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陶山月夜詠梅(도산월야영매) 달밤에 매화를 읊다
이황(李滉, 1501~1570)

晩發梅兄更識眞(만발매형갱식진)
더디 핀 매화의 참뜻을 다시 살피니
故應知我怯寒辰(고응지아겁한진)
내가 추위를 겁내는 줄 알아서 이네
可憐此夜宜蘇病(가련차야의소병)
애석하다 이 밤에 병이 낫는다면
能作終宵對月人(능작종소대월인)
밤새도록 달과 더불어 노닐 텐데

퇴계 선생은 만년에 도산서원을 짓고 은거하며 후학을 양성하는데 전념했다. 글을 읽는 틈틈이 계절을 좇아 다섯 친구를 가꾸며 그들과 더불어 살았다. “내 벗은 다섯이니 솔, 국화, 매화, 대, 연꽃이라, 사귀는 정이야 담담하여 싫지가 않네”라 노래했다. 도산서원 안에 화단을 만들어 절우사(節友社)라 이름 짓고 몸소 화초를 가꾸었다. 윤선도는 물, 돌, 솔, 대, 달(水石松竹月) 이 다섯을 친구라 했으니 소나무와 대나무가 겹쳤다. 일반적으로는 매난국죽(梅蘭菊竹)에 소나무 혹은 연꽃을 포함하여 오우(五友)라 했다. 퇴계는 이 오우 중에서도 매화를 가장 좋아했다. 매화와 달과 퇴계가 서로 정을 나누는 경지가 이미 신선(神仙)의 경지다. *故應(고응) ; 응당 ~이기 때문이다 *蘇病(소병) ; 병에서 깨어나다, 蘇는 蘇生하다 *宵(소) ; 밤, 야간, 작다. <한시연구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이은영의 한시산책을 연재합니다. file 운영자 2011.02.20 79648
72 李倉曹宅夜飮(이창조댁야음) 술 마시며 - 왕창령 운영자 2013.01.03 63941
71 李倉曹宅夜飮(이창조댁야음) 술 마시며 - 왕창령 운영자 2013.02.07 65692
70 不亦快哉行(불역쾌재행) - 다산 정약용 운영자 2011.06.30 3774
69 樂道吟(낙도음)도 닦는 즐거움 - 이자현 배나온슈퍼맨 2012.11.12 7789
68 칠석 - 김정희 배나온슈퍼맨 2012.11.12 7287
67 지월 - 소요당 태능 배나온슈퍼맨 2011.09.06 2812
66 종족(대나무를 심었더니) - 박지화 배나온슈퍼맨 2012.11.12 63204
65 산사야음 - 송강 정철 운영자 2011.04.07 4909
64 배소만처상 - 김정희 운영자 2011.04.07 4738
63 곡강 2 - 두보 배나온슈퍼맨 2011.09.06 4540
62 곡강 1 - 두보 배나온슈퍼맨 2011.09.06 6086
61 고열 - 백거이 배나온슈퍼맨 2011.09.06 2940
60 강설 (江雪) 운영자 2011.02.21 3540
59 간화(꽃을 보며) - 이색 배나온슈퍼맨 2012.11.12 63814
58 간음야점 (艱飮野店) 운영자 2011.02.21 3550
57 騎牛暮至(기우모지) - 석북 신광수 운영자 2011.05.13 2680
» 陶山月夜詠梅(도산월야영매) 달밤에 매화를 읊다 = 이황 운영자 2013.03.17 68682
55 除夜有懷(제야유회) 제야의 회포 운영자 2013.01.03 63804
54 閑山島(한산도) - 이순신 배나온슈퍼맨 2011.10.12 3580
53 銷夏詩 (소하시) - 원매 운영자 2011.03.16 300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