전승이었다. 그것도 9회 말 투 아웃에 펼쳐지는 역전...
    Date2010.05.25 By운영자 Views3343
    Read More
  2. 이사진을 기억하나요?

    그때 그사진의 주인공이 바로 그 사진을 들고 노무현대통령을 조문한 해병중위입니다.
    Date2010.05.24 By운영자 Views4503
    Read More
  3. 천자봉구보

    춥고 배 고프고 졸립던 시절을 회상하며......... 보병은 3보이상 구보입니다. 훈련소에서는 행군하는 것 이외에는 걸어다니지를 않았고, 쉴 때도 앉아서 쉬지 못하고 서서 쉬었는데 그래도 진해훈련소 구보의 하이라이트는 천자봉 구보입니다. 천자봉을 진해훈련소에서 보면, 정상에 하얀 글씨로 "해병혼"이라고 표시되어 ...
    Date2010.05.24 By운영자 Views4494
    Read More
  4. 스무살 새로운 도전

    1사단 포병연대 일병 황인성 따뜻한 햇살과 시원한 바람, 싱그러운 풀 냄새가 나는 5월이 되어 어느덧 일병으로 진급을 하고 내 나이도 만 20살이 넘어 드디어 성년이 되었다. 성년의 날... 장미, 향수, 그리고 달콤한 키스를 연인에게 주는 날. 이제 진정으로 성인이 되는 사람에게 축하와 격려를 해주는 날이다. 하지만, ...
    Date2010.05.20 By운영자 Views3013
    Read More
  5. 한국인이라는 것 그리고 해병대라는 것

    2사단 본부대대 상병 김성철 (2007) 저는1985년에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태어나 운이 좋게도 미국 국적이라는 것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외가 친척들이 어려서부터 미국에 이민을 가서 저 또한 미국에서 어린 시절을 보내게 되었습니다. 미국에서 10년 정도 살다가 부모님을 따라 한국으로 오게 되었습니다. 귀국한 후 한국...
    Date2010.05.20 By운영자 Views3379
    Read More
  6. 해병대관련 그림 몇장

    인터넷에서 찾아 저장해 두었던 그림 가운데 몇장 올려드립니다. 모두 작자는 확인하지 못했습니다. 첫번째 그림은 월남전의 해병을 스케치한 그림으로 보이고 두번째 그림은 기습특공마크를 그린 부대기가 좀 아쉽기는 하지만...해병부대마크였으면 더욱 좋았으리라 생각이 됩니다. 기습특공부대원이 추억록 제작시에 그린...
    Date2010.05.20 By슈퍼맨 Views4779
    Read More
  7. 선배 해병의 후배 사랑

    - 해병대 출신 김웅배 목사 현역시절 위문결심, 본격적 부대위문실천 - 백령도, 우도 방문 등 격오지 위문활동으로 해병대식 강행군 해병대 출신 목사가 해병대 사령부를 비롯한 해병대 격오지 부대를 방문하며 위문활동을 펼치고 있어 해병대 장병들의 사기를 복돋우고 있다. 선행의 주인공은 바로 해병대 병 348기로 전역...
    Date2010.05.20 By운영자 Views5474
    Read More
  8. 해병의 역사 고대에서 근대까지

    ■ 특별기고 군사전문가 계동혁 해병대의 역사는 인류의 해양진출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비록 현대적 의미의 해병대는 1600년대가 되어서야 등장했지만 해병 정신과 해병대의 개념은 이미 고대부터 존재해 왔다. 해병대의 등장은 다음의 2가지를 의미한다. 첫 번째는 해군이 등장했다는 것이고 두 번째는 장거리 해상 ...
    Date2010.05.20 By운영자 Views3683
    Read More
  9. 어머니에게 간 이식한 해병

    해병대 청룡부대 윤보현 일병(병 1063기) “입대하기 전에는 철이 없어 부모님의 고마움을 몰랐는데 해병대에 입대해서 어머니 사랑을 더 절실하게 느꼈다.” 간질환으로 투병 중인 모친에게 자신의 간을 이식해 효를 실천한 해병의 사연이 눈길을 끌고 있다. 해병대 청룡부대에 근무하는 윤보현 일병(병 1063기, 21세·극동대 ...
    Date2010.05.20 By운영자 Views3828
    Read More
  10. No Image

    내인생의 스승 해병대

    어릴적 나의 꿈은 의사였다. 사람들의 목숨을 구하는 의사. 그러다 시간이 흘러「형사 25시」를 보며 정의를 수호하는 형사가 되고 싶었고, 형사는 곧 변호사로 바뀌었다가 다시 판사가 되기도 하였다. 그 이후로도 나의‘꿈’은 몇 번의 변화를 되풀이하다 결국엔 세상을 따뜻하게 만들고 사람들의 삶을 변화시킬 만한 감동을...
    Date2010.05.20 By운영자 Views2840
    Read More
  11. 삼형제해병

    - 삼형제 해병, 1사단 함께 복무, 막내는 영주권자임에도 자원입대 - 경북 포항이 고향, 어릴적부터 해병대의 꿈 키워 함께 복무 다짐 - 차남과 막내는 동기생으로 동반입대 해병대 1사단에서 복무하고 있는 해병대 삼형제가화제다. 최근 동반입대로 인해 한 부대에서 함께 복무하는 형제 병사가 많기는 하지만 이렇게 삼형...
    Date2010.05.19 By운영자 Views3887
    Read More
  12. 해병대출신 첫 해사 생도대장

    60여 년 해군사관학교 역사상 첫 해병대 출신 생도대장 이영주(사진) 준장. 지난해 12월 해사 개혁의 신호탄격으로 생도대장에 임명, 지난 1년여간 교육혁신을 이끌어 왔다. 지난해 12월 6일 해사 연병장에서 열린 63대 생도대장 취임식에서 이 생도대장은 “강인한 사관생도 육성을 목표로 지금보다 더욱 강하고 패기찬 생도...
    Date2010.05.18 By운영자 Views10713
    Read More
  13. 해병대수색대 정무운상사를 만나다.

    강한 남자의 표본, 해병대 수색대! 아마 그 위용을 못 들어 본 사람은 없을 거다. 특히 백령도의 해병 수색대는 지리적 긴장감과 함께 더 실감 나는 용맹함이 보였다. 정무운 상사에게서 듣는 백령도 해병 수색대! Q. 여기서 어떤 일을 맡고 계시는지? 네, 저는 해병대 수색중대에서 척후 폭파담당을 맡고 있습니다. 세부적...
    Date2010.05.18 By운영자 Views13532
    Read More
  14. No Image

    서해 5도를 지켜낸건 해병대의 공

    한국전쟁 59주년 | 두 노병의 증언 이성호 전 해군참모총장과 공정식 전 해병대사령관은 지난달 27일 80대 중반의 노구를 끌고 경남 진해를 찾았다. 해군사관학교에서 열리는 손원일 제독 탄생 100주년 기념일(5월 28일) 행사를 위해서다. 진해 앞바다에 초승달이 걸린 이날 밤 두 사람은 생도사에서 60년도 더 차이 나는 후...
    Date2010.05.18 By슈퍼맨 Views3279
    Read More
  15. 짜빈동전투 47년에

    신원배 (예)해병대 소장 대한민국재향군인회 사무총장 [국방일보] 1967년 2월 14일, 그날따라 베트남의 밤하늘은 칠흑같이 어두웠다. 지휘자의 직관인지 본능인지 왠지 모를 불안이 엄습해 왔다. 14일은 공식적인 구정 휴전이 끝나는 날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아니나 다를까 23시가 조금 넘어서자 수효를 알 수 없을 정도로 ...
    Date2010.05.18 By슈퍼맨 Views3573
    Read More
  16. 천자봉과 해병대

    진해 교육사령부에서 바라본 천자봉 사진 배나온슈퍼맨 임영식 진해만을 병풍처럼 둘러싼 장복산 줄기 동남쪽 끝에 천자봉이라는 봉우리가 있다. 천자봉은 높이가 500m 정도지만 그와 연해 있는 시루봉(웅산)은 693.8m나 된다. 밑에서 보면 평범해 보이지만 가파르고 돌과 바위가 많아 길이 매우 험한 산이다. 해군과 해병대...
    Date2010.05.17 By운영자 Views6485
    Read More
  17. 귀신잡는 해병대 별명을 붙여준 종군기자 마게릿 히긴스

    Date2010.05.17 By운영자 Views5848
    Read More
  18. 해병대 그린베레모 탄생 이야기

    ( 김영빈 전 해병수색대장님 (해병대 특수수색교육 7기, 육군 특전단 기본공수 64기, 해군 UDT/SEAL 18기, 육군 특전단 잠프마스타 46기)의 글입니다. ) 수색대는 자체 건물 없이 많은 이사를 했었는데 포항병원 옆 기지 본부에 콘세트에서 생활할 때 청하 해룡작전에서 강 대현 중위 외 4명의 오인의 해병이 순직한 사건이 ...
    Date2010.05.17 By운영자 Views7713
    Read More
  19. 해병 소방대장 김대훈 중사를 만나다

    해병대 하면 많은 사람들이 빡빡 민 특유의 머리와 빨간 명찰, 강한 군기, 상륙 작전으로 대표되는 강도 높은 훈련을 떠올리게 마련이다. 하지만 그런 해병대 역시 완벽한 임무 수행을 위해서는 원활한 군수 및 다른 분야에서의 지원이 필수적. 해병대의 화재 안전을 책임지고 있는 소방대장 김대훈 중사를 만나 보았다. Q. ...
    Date2010.05.17 By박종명 Views4232
    Read More
  20. No Image

    하교 90기 - 나는 자랑스런 해병하사관이 된다.

    하사관학교 90기 김종훈선배님의 글입니다.. 237기 동기생들을 뒤에 두고 나를 포함한 하교 90기 하후생은 신병훈련소 서쪽의 천막 막사인 하후생 중대로 이동하여 28주의 하교 훈련과정에 돌입하였다. 당시 훈련소 정문 앞의 빨간 벽돌 건물의 하사관학교로 바로 입교하지 않은 것은 그 당시 신병 기수와 같이 매달 하후생 ...
    Date2010.05.17 By박종명 Views610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Next
/ 16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