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 동 민 “조기를 담뿍 잡아 기폭을 올리고/온다던 그 배는 어이하여 아니오나/수평선 바라보며 그 이름 부르면/갈매기도 우는구나 눈물의 연평도” 이미자 씨가 부른 ‘눈물의 연평도’ 가사다. 애달픈 사연을 지닌 연평도. 그러나 이제 속살을 캐 먹고 살던 여인들마저 모두 그 섬을 떠났다. 방사포 포탄에 불타고 찌그러진 해병의 철모와 새까맣게 그을린 전투복. 무너진 가옥들. 기역자로 부러진 전신주. 조각난 유리 파편. 전기도 통신망도 다 끊긴 유령의 섬에서 적의 포탄에 스러져 간 두 병사의 영혼을 지키는 촛불만이 눈물의 연평도를 지키고 있었다.
경기대 문예창작과 교수 문학박사
“아들아, 사랑하는 아들아! 온 국민이 너를 지켜보고 있단다. 해병인 네가 자랑스럽다. 먼 훗날 조국을 위해 당당히 싸웠노라고 추억의 일기장에 기록하렴!”
“청춘을 조국에 바친 해병 전우여! 선배로서 당신 앞에 죄인 되어 할 말이 없습니다. 적의 무고함이 참으로 안타깝고 원망스러울 뿐입니다. 하지만, 해병은 죽어서 다시 태어나도 해병이다. 추호도 눈물을 보이지 마라 해병이여! 해병이 쓰러지면 조국은 없다. 죽음으로 명예를 지킨 전우 이름 세 글자를 비통한 마음으로 연평도에 새기자”
“해병대 아저씨, 고맙습니다. 우리나라를 지켰으니 천국에 갈 거예요” “대한민국을 위해 희생되어 정말 죄송합니다. 그대들은 진정한 영웅입니다!” 사이버 공간에서는 미니홈피와 트위터를 통해 이 같은 안타까운 마음을 적은 사연들이 줄을 이었다.
존 켈리(John Kelly) 미 해병 중장 역시 최근 아프간전에서 둘째 아들을 잃었다. 아들 로버트 중위를 워싱턴 DC 알링턴 국립묘지에 묻으면서 그는 이런 말을 남긴다. “비록 제 아들은 여기에 묻히지만 이 순간에도 아프가니스탄에서 적과 싸우고 있는 제 아들의 소대원들을 위해 기도해 주십시오. 제 아들을 추모해 주기보다는 적과 싸우는 모든 젊은이들에게 경의를 표해 주십시오!”라고.
군인은 명예와 전통을 위해 싸운다. 명예는 전투에서의 승리로 얻을 수 있고, 전통은 승리의 영광으로 이어진다. 승리의 역사는 잊을 수 있어도 패배의 역사를 결코 잊어서는 안 된다. 수난의 역사를 잊으면 그 수난은 또 다시 반복되기 때문이다.
군인의 충성은 국민에 대한 사랑과 보답의 정성으로부터 샘솟는다. 눈물의 연평도 사건을 계기로 정녕 조국의 앞날에 영광을 약속하는 희망의 등불이 되어 ‘충성의 은하대’로 새로운 지평의 장을 열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빗발치는 적의 포탄을 무릅쓰고 끝까지 방아쇠를 당겼던 해병 장병들에게 격려의 박수를 보내자.
마지막 순간까지 포대를 지키다 다리마저 잃어버린 병사의 눈물겨운 투혼을 군인에게 보내는 국민의 추모와 애도로 보상하자. 방사화염에 터전을 잃은 연평도 주민의 통곡 소리를 두 전우의 고귀한 희생의 장송곡으로 덮자.1211sdm@hanmail.net
-
‘영원한 해병’의 위기- 방형남(동아닷컴)
해병부대 총기 사건은 지난달 말 정년퇴직한 선배가 남긴 말을 다시 떠올리게 한다. 그는 논설위원 동료들과 석별의 정을 나 누는 자리에서 “군과 검경(檢警)은 비판을 할 때도 밑바탕에 애정을 깔고 바라봐야 한다”...Date2011.07.10 Views2711 -
No Image
우리를 돌아보는 계기입니다.
유용원의 군사세계 sealhur 님의 게시글 제대한지 30년이 되어 가지만 마음은 아직도 현역이란 생각에서 벗어나질 못합니다. 해병대란 이렇게 강한 중독과 향수를 갖게하는 거겠죠. 언론에서 말하는대로 배타적이고 ...Date2011.07.08 Views1971 -
No Image
深度 있는 조사로 해병대 병영 바꿀 것 집어내라 - 조선일보 사설
해병대 2사단의 강화도 해안 소초 생활관(내무반)에서 근무하던 김모 상병이 총기를 난사해 부대원 4명이 숨지고 1명이 부상했다. 지난 2005년 6월 경기 연천군 육군 28사단 최전방 초소(GP)에서 김모 일병이 수류탄...Date2011.07.06 Views2589 -
No Image
<연합시론> `군기 빠진' 해병대, 강군으로 거듭나야
(서울=연합뉴스) 우리 군의 최정예로 꼽히는 해병대가 흔들리고 있다. 군기가 풀렸다는 징후가 꼬리를 물더니 급기야 병사 4명이 죽고 2명이 다치는 총기난사 사건이 터졌다. 해병대에서 이런 총기 사건이 난 것은 사...Date2011.07.05 Views2475 -
No Image
‘해병대 정신’ 다시 세우라 - 문화일보 사설
강화도 해병대 해안 소초에서 4일 발생한 총기난사 사건은 국민에게 큰 충격을 안겨주고 있다. 김정일의 잦은 도발에 맞서며 서해영토를 지켜온 해병대에서 병사 4명이 동료 사병의 총기난사로 숨진 사건은 1990년대 ...Date2011.07.05 Views2553 -
7연대 장병문예공모전 우수작
7연대 장병문예공모전 우수작 출처 : 7연대 카페 멧돼지동산Date2011.07.03 Views4091 -
‘싸우면 이기는’ 해병대, 날개 달다
전황기 해병대사령부 중령 [6월, 당신을 기억하겠습니다] ⑤ 서북도서방위사령부 창설 배경과 의미 과거부터 서북도서와 NLL 부근에서는 크고 작은 북한의 도발 위협이 지속되었고, 그때마다 우리 해병대는 이를 지키...Date2011.06.30 Views2488 -
No Image
해병대 독자성 강화 기대된다
<기호일보 사설 2011.6.28>마침내 해병대조직법, 군인사법, 군수품관리법 등 3개 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되면서 해병대는 명실상부한 법적 지위 및 독자성이 대폭 강화됐다고 한다. 작년 북한의 천안함 폭침 사건...Date2011.06.30 Views2034 -
No Image
조용하지만 강한 ‘제주도 해병대’
서인직 해군제주방어사령부 본부대 상병 / 제주일보 대부분의 사람들은 제주도에 해병대가 있다는 사실을 잘 모른다. 그리고 전투와는 한참 먼 후방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제주도는 도민들의 10분의 1이 해병대 출...Date2011.06.25 Views4666 -
해병대 쌍룡합동상륙훈련
박세봉 상병 해병대1사단 / 국방일보 2011.6.22 여명을 가르는 장갑차와 전차 소리에 훈련이 시작됐음을 깨달았고 바다를 가르는 독도함의 뱃고동 소리에 이 훈련의 웅장함을 새기게 됐다. 이렇게 2011년도 ‘쌍룡 1-1...Date2011.06.22 Views3464 -
서북도서방위사령부에 거는 기대 - 동아일보 시론 김태현
15일 해병대를 모체로 하고 육해공군을 망라한 합동참모부를 갖춘 서북도서방위사령부(서방사)가 창설됐다. 이 조치는 군사적 전략적으로 중대한 의미가 있다. 첫째, 당연한 말이지만 서해5도 지역의 방위전력을 크게...Date2011.06.16 Views2704 -
서북도서 방위사령부 창설 이후 과제
문화일보 / 이갑진 전 해병대사령관 게재 일자 : 2011-06-14 14:00 지난해 11월23일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이 일어난 지 7개월 만에 서북도서방위사령부(서방사)가 15일 창설된다. 해병대 사령관이 지휘하는 서방사...Date2011.06.14 Views2675 -
6월을 맞아 동작동 국립 현충원을 찾았다 - 임종린
임종린(시인, 전 해병대사령관) 우리국민 그 누구도 죽음 앞에서는 자신을 통제하기 쉽지 않을 것이다. 특히 푸른 유니폼을 입고 있거나 입었던 사람들에게는 헌신해 왔던 천직의식이 값어치를 샘할 수 없을 정도로 ...Date2011.06.05 Views2998 -
현빈 출연금지령 - 박성진
<박성진의 군이야기> ‘한류 스타’ 김태평 이병(29·현빈)을 보기가 무척이나 힘이 듭니다. 현빈은 5월26일 열린 제47회 백상예술대상에서 ‘시크릿가든’으로 TV부문 대상을 수상했지만 영상으로만 인사를 대신했습니다....Date2011.06.01 Views3877 -
손원일 제독이 우리에게 주는 메시지 - 임성채
임성채 - 해군역사기록관리단 편찬과장 지난 28일은 해군을 창설한 고(故) 손원일 제독 탄생 102주년이 되는 날이다. ‘우리 민족이 번영할 수 있는 지름길은 바다에 있 다’고 예지한 손 제독은 해방 직후인 1945년 11...Date2011.05.30 Views3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