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12.22 00:43

해병대의 두 장군

조회 수 1111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해병대의 두 장군

 

나는 1997년 가을 해병대 사령부와 해병 제1사단 및 제2사단의 위관장교들을 대상으로 "공격 시 소총중대"라는 제목으로 90분 간씩 순회교육으로 강의한 일이 있다. 이 강의는 나의 제언으로 당시의 해병대 사령관(전도봉 장군)의 요청으로 순회교육 일정에 의거 실시되었다.

이 강의는 1958년 2월 미 제1군단(집단) 사령부에서 해병대 사령부로 "공격 시 소총중대"라는 제목으로 강의 요청이 와서 내가 같은 해 3월에 미 제1군단 사령부(Camp Red Cloud) 강당에서 50분 간 미군 위관장교와 하사관들 300여 명에게 강의한 내용이다.

최초 해병대 사령부에서는 통역장교 출신인 T소령으로 미군측에 명단을 제출했으나 보병장교가 아니라는 이유로 거절당하여 그 불똥이 나에게 떨어저서 F.T.X.기간 중이어서 할 수 없다고 거절했으나 사단명령으로 이미 발령이 나있었다.

나는 별 수 없이 연대장(김용국 대령)의 무관심과 비아냥 속에서, "그 강의는 연대와 관계가 없는 네 개인의 일이니 F.T.X. 기간 중에는 훈련에만 전념하고 밤에 자는 시간에만 준비하건 말건 네 마음대로 하라"는 어처구니 없는 소리를 들으면서 나는 부랴 부랴 F.T.X. 기간의 바쁜 틈을 타서, 물론 잠자는 시간을 쪼개가면서 10일 간 준비하고 대타격으로 해병대를 대표하여 강의한 일이 있었는데 그 때의 강의 내용이다.

이 내용을 나는 언젠가는 우리의 후배 해병들에게, 특히 위관장교들에게 우리의 세대가 가기 전에 꼭 한번 강의할 것을 생각하고 강의개요를 500여 부를 준비하고 기회를 기다리고 있었는데 전도봉 사령관이 나에게 1997년 가을에 기회를 허락해 주어서 이루어진 강의였다.

 

 

a0114755_49ab7941ac62b.jpg

 

 

그런데 순회 교육 중 나는 아주 놀라운 사실을 목격하고 시대가 바뀌었구나 하는 격세지감을 느끼게 되었는데 거기에 대해서 우리 해병가족들에게 설명하므로서 우리 자신을 한번 되돌아 보고저하는 것이 이 내용의 목적이다.

그것은 해병대 사령부 참모장을 위시하여 사령부 근무 전장교, 부사관들이 해병대 사령부 강당에 꽉 찬 앞에서 강의를 마치고 해병 제1 및 2사단에 순회 강의차 먼저 포항에 갔을 때의 일이다. 해병대 사령부에서는 고맙게도 나의 강의 내용을 전부 녹화하여 내가 사령부를 떠날 때 나에게 건네주었다.


해병 제1 사단
경북 포항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해병 제1 사단 본부에 내가 도착했을 때(사단에서 제공한 KAL기편 항공권) 현관 앞에 사단장을 위시하여 참모들이 나를 영접해 주고 기념사진 촬영까지 했다. 나는 이들을 보고 눈물이 나올 정도로 반가웠고 또한 해병대 선배장교로서의 어떤 자부심을 다시 갖게 되여 이들에게 진심으로 감사했다. 이번 나의 방문은 해병대 사령부가 박정희 정권의 어이없는, 허구한 구실로 해체된(1973년 10월 10일) 후 해병부대를 30년 만의 방문이었다.

사단에서는 나의 강의를 위해 '도솔관'에도 350명 정도의 위관장교들을 뫃이게 해 주었다. 이때의 사단장은 해군사관학교 출신 장군이었다.

 
a0114755_49ab7941b9935.jpg
 

해병 제2사단으로

그 다음에 나는 김포지역에 배치되어 있는 해병 제2사단으로 같은 목적으로 갔다. 특별히 이 지역(김포반도 북단 지역일대)은 1962년 겨을 내가 해병 제1연대 제2대대장으로서 심혈을 기울여 근무한 지역이기 때문에 나로서는 꽤 감개무량했고 그 때부터 35년만의 방문이다.

 

사단본부에 내가 도착했을 때 본부 앞에 부사단장과 참모들이 나를 기다리고 있었다. 나는 그들과 악수 후 사단장은 출타 중인 것으로 생각하고 2층으로 안내되어 사단장실에 들어섰는데 거기에 사단장이 의자에 뻐치고 앉아 있었다.
 
나는 그를 본 순간 무슨 모욕을 당한 것 같은 기분이 되어 사단장실에서 도루 나오려했으나 나의 목적은 이것이 아니다 하고 참고 의자에 앉았다. 그러니 나의 심기가 편할 리가 없었다. 더욱이 나는 해병학교에서 사관후보생 중대장을 2년 간(1955년-56년)했었기 때문에 이런 장교를 보게 되면, 기본 교육이 제대로 안 된 장교를 보면 참을 수 없이 분통이 터지는 것을 어찌 할 수 없다. 이때의 사단장은 해병학교 출신 장군이었다.

이 두 장군을 보면서 내가 발견한 것은 이 두 장군의 장교로서의 성품과 기본 자세이다. 해사 출신 장군의 자세는 원칙에 입각한 행동이었고 해병학교 출신 장군의 자세는 적당히 요령껏 취한 행동이었다.
 
요령이라는 것은 부사관들이나 또는 병들이 그들에게 주어진 어떤 임무를 수행하면서 쉽게 그리고 최선의 성과를 올리기 위한 방법인데 이 요령도 원칙에 입각하여 이루어져야지 그렇지 않으면 실패하기 쉽다. 이런 것은 경험에 의거하여 터득되게 되는 데 이런 요령을 고급지휘관이 행사한다는 것은 그 내용의 대소 혹은 경중이 문제가 아니라 그의 사단장으로서의 부대지휘 능력과 또한 그 방법에 문제를 안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해군 사관학교에서는 원칙을 배웠고 해병학교에서는 요령을 배웠음을 단적으로 이 두 장군의 행동은 보여 주고있었다. 해병학교 출신 장군의 행동은 해병 정신과 해병대 전통에도 어긋난 행동이었다. 추측컨데 이 장군은 사령관이 되지 못했을 것이다. 만일 됐다면 해병대의 건전한 발전을 위하여 슬픈 일이 아닐 수 없다.

해병대에서 필요로 하는 장군은 이런 요령껏 업무를 처리하는 장교가 아니라 만사에 원칙을 중시하고 또한 그것을 준수하기 위하여 솔선수범하는 순수한 해병 정신의 소유자인, 그런 충실하고 건전한 장군이다. 거기에 더하여 교육 장소로 회의실에 전방부대라는 이유로 약 80명 정도의 인원을 집합시켰는데 강의를 마치고 나오면서 이들과 악수하면서 보니 대부분의 인원들이 부사관들이었다.

나는 소대장, 중대장을 대상으로 강의한 것이 아니라 분대장들에게 "공격시 소총중대"를 강의한 것이다. 나는 이걸 보고 아주 어처구니 없었다. 어쩌면 이럴 수 있을까? 해서 이다.
 
이런 현상은 우리의 시대에서는 상상조차할 수 없었던 그런 기이한 현상인데, 나는 싫어도 나의 모군인 해병대, 특히 김포지역에서 보아야 했다. 생각할 수록 실망스러운 오늘의 해병대의 일면이 아닐 수 없다. 나는 1962년 이 지역에서 전방대대장을 했었기 때문에 나의 실망은 더 클 수밖에 없었다.
 
처음부터 이 부대는 나의 초청강의를 달가워하지 않았었다. 강의일까지 나의 집으로 세번씩이나 정훈참모라는 장교가 교육목적과 무관한 내용의 문의 전화를 했었다. 심지어 전화 내용을 도청하는 소리까지 들렸었다. 나는 좀 괘씸한 생각이 들어서 나의 강의를 취소할 것을 생각했으나 해병대 사령부의 순회교육 공문까지 이미 예하부대에 배부된 이상 나는 나의 기분으로 멋대로 취소할 수 없어서 갔었는데 역시 결과는 예상한대로 좋지 않았다.

위의 두 장군은 내가 대령 때(1966년) 아마 민간학교를 다니고 있었을 것이다. 나는 이 두 장군을 비교해 보면서 해병학교 출신과 해군 사관학교 출신과의 큰 차이점을 보고 역시 해병대는 미국 해병대와 달리, 미국 해병대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O.C.C.(장교 후보생 과정) 출신 장교들이 해군 사관학교 출신을 제치고 해병대 사령관이 되는 전통에 비해 한국 해병대 사령관은 반대로 해군 사관학교 출신 장교가 해병대 사령관이 되는 것이 마땅하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그것은 내가 미 해병학교(Basic School US Marine Corps Schools Quantico, Va. 1954년)에 유학 중 관찰한 해사 출신 장교들의 미국(미 해병학교)에서의 무례했던 행태와 국내에서의 편가르기식 태도와 언행 등으로 인하여 내가 가지고 있던 해군 사관학교 출신 장교에 대한 나의 편견, 생각을 바꾸는 계기가 되었다.

그리하여 나는 이 때부터 내가 평소에 가지고 있던 해군 사관학교 출신 장교에 대한 편견, 미 해병학교에서부터 시작된, 같은 것을 버렸다. 물론 사람나름이라고 할 수도 있겠지만 "하나를 보면 열을 알 수 있다"는 선인들의 말을 나는 믿고 싶다.
 
그러나 우리, 해병대가 오래 전부터 안고있던 편가르기의 악습, 잠재 의식이 아직도 어떤 장교들 속에는 그대로 남아 있음을 발견하고 나는 무척 낙담한 일이 있다. 그것은 얼마 전에 내가 사실 그대로 저술한 "해병대 전투 및 해병대 해체 2005년 7월 27일 발간" 라는 책자를 출판한 후 이 내용을 읽은 오래 전의 해사 출신인 70대의 老해병장교는 "왜 해사 출신들만 까고 해병대의 비리에 대해서는 일언반구도 없습니까?"하는 엉뚱한 항의를 내가 혁역시절부터 가깝게 지낸 장교가 나에게 했었는데 나는 아주 실망하고 또 크게 놀랐고 심지어 격분까지 했다. 이는 이들 속에 아직도 네편 내편이라는 편가르기식 오래 전의 그 잔념이 아직까지 남아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좋은 실례가 아닌가 생각되었기 때문이었다.
 
더욱이 "해병대 비리는 왜 폭로하지 않았습니까?"하는 내용에 대해서는 나는 아연실색했다. 이는 마치 자기는 해병대 장교가 아니고 아직 해사 출신 장교라는 관념이 그의 머리 속에 깊이 남아 있음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수십년 전의 사실을 그대로 사실대로 언급했다해서 나에게 항의할 정도이니 그 당시의 이들이 갖고 있던 출신별, 해사 출신, 편가르기가 어떠하였음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움직일 수 없는 증거가 아니고 무엇인가?
 
만일 그렇다면 아직도 해병대내에는 우리 시대에 안고 있던 그 망군적인 '편가르기'의 악습이 아직 상존하고 있을 것으로 생각하니 우리의 해병대를 위해서 무척 서글픈 일이 아닐 수 없다. 어떡하다가 우리 해병대가 이렇게 되었단 말인가?
 
이것 역시 오래 전의 해병대가 정부의 예산 절감이라는 허망하고도, 허구한 정책으로 우리 해병대를 해체했을 때(1973년 10월 10일) 우리가 부르짖었던 "누군가 책임지고 대답을 하라"하던 우리의 부르짖음이 아직 이 시대를 살고 있는 해병대들에게도 해당될 것으로 생각된다. 누군가 책임지고 우리 시대에 안고 있던 그런 망군적인 '편가르기의 악습'을 퇴치할 수 있기를 바란다.
 
반면에 나의 저서를 읽은 해사 출신, 우리가 존경하는 老해병장군은 "이 대령의 심정은 이해하나 지금에 와서 어떻게 할 수도 없고 하니 인제 다 지난 일들이니 잊어버리고 우리의 여생을 즐겁게 지내는 것이 어떤가?"하고 나를 위로까지 했었다. 이 얼마나 넓고 깊은 老장군의 생각이며 또한 마음씀인가?
 
오늘의 해병들은 이런 老장군의 말대로 "지금에 와서 어떻게 할 수도 없지 않은가?" 하고 지난 날을 체념하지 않게 되기를 바란다.                                                                                        - 끝 -

해병 대령(예) 이근식
 

 


TAG •

  1. 45년전 135명이 무임승차한 기차값입니다.

    (대전=연합뉴스) 45년 전인 1966년 8월 이맘 때 해병학교 시절 단체로 무임승차한 빚을 갚기 위해 김무일(金武一.67.전 현대제철 부회장)씨와 고광호, 엄준걸씨 등 예비역 장교 일행이 11일 대전 코레일 본사를 찾아 허준영사장에게 100만원을 건네고 있다. < < 코레일ㆍ지방기사 참고 > > 2011.8.11 ▲ 공군과 해병대의 난투...
    Date2011.08.13 By배나온슈퍼맨 Views3473
    Read More
  2. 포항 김원일, 그라운드서 외치는 "나는 해병이다"

    포항 홈경기에 가면 언제나 500~2000여명의 해병대가 있다. 이들은 스틸야드 본부석 맞은편 2층에서 열렬한 응원과 함께 군가 '팔각모 사나이'를 부르며 분위기를 띄운다. 오랜 병영 생활에 지친 해병대에게 포항 축구는 그동안의 스트레스를 날려버릴 수 있는 활력소다. 이런 해병대를 열광하게 하는 사람이 있다. 관중들 ...
    Date2011.08.08 By배나온슈퍼맨 Views4974
    Read More
  3. 재향군인회 신원배 사무총장(예비역 해병소장), 국군방송 인터뷰

    재향군인회 신원배 사무총장, 국군방송 인터뷰... '2011 범국민 안보공감 캠페인'통해 안보경각심 고취 ▲ 신원배 사무총장. ⓒkonas.net 대한민국재향군인회 신원배(예, 해병소장) 사무총장은 향군이 금년 들어 역점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는 '2011 범국민 안보공감 캠페인'에 대해 "2012년은 6·25전쟁 이후 최대의 안보위기가 ...
    Date2011.07.27 By김종영 Views3812
    Read More
  4. 또 다른 해병이 세상을 떠나셨습니다 - 老해병의子

    해병 6기(병 이후 부사관이셨던듯 합니다)이신 제 아버지께서 지난 17일 세상을 떠나셨습니다. 병상에서도 얼마전 있었던 총기사건을 전해 들으시고 '피를 나눈 전우들간에 그게 무슨일이냐'며 격분과 탄식을 하시던 모습이 눈에 선합니다. 지금이라도 병원에 가면 계실것만 같습니다. 아버지 복무시절엔 단체기합과 병행되...
    Date2011.07.21 By배나온슈퍼맨 Views3058
    Read More
  5. 끝장토론, 해병대 김상병 '가해자인가 피해자인가' 다뤄

    tvN '백지연의 끝장토론'이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총기사건 김상병, 가해자인가 피해자인가'를 주제로 토론을 진행한다r고 합니다. 김기남 전 해병대2사단장이 출연한다고 합니다. [엑스포츠뉴스=이준학 기자] tvN '백지연의 끝장토론'이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총기사건 김상병, 가해자인가 피해자인가'를 주 제로 토론...
    Date2011.07.13 By운영자 Views8987
    Read More
  6. 해병대는 제대해도 괴롭힌다. 치약뚜껑 머리박기…

    [국민일보 쿠키 사회] 자살과 총격사건 등으로 부대 내 구타와 성추행, 기수열외 등이 문제로 떠오른 해병대에 대해 잇따라 더 심한 가혹행위도 있었다는 네티즌들의 증언이 터져나오고 있다. 이들이 트위터와 각종 인터넷 게시판에 올린 글들에 따르면 100일 휴가 때 해병이 아닌 육군 일반병 군번줄 빼앗아오기, 치약뚜껑...
    Date2011.07.11 By운영자 Views10603
    Read More
  7. No Image

    "해병대 철조망은 녹슬어도 기수는 녹슬지 않는다"

    밑의 글에 6연대라고 글이 잘못 올려져 있길래 댓글을 달고 총기사고 관련기사사 있어 올려봅니다. 기수열외에 대한 기사인데 이번 사고로 언론을 통해 다뤄지는 해병대의 모습이 사고 자체를 떠나 해병대에 여러 부분에 대해 정확하지 않은 기사와 추측으로 보도되는 사례가 많이 있을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이럴때일수로...
    Date2011.07.05 By이대용 Views9011
    Read More
  8. No Image

    강화6연대 총기난사

    0. 아 참 안타깝다 0. 595기인데 이거 참 선임을 인정않하는 선임병열외 왜 이리되었을까 0. 고문관이나 정말꼴통이 그당시도 분명존재했고 그사람이 선임병이 이라도 무조건 선임이었는데 0. 그래서 기수가 깡패였는데 0. 고문관이라고 꼴똥이라고 선임병열외라니 0. 요즘해병들 이야기를 들어봐야겠지만 더럽더라도 참아야...
    Date2011.07.05 By오구오 Views6543
    Read More
  9. 1975년 감포 60분초 간첩침투사건

    1975년 감포 간첩침투사건을 상기하며 쓴 수기로 보여집니다. 당시 사건으로 인해 해병대의 위상과 자존심에 많은 상처를 입었으나 1983년 71대대(당시 김명환대대장)가 양남에서 침투간첩 5명을 사살함으로서 명예회복을 하게됩니다. (이 게시글의 작자를 찾습니다. 원 게시물을 찾으려 했으나 쉽지 않네요. 아시는 분 연락...
    Date2011.07.02 By운영자 Views7470
    Read More
  10. KCTC에 참가한 해병대 부대들

    지난주 육군과학화훈련단에 취재차 들렸다가 KCTC 과학화훈련 체험부대 기록이 있기에 해병대관련 부분만 찾아보았습니다. 해병대는 KCTC에 2006년부터 1년에 1개대대가 참석, 총5개대대가 KCTC 훈련을 체험했습니다. 올해는 9월에 협조회의를 마무리하고 10월중에 참가할 것 같습니다. KCTC 관계자의 말에 따르면 현재 여단...
    Date2011.06.27 By운영자 Views14439
    Read More
  11. 한국 해병대의 산증인 공정식 전 해병대사령관이 말하는 ‘6·25’

    “인천상륙작전 성공은 우리 해군 첩보대의 힘” 1950년 6·25전쟁을 겪은 이들은 “아직 이 전쟁은 끝나지 않았다”고 말한다. 조국은 여전히 분단돼 있고 지난해 천안함·연평도 사건에서 보듯 북한의 도발은 계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6·25 발발 61주년을 맞아 23일 서울 용산 해병대기념관에서 만난 공정식(87) 전 해병대 사령...
    Date2011.06.25 By운영자 Views3106
    Read More
  12. 내가겪은 6·25-도솔산 전투 영웅 강복구 해병중위

    “한국 해병대가 아니었다면 이 전략적 요충지를 수중에 넣지 못했을 것이다”라는 극찬이 쏟아진 전투. `무적해병'의 칭호를 얻음으로써 대한민국 해병대의 위상을 드높인 도솔산 전투는 해병대 5대 작전 중 하나로 기록돼 있다. 1951년 6월 4일부터 20일까지 17일 동안 격전의 현장에서 눈부신 활약을 펼친 강복구(당시 중위...
    Date2011.06.22 By운영자 Views4512
    Read More
  13. 해병인생 살아온 제주女해병 강인숙씨

    남편은 해병 4기 동기, 두 아들도 해병 / 2010.08.31 14:18 (제주=연합뉴스) 김호천 기자 = "훈련받다가 몽둥이로 맞을 때가 제일 기억에 남아. 한 사람만 잘못해도 전체기합을 받으며 툭하면 몽둥이로 맞았지." '제주해병의 날'을 하루 앞둔 31일 군번 '91092'인 해병 4기 강인숙(75.여.제주시 오라동)씨는 6.25한국전쟁 발...
    Date2011.06.09 By운영자 Views5267
    Read More
  14. 역대 해병대 사령관들은 해병대의 해체를 몰랐을까?

    과연 역대 해병대 사령관들은 해병대의 해체를 모르고 있었을까? 비록 오래 전의 일이나 그 사실이 올바른 내용이었건 잘 못된 내용이었건 우리는 그 지난 일, 특히 잘못된 내용 등은 그 사실을 교훈삼아 다시는 같은 일이 되풀이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전사나 과거사를 연구하고 있음은 이론의 여지가 없다. 물론 여기에...
    Date2011.06.09 By운영자 Views6836
    Read More
  15. 해병대 출신 권오갑 사장의 `연평도 사랑`

    지난 27일 인천 항동 연안여객터미널에서 연평도로 향하는 여객선 '미래호'에 대형 냉장고 등 800만원어치의 전자제품과 급식 설비가 실렸 다. 현대오일뱅크가 연평초 · 중 · 고교에 보내는 물품이었다. 지난 4월 말 김태경 노조위원장과 박병규 생산지원부문장이 연평도를 찾아 설비를 보내겠다고 약속한 뒤 변덕스러운 날...
    Date2011.06.01 By운영자 Views656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22 Next
/ 22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