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제주 해군기지의 청사진이 밝혀졌다.

 

해군의 '잠수함사령부'를 창설하고,

2015년 '제주방어사령부'를 해병대에 이관키로 했다.

 

해병대는 '제주방어사령부'를 '해병대 제주부대'로 개편하여 여단병력을 배치하고, 주변국들의 도발등, 유사시를 대비하고, 우리나라의 도서 방어의 모든 책임을 맡게 되었다.

 

무적해병, 귀신잡는 해병,으로 불리는 해병대는 6,25 전쟁에서 불퇴전의 용감성으로, 적은 병력 이지만, 혁혁한 전공을 세워, 여러가지 신화같은 전쟁영웅으로 전통을 이어 오고 있다.

 

 

해병정신이란,

*국가에 대한 충성심이 강하다.

*지휘계통이 잘 확립되어 있고, 상관의 명령에 절대 복종한다.

*전우애로 똘똘 뭉쳐있어, 낙오자가 없도록 한다.

*단결력이 강하여, 모이면 더욱 강해지는 특성이 있다.

*강인한 체력을 단련하며, 지옥훈련을 통하여 전투력을 배가 시킨다.

 

 

이런 특성 말고도 더 많은 특성을 지닌 해병대,

해병대는 정신교육과 체력훈련을 통하여 강인해 질 수 밖에 없으며, 정의감과 자존감으로 정신무장이 되어 있어, 사회에서도 정도지향적 삶을 살아가는 것을 그 표본으로 삼고 있다.

 

이런 해병대를 사욕을 갖은 무리들이 시기하거나, 두려워 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라 볼수 있다.

해병대는 규모는 적지만, 역사적인 혁혁한 공을 세운 막강한 군이며, 정의로운 軍이니, 사리사욕을 채우려는 불법이나 불의를 용납하지 않는 것이 당연하다.

 

 

 

5.16 군사 쿠테타를 일으킨 군부는 당시 우리나라의 혼란을 걱정한 사명감이 있었으리라 믿고싶다.

쿠테타가 성공하고, 사회가 안정권에 들어서면 민정으로 이양하고 군 본연의 임무로 돌아가기로, 혁명공약에 명기하고 수뇌부가 합의 했으리라. 그대로 했다면 가히 혁명이라고 말 할수 있다.

 

5.16 혁명의 선발대, 용감무쌍한 해병대가 맡아서 한강을 다리를 건넜다.

 

그러나 이후 박정희가 실권을 장악하고, 해병대를 찬밥으로 만들게 되는 것이 해병대의 축소와 해군편입 이었다.

 

 

여기에는 매우 깊은 역사적 진실이 숨어있다.

5.16의 주체세력중 해병대 장성인 김동하장군이 있었으며, 김동하장군은 해병대의 창설멤버로써 만주군관학교 1기생이고, 박정희의 일년 선배이다.(박정희는 2기)

 

1963년, 김동하를 위시한 쿠테타 주체세력 몇명이 혁명공약을 지키자고, 민정으로 권력을 넘기고, 우리 군은  원대복귀하자는 성명을 발표하였다.  이것이 '반 혁명사건'이다.

 

아마도 이때부터 박정희는 해병대에 대한 공포증 비슷한게 있었을지도 모른다.

 

 

그후,

월남 파병에 해병대가 선발되어, 월남전에서도 혁혁한 전공을 세운다.

가히 귀신잡는 해병대는 월남전에서도 전쟁 영웅으로 기록된다.

 

 

그리고 1972년 박정희는 유신헌법을 만들고, 영구집권의 욕망을 채우기로 한다.

 

 

1973년 월남에서 철군하는 국군,

그들은 정의감에 불탓는지, 혹여 자신들의 향후 행로 확보의 일환인지 몰라도, 유신이 정도가 아님을 선언하는 군 내부의 민주회복 움직임이 있었는데, 사전에 밝혀져 무산되고 만다.

 

그 민주회복세력의 중추적 역할을 하였던 군부는 육, 해, 공군을 망라한 장성들 이었으며, 중요한 역할을 맡았던, 해병대 장성들의 있었으므로, 이후 박정희 유신세력은 해병대에게 위협을 느끼고, 힘 빼기 일환으로 해병대 지휘부를 없애고, 해군으로 편입시켜 버린다.

(나는 해병대 장성들의 정도지향성을 높이 평가한다.)

 

 

이후 다시 해병대의 지휘권을 찾아 오게 되었지만,

이제 새롭게 지휘권을 확보하게 된 해병대는 앞으로 더욱 승승장구 발전할 것이라 확신한다.

해병정신은 대한민국을 지키는 '지킴이'로써 그 역할을 다 하고도 남을 것이란걸 믿는다.

 

 

해병대가 이전보다 더 강인한 군대가 되어, '귀신잡는 해병'의 닉네임을 확고히 해야 할 것이다.

아니 꼭 그리되어 세계에서 最 强軍이 될것을 믿어 의심치 않는다.

 

대한민국 국민들이 해병대를 믿고 발 쭉뻣고 편히 지낼 수 있을 것이다.

다시한번 제주 해군기지에서의 국토방위와, 미래지향적인 대한민국의 해양강국의 선봉에선,

'해병대 제주부대' 탄생을 축하하며, 그 임무를 확실하게 수행하리라 확신한다. 

 

'대한민국 해병대'가 매우 자랑 스럽다!

 

<출처 : 다음카페 큰바위사랑 임태희팬카페 주노님 게시글

http://cafe.daum.net/bigstonelove/KOqv/6142?docid=1GtL5|KOqv|6142|20120830134713&q=%C7%D8%BA%B4%B4%EB >



  1. 해병대 쌍룡합동상륙훈련

    박세봉 상병 해병대1사단 / 국방일보 2011.6.22 여명을 가르는 장갑차와 전차 소리에 훈련이 시작됐음을 깨달았고 바다를 가르는 독도함의 뱃고동 소리에 이 훈련의 웅장함을 새기게 됐다. 이렇게 2011년도 ‘쌍룡 1-1...
    Date2011.06.22 Views3438
    Read More
  2. 서북도서방위사령부에 거는 기대 - 동아일보 시론 김태현

    15일 해병대를 모체로 하고 육해공군을 망라한 합동참모부를 갖춘 서북도서방위사령부(서방사)가 창설됐다. 이 조치는 군사적 전략적으로 중대한 의미가 있다. 첫째, 당연한 말이지만 서해5도 지역의 방위전력을 크게...
    Date2011.06.16 Views2654
    Read More
  3. 서북도서 방위사령부 창설 이후 과제

    문화일보 / 이갑진 전 해병대사령관 게재 일자 : 2011-06-14 14:00 지난해 11월23일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이 일어난 지 7개월 만에 서북도서방위사령부(서방사)가 15일 창설된다. 해병대 사령관이 지휘하는 서방사...
    Date2011.06.14 Views2630
    Read More
  4. 6월을 맞아 동작동 국립 현충원을 찾았다 - 임종린

    임종린(시인, 전 해병대사령관) 우리국민 그 누구도 죽음 앞에서는 자신을 통제하기 쉽지 않을 것이다. 특히 푸른 유니폼을 입고 있거나 입었던 사람들에게는 헌신해 왔던 천직의식이 값어치를 샘할 수 없을 정도로 ...
    Date2011.06.05 Views2948
    Read More
  5. 현빈 출연금지령 - 박성진

    &lt;박성진의 군이야기&gt; ‘한류 스타’ 김태평 이병(29·현빈)을 보기가 무척이나 힘이 듭니다. 현빈은 5월26일 열린 제47회 백상예술대상에서 ‘시크릿가든’으로 TV부문 대상을 수상했지만 영상으로만 인사를 대신했습니다....
    Date2011.06.01 Views3844
    Read More
  6. 손원일 제독이 우리에게 주는 메시지 - 임성채

    임성채 - 해군역사기록관리단 편찬과장 지난 28일은 해군을 창설한 고(故) 손원일 제독 탄생 102주년이 되는 날이다. ‘우리 민족이 번영할 수 있는 지름길은 바다에 있 다’고 예지한 손 제독은 해방 직후인 1945년 11...
    Date2011.05.30 Views3688
    Read More
  7. No Image

    조선일보 사설 - 해병대 수뇌 5명 중 3명 관련된 음해사건의 충격

    조선닷컴 입력 : 2011.05.29 23:40 군 검찰은 유낙준 해병대 사령관(중장)을 음해한 혐의로 해병대 박모·홍모 소장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해병대 소장 4명 중 2명이 형사처벌 대상으로 떠오른 것은 충격적이다...
    Date2011.05.30 Views2322
    Read More
  8. 미국의 비밀무기

    &lt;유용원 / 조선일보 군사전문기자 ·한국국방안보 포럼 기조실장&gt; 지난 5월 초 미국의 빈 라덴 사살작전 때 몇 장의 헬기 잔해 사진이 전세계 군사전문가들의 주목을 받았다. 미군은 이번 작전에 그동안 존재가 알려지...
    Date2011.05.24 Views14525
    Read More
  9. 천안함 장병은 영웅이었는데 연평도 해병들은…”

    북한에 의한 연평도 포격 사건이 있던 지난해 11월 23일, 연평도에서 근무하던 최주호 예비역 해병병장은 세가지 소중한 것들을 잃었다. 하나는 함께 생활해온 전우이자 해병 1088기 故 서정우 하사. 그리고 다른 하...
    Date2011.05.24 Views2477
    Read More
  10. 해병대 장륜식준전차의 도입필요

    &lt;자주국방네트워크 독야청청님 게시글&gt; 며칠 전 해군과 해병대의 연대급 상륙훈련이 있었습니다. 함정과 항공기, 그리고 전차와 상륙장갑차 등이 동원되었는데요. 많은 사람들이 아쉬워 하는 것 중 하나는 상륙작전 ...
    Date2011.05.23 Views3541
    Read More
  11. No Image

    천안함 피격사건, 연평도 포격 도발과 국방개혁

    &#039;서북도서와 NLL 어떻게 지킬 것인가?&#039;... &quot;작전중심의 군으로 변화시켜야 한다는 대의에 관해서는 이견이 있을 수 없다&quot; * 아래 칼럼(세미나 발제안)은 지난 4일 전쟁기념관에서 한국해양전략연구소(소장 송근호)와 ...
    Date2011.05.16 Views3824
    Read More
  12. No Image

    북한이 오늘 연평도에 포격을 가한다면

    &#039;서북도서와 NLL 어떻게 지킬 것인가?&#039;... 서북도서의 전력증강과 전투수행 개념의 발전은 남북통일될 때까지 영원한 진행형의 과제 * 다음은 4일 전쟁기념관에서 한국해양전략연구소(소장 송근호)와 해병대전략연구...
    Date2011.05.16 Views5834
    Read More
  13. No Image

    해병대 ‘현빈 홍보’ 과유불급 뜻 새겨라 - 서울신문 사설

    해병대가 톱스타인 현빈을 활용한 홍보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지난 3월 해병대에 입대한 현빈은 신문과 방송을 통해 사격하는 모습, 다른 훈련병과의 일상생활 등이 자주 보도됐다. 하지만 해병대는 더 나아가 ...
    Date2011.05.13 Views3697
    Read More
  14. 한번 해병이면 영원한 해병이다.

    &lt;강원일보 사상길 취재본부장&gt; 국가와 민족의 생존권을 지켜온 해병대는 국민에게는 사랑과 신뢰를, 적에게는 전율과 공포의 대상이 돼 오 며, 귀신 잡는 해병으로 군림해 왔다. 그런데도 현재의 해병대는 해군소속이...
    Date2011.05.09 Views3691
    Read More
  15. 연예인 한명 군대 왔다고 서해5도 지켜지나

    &lt;칼럼&gt;김정일 ´대도박´ 서해 5도 점령 위한 준비 마무리 단계 총-대선 겨냥 국지전 벌일 태세…즉각 반격할 만반 준비 갖춰야 신성대 도서출판 동문선 대표 (2011.05.07 17:43:04) 옛말에 열사람이 손가락질하면 없는 ...
    Date2011.05.09 Views2493
    Read More
  16. No Image

    '국방개혁(307계획)'의 부작용 우려해야

    대규모 군 지휘구조 개편과 감군은 적에게 헛점 준다 / 김성만 전 해군작전사령관 이명박 정부의 국방개혁으로 알려진 307계획에는 총 73개 개혁과제(단기, 중기, 장기)가 포함되어 있다. 핵심과제는‘軍 상부지휘구조...
    Date2011.05.07 Views3038
    Read More
  17. No Image

    미래를 향한 한국군의 균형발전과 해병대독립 및 4성 장군의 부활

    1957년 초겨울, 해군사관학교, 세브란스 의과대학, 서울공대기계공학과 . 3군데모두 합격소식에 어듸로 갈까 망서리고있는터에, 집안과 동네어른들께서는 의사가되라고 야단이었다. 나는 엔지니어가 되고싶었다. 그런...
    Date2011.05.02 Views4480
    Read More
  18. 해병대는 군화 끈을 다시 조여맬 때

    안희경 해병대전우회 사무총장, 예비역 해병준장 지난 22일 국회 국방위원회에서 해병대사령관에게 합동참모회의 위원 자격, 인사권과 군수품 관리권한 등을 부여하는 관련 법안을 의결했다. 해병대가 조직관리와 주...
    Date2011.04.29 Views3799
    Read More
  19. 월남 패망을 타산지석의 교훈으로 삼자

    신원배 (예)해병대 소장 대한민국 재향군인회 사무총장 - 국방일보 / 2011.04.29 1975년 4월 30일, 20년에 걸친 전쟁 끝에 월남이 패망했다. 패망 당시 월남은 60만 명의 병력과 최첨단무기로 무장한 세계 4위 의 군...
    Date2011.04.29 Views4090
    Read More
  20. 전쟁은 없어야 될 일

    전쟁은 있어서는 안될 일 입니다, 그러나 꼭 치루어야 한다면 2 등이 없는 오직 승자만이 있는 것입니다, 전쟁의 참혹상을 나와 함께 많은 전투를 했던 전우 권동일 해병 작전하사관은 &quot;스콜 &quot;이라는 책자에 월남전 ...
    Date2011.04.28 Views267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 28 Next
/ 28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