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1월 23일 대한민국 영토인 연평도가 북한의 포격으로 불바다가 됐다. 이번 사태의 출발점은 북방한계선(NLL)이다. 휴전선의 해상 연장선인 NLL은 엄연한 현실적 국경선이다. 한국은 지난 반세기 동안 일관성 있게 국권을 행사해 왔다. 북한도 이를 남북 기본합의서에 반영했다.
NLL은 이 나라의 정당한 영역으로 응고(凝固)돼 온 것이 기정사실이다. 북한은 1999년 이를 무효라고 선언했다. 유엔해양법을 근거로 12해리 영해를 일방적으로 설정해 서해 5도를 자기 영해 속에 집어넣고는 소폭의 출입수로만 허용하는 ‘서해 도서 통항질서’를 내놓았다. 언어도단이며 자가당착이다. 북한은 ‘유엔해양법’의 비(非)서명국이라 이 법의 적용 대상이 아니다. 더구나 당사자인 한국이나 주한 유엔군사령부의 사전 협의도 없이 일방적으로 경계선을 획정한 것은 휴전협정과 국제법 위반이02021117.jpg다.

그런데도 김대중(DJ)·노무현 정권은 햇볕정책으로 북한에 NLL 시비에 대한 빌미를 줬다. 특히 노무현 정권 때는 백령도와 연평도를 지키는 해병대 병력 4000명 감축계획을 공표해 적을 이롭게 하고 포격 도발의 빌미를 제공했다.

북한은 휴전 상태에서 무력 재침의지를 버리지 않고 있는 우리의 주적이다. 더불어 지난 반세기여에 걸쳐 휴전협정 30만여 건을 위반해 왔다. 한반도와 그 부속 도서를 영토 범위로 하는 우리 헌법을 전제할 때 북한은 한반도의 북반부를 불법 통치하는 폭력집단일 뿐이다. 더구나 북한은 핵으로 무장해 한국을 인질로 삼아 온갖 행패를 부리고 있다. 북이 핵을 완전히 해체하고 평화체제 이행 분위기가 마련되기까지 NLL 재설정 흥정은 절대금물이다.

서해 5도 중에서 특히 백령도와 연평도는 북한에 가깝게 위치해 있다. 우리에게는 떠 있는 불침 전함이나 마찬가지다. 유사시 이곳에서 평양의 관문인 남포항까지 최단시간 내에 신속대응군 해병대가 강압 진공작전을 감행한다면 제2의 인천상륙작전과 같은 전략·전술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거꾸로 우리가 서해 도서와 NLL을 양보하면 남한 인구의 과반수와 국가전략 자원의 태반이 집중돼 있는 수도권에 대한 방어가 불가능해진다. 서울 서쪽인 한강 하구가 적의 해상 접근에 완전히 노출된다. 인천국제공항과 주변 항만시설이 북한의 테러 표적으로서 언제 마비될지 모르는 위험을 자초하게 된다. 이뿐 아니라 6·25전에 우리 영토였던 개성 및 옹진반도에서 피란해 온 실향민들이 북한에 빼앗긴 고향 땅을 생각하면서 지금도 눈물을 흘리고 있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된다.

새옹지마(塞翁之馬)다. 연평도 사태로 해병들의 열악한 무장현실이 노출됐지만, 이는 오히려 이 지역의 요새화라는 여론의 반향을 일으켰다. 장비가 보강되고 예산이 증액되도록 했다. 이상우 국방선진화추진위원장이 지난해 12월 17일 국방포럼에서 “현재의 한국군으로는 전쟁이 어렵다. 국방 개혁은 당장 풀어야 할 숙제”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국방부도 10여 일 뒤인 29일 대통령 업무보고에서 ‘서해 NLL 수호와 백령도·연평도 등 서해 5개 도서 방어를 위해 사단급 규모의 서북해역사령부를 내년 중 창설하고, 북한 공격에 대비해 서해 5개 도서를 조기에 요새화하겠다’는 등의 방안을 밝혔다.

만시지탄(晩時之歎)이긴 하나 이제라도 제대로 방향을 잡은 것 같아 이 노(老)해병의 무거운 마음이 한결 가벼워진다. 국가 안보와 국군의 사기 앙양을 위해 국방 개혁이 제대로 추진되길 바란다.




공정식 1925년생. 해군사관학교 1기, 제6대 (1964~66년) 해병대사령관을 지냈다. 6·25전쟁 당시 해병대 대대장, 제3전투단장으로 활약했고 베트남전 당시 해병대사령관으로 청룡부대를 파병했다. 현재 해병대전략연구소 이사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자료출처 : 중앙선데이 | 제199호 | 20110102 입력



  1. 지금 우리는 무엇을 해야하나?

    해병대가 6·25전쟁, 월남전 등 수많은 전투에서 얻은 명성은 하루아침에 이뤄진 것이 아니다. 창설 이후 60년 동안 수없이 많은 역경에서도 오늘이 있기까지 우리 선배들의 부단한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하였다. 천안...
    Date2011.09.22 Views3439
    Read More
  2. 땅 속 깊은곳 잠들어 있는 영웅들을 찾아서

    그때의 젊은 병사는 오늘 시신이 되어 돌아왔다. 지금까지 아무도 찾아주지 않는 차가운 땅 속에서 불편한 자세로 누워 있었던 그 젊은병사. 그의 시신은 이 나라가 물이 흐르듯 그렇게 유지되어온 나라가 아니라고 ...
    Date2011.09.22 Views2824
    Read More
  3. 해병대 병영문화 개선과 해외파병

    한동기 해병대 중령 / 국방대학교 PKO센터 요즘처럼 해병대가 대중 매체에 자주 오르내린 적은 베트남전에서 ‘신화(神話)를 남긴 해병’의 전공을 세운 이후로는 별로 없었던 것 같다. 좋은 일로 그래야 할 텐데, 그렇...
    Date2011.09.14 Views3130
    Read More
  4. 해병대 전문작가 김환기에게 듣는 스타 현빈, 해병 김태평

    지난해 말 연평도 포격 사건을 시작으로 총기 난사 사건, 그리고 현빈의 해병대 입대까지. 근래만큼 해병대가 사람들 입에 오르내렸던 적이 없는 것 같다. 3년 동안 포항과 김포, 서해 5도를 돌며 해병대를 취재해온 ...
    Date2011.09.02 Views3529
    Read More
  5. 국민기대 부응하는 병영문화 - 공정식

    공정식 전해병대사령관님께서 국방저널 9월회에 특별기고한 글입니다. 국방저털 전자북에서 캡춰하였습니다.
    Date2011.09.01 Views2645
    Read More
  6. No Image

    인천상륙작전의 강의안 - 김현기

    인천상륙작전의 강의안 / 해병대전략연구소 김현기 序 論 1. 연구 배경 ▲ 전장에서의 기습효과의 중요성 ㅇ 전장의 흐름을 주도할 수 있는 주도권 확보에 결정적으로 기여 ㅇ 기습의 파급효과 - 물리적 효과, 심리적 ...
    Date2011.09.01 Views4746
    Read More
  7. No Image

    통영상륙작전과 한국 해병대

    '한국군이 단독으로 수행한 최초의 상륙작전... 전세(戰勢)를 역전시키는 불씨를 지핀 전투" <코나스넷 김성만> 해병대는 6.25전쟁 당시 한국군 단독 상륙작전으로‘귀신 잡는 해병’이란 신화 탄생시킨 통영상륙작전 ...
    Date2011.08.25 Views2706
    Read More
  8. 통영상륙작전의 교훈

    국방일보 기고 2011.8.16 - 엄영환 해군중령 / 해군대학 상륙작전 교관 내일(17일)은 우리 해군·해병대가 통영상륙작전을 수행한 지 61주년이 되는 날이다. 이 작전은 6·25전쟁 초기 우리 국군이 단독으로 실시한 최...
    Date2011.08.15 Views3432
    Read More
  9. 해병대는 ‘상륙기동군’이고 싶다

    7월 4일 인천 강화도에 주둔한 해병대 2사단(청룡) 예하 부대에서 한 소대원이 동료 네 명을 쏴 숨지게 하자 “소수정예를 자랑하 는 해병대에서 어떻게 이런 일이 일어날 수 있느냐”는 탄식이 터져 나왔다. 군을 안다...
    Date2011.08.14 Views3575
    Read More
  10. 통영상륙작전 - 문화일보 오후여담 / 김종호 논설위원

    <문화일보 김종호 논설위원> 충무공 이순신 장군이 이끈 조선 수군(水軍)의 한산도대첩(閑山島大捷)은 진주대첩·행주대첩과 함께 임진왜란의 3대 대첩으로 일컬어진다. 1592년(선조 25년) 7월8일 한산도 앞바다에서 ...
    Date2011.08.08 Views4565
    Read More
  11. 서해5도 이상없다

    안승환 이병 / 해병대6여단 지난달 12일 한미연합기동훈련을 무사히 마쳤다. 이번 훈련은 대한민국 서해 최북단 백령도에 근무하는 한국 해병대와 미국 해병대가 함께 훈련을 받으며 서로의 기술을 공유하고 파트너십...
    Date2011.08.06 Views3677
    Read More
  12. 이제부터는 해병대를 사랑으로 품어주자

    이세영 건양대학교 국방공무원학과 교수 지난달 4일 우리들은 강화도에서 들려온 정말 가슴 아픈 사건을 접하게 된다. 2005년 6월에 전방부대에서 발생했던 끔찍했던 총 격사건을 잊은 지 꽤 오래되었는데 그만 금번 ...
    Date2011.08.05 Views2842
    Read More
  13. 이젠 조국이 그들을 지켜야 한다

    시론 - 이젠 조국이 그들을 지켜야 한다 / 국방일보 2011.7.27 신원배 (예)해병대소장 / 대한민국재향군인회 사무총장 # 지금으로부터 58년 전인 1953년 7월 23일, 유엔군 대표 윌리엄 해리슨 중장과 북한군 대표 남...
    Date2011.07.27 Views2614
    Read More
  14. No Image

    다시 태어나는 해병대의 모습을 보이길

    <대한매일신문 홍성봉의 是是非非> 홍성봉 편집국장 귀신도 잡는다는 우리나라의 해병대가 구타와 폭언 등 후진적인 군기문화를 퇴출시키기 위해 최근 발생한 해병 2사단 총기난사 사건을 계기로 ‘병영문화 혁신 100...
    Date2011.07.25 Views2627
    Read More
  15. "젊은 해병을 명예롭게 대우 안하면 戰場 선봉에 설 수 없다"

    해병대 사령부 병영문화 혁신 대토론회 각계 200여명 참석 - 金국방 "구타는 식민 잔재"… 현역 부사관 "期數는 악습" 어떤 대안이 논의됐나 - 가혹행위 땐 붉은명찰 떼고 해당 부대는 해체, 재창설 <조선일보 유용원...
    Date2011.07.24 Views363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37 Next
/ 37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