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제기자들, 현빈은 이제 ‘해병’이라는 점 기억해야
결론 여론에 굴복한 국방부·해병대도 문제

 

인기 배우 현빈이 백령도 6여단 전투병으로 보직이 변경됐다. 이 일은 당연한 일로 보이지만 실상은 해병대는 물론 장관마저 ‘일개 사병’의 ‘인기’에 굴복한 것으로 보인다는 점이다. 

지난 3월 7일 해병대에 자원입대한 배우 현빈(29. 본명 김태평)의 인기는 입대 후에도 여전했다. 작년 연평도 포격도발 이후 지원자가 늘었다고는 하나 그 ‘인기’가 한시적일 것이라 생각한 해병대 측은 ‘배우 현빈’을 적절히 활용했다.

‘배우 현빈’의 훈련소 생활은 수시로 언론에 보도됐고, 평소 군대와는 거리가 멀던 연예 매체들까지 해병대 주변을 기웃거렸다. 일부 매체는 ‘오버’해 이미 결정되어 있던 해병대 독립성 확보와 독자적인 예산권, 무기 도입, 인사권이 마치 ‘현빈 입대’와 그 인기 때문인 양 보도하기도 했다.

해병대는 ‘현빈’의 인기를 복무기간 동안 활용코자 그를 ‘모병 홍보병’으로 배치하려 했다. 하지만 일부 언론과 정치인 등이 ‘특등사수인 그를 왜 모병 홍보병으로 배치하느냐, 혹시 봐주려는 것 아니냐’며 해병대를 몰아 붙였다.

이런 여론 탓인지, 지난 14일 ‘국방개혁 307계획’에 대해 언론사 부장들에게 설명하는 간담회 자리에서 김관진 국방장관이 ‘현빈’의 모병 홍보병 배치에 대해 한 마디 했다. 국방장관의 한 마디 이후에도 해병대 관계자들은 ‘현빈의 보직변경은 없다’고 거듭 확인해주었다.

그러다 갑자기 18일이 되자 해병대는 ‘현빈을 백령도 6여단에 일반 보병으로 배치할 것’이라고 밝혔다. 기자가 물어보니 ‘오늘 결정 됐다’고 천연덕 스럽게 대꾸한다. 천안함 폭침 대응 과정에서 군이 보여준 특유의 일관성 없는 '말 바꾸기'가 또 재연된 것이다. '모병 홍보병'도 일반 해병과 똑 같은 힘든 훈련을 받는다고 힘줘서 설명하던 논리는 어디로 사라진 것인가?

‘현빈’의 보병 배치 소식을 듣고 ‘당연한 일’이라며 환영한 언론과 일부 사람들도 문제다. 여론에 따라 보직이 바뀌는 게 ‘당연한 일’일까. 이 일을 원칙 면에서 보면 군 인사가 여론에 휘둘린 것이다. 이런 식이라면 만약 북한이 백령도를 도발할 조짐이 보일 때 그의 팬들이 들고 일어나 ‘현빈을 후방으로 배치하라’고 하면, 그 ‘여론’에 따를 것인가? 그렇다는 게 아니라 이번 보직 변경의 본질이 그렇다는 거다.

오는 21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연예인, 가수, 프로 운동선수 협회 등이 병무청과 함께 '공정병역이행 MOU 체결식'을 갖는다. 앞으로 '현빈'보다 더 인기 높은 이들이 입대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이들 '스타'들의 입대와 보직 결정에도 앞으로 일관성 있는 원칙이 적용되었으면 한다.

사회에서는 ‘인기배우 현빈’일지 몰라도 군에 입대하면 ‘해병 이병 김태평’이다. 그에 대한 인사권은 직속상관과 해병대 사령관에게 있다. 해병대 사령관이 보기에 ‘김태평 해병’이 아무리 사격을 잘 한다 해도 모병 홍보를 더 잘 할 것이라 생각되면 그 보직에 임명하는 게 이치에 맞다. 직속상관은 ‘김태평 해병’이 모병 홍보를 더 잘 할 수 있도록 더 많은 훈련을 받게 할 수도 있다. 훈련을 받으며 다른 장병들과 어울리다 보면 자연스레 ‘해병 정신’도 갖게 된다. 전쟁이 나면 모병 홍보병이라고 총을 안 잡는 것도 아니다. 그런 ‘김태평 해병’의 보직 결정은 대통령도 함부로 해서는 안 되는 게 원칙이다. 이런 행동은 엄밀히 따지면 ‘군의 기강을 문란케 한 행위’다.

군대는 다양한 일을 하는 장병들이 자기 임무를 완벽하게 수행해, 각 임무가 유기적으로 결합될 때 최고의 전투력을 발휘한다. 강력한 군대일수록 전투조직은 정예화되고 지원조직은 전문화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지휘관의 명령에 목숨까지 걸 수 있어야 전투력은 ‘현실적인 힘’이 된다. 이번 ‘김태평 해병’의 보직을 놓고 여론에 휘둘리는 모습은 해병대와 군 스스로 ‘원칙’을 저버린 꼴이다. 이런 식으로 하면서 어떻게 ‘기강을 확립하고, 전투형 군대를 만들겠다’는 건지 의문이다.   <뉴데일리 전경웅기자>



  1. 힐링콘서트로 힐링 - 해병대 연평부대 이정재 중령

    이정재 중령 해병대 연평부대 인천 연안부두에서 서해 뱃길로 110㎞, 북한과의 최근접 거리는 1.5㎞, 정전협정 이후 민간인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에 북한군과의 포격전이 발발했던 곳. 이곳은 내가 근무하고 있는 해...
    Date2022.11.14 Views31941
    Read More
  2. 연평도를 화(花)하게 - 해병대 연평부대 서우성 상병

    서우성 상병 해병대 연평부대 나는 대한민국 서북도서를 지키는 해병대 연평부대에 근무하고 있다. 지난달 우리 연평부대와 지역사회가 협력해 인성 함양 프로그램의 하나로 꽃꽂이 수업을 한다는 소식을 들었다. 주...
    Date2022.11.14 Views36824
    Read More
  3. 해병대와 지뢰제거작전 - 해병대 군수단 정현도 하사

    정현도 하사 해병대 군수단 상륙지원대대 누구나 한 번쯤은 ‘귀신 잡는 해병’ ‘빨간 명찰’ ‘팔각모’를 들어봤을 것이다. 입대 전까지 나에게 해병대 이미지는 강하지만 부드러운, 부드럽지만 강한 이미지였다. 친형과...
    Date2022.09.29 Views32971
    Read More
  4. 우리는 해병(害兵)인가 해병(海兵)인가?

    김 산 병장 해병대 연평부대 “해병대에 입대한 이유가 무엇입니까? 혹시 여러분의 철없는 행동으로 누군가의 인생을 송두리째 흔들고 있지 않습니까?” 우리 연평부대는 최근 병영 악습 사고 예방을 위해 특별 부대진...
    Date2020.09.09 Views725
    Read More
  5. 지상전성공을 위한 합동작전수행의 파트너, 해병대

    육군지 7월호 글 / 이석구 육군준장 | 前 해병대사령부 합동작전조정관 육군 최초의 해병대 보직 장관급 장교 2010년 11월 23일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 이후 해병대사령부에는 이미 육·해·공군이 합동으로 근무하고...
    Date2012.07.03 Views6064
    Read More
  6. No Image

    [야고부] 해병대

    북한의 연평도 도발로 해병대가 부각되는 것 같지만, 과거에는 이보다 훨씬 더했다. 타군과는 차별적인 복장과 두발, 군기 때문만이 아니다. 해병대는 역사적 격변기마다 등장해 뉴스의 초점이 돼왔다. 6`25전쟁과 월...
    Date2011.11.27 Views3443
    Read More
  7. 해병대 전문작가 김환기에게 듣는 스타 현빈, 해병 김태평

    지난해 말 연평도 포격 사건을 시작으로 총기 난사 사건, 그리고 현빈의 해병대 입대까지. 근래만큼 해병대가 사람들 입에 오르내렸던 적이 없는 것 같다. 3년 동안 포항과 김포, 서해 5도를 돌며 해병대를 취재해온 ...
    Date2011.09.02 Views3459
    Read More
  8. No Image

    해병대와 개병대의 차이 -오시영의 세상의 창

    오시영 숭실대 법대학장/변호사/시인 우리는 해병대와 관련한 몇 가지 유행어를 알고 있다. 그 중 하나가 “한 번 해병은 영원한 해병”이라든지, “해병대는 개병대다!”라는 말이다. 앞의 말은 해병대의 용감성과 의리,...
    Date2011.07.22 Views2297
    Read More
  9. 일개 사병 놓고 여론에 굴복한 軍

    문제 제기자들, 현빈은 이제 ‘해병’이라는 점 기억해야 결론 여론에 굴복한 국방부·해병대도 문제 인기 배우 현빈이 백령도 6여단 전투병으로 보직이 변경됐다. 이 일은 당연한 일로 보이지만 실상은 해병대는 물론 ...
    Date2011.04.21 Views3760
    Read More
  10. No Image

    해병대, 진정한 소수정예군 되려면

    해병대는 흔히 ‘소수정예(A Few Good Men)’라는 말로 표현된다. 타군에 비해 인원은 적더라도, 아니 적은 만큼 오히려 더욱 강한 체력과 정신력으로 발군의 전투력을 과시해 왔기 때문이다. 이는 일찍이 6·25와 베트...
    Date2011.03.25 Views3296
    Read More
  11. 군개혁과 해병대

    <한국일보 기고> 김일수 전 합참 전비태세검열실장 ·예비역 해병소장 관련기사 우리 사회의 과제로 떠오른 군 개혁의 핵심은 육해공 3군의 불균형 해소이다. 이 명제에 가려져 잘 알려지지 않은 게 해병대 문제이다. ...
    Date2011.02.24 Views3053
    Read More
  12. 대한민국해병대의 국위선양

    조정구 육군대령·주태국 국방무관 2010 코브라 골드 훈련에 참가한 해병대 장병 여러분은 대한민국 국가대표였다. 무더위와 싸우며 힘든 훈련과정을 소화해 최고의 전투 기량을 뽐낸 우리 해병대원들에게 박수를 보낸...
    Date2011.02.21 Views242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