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73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첨부

김형일해병상병.jpg

김 형 일 상병 해병대2사단


3월 말, 말도에 투입됐다가 지난달 중순 대대로 복귀했다. 말도는 생각보다 날씨 변덕이 심했다. 공수교육으로 교대 하루 전에 배가 못 뜰 정도로 비바람이 불다가도 다음 날 아침에는 언제 그랬느냐는 듯 햇볕이 쨍쨍 내리쬐는, 변덕스러운 곳이 서측 도서 가장 끝 작은 섬 ‘말도’였다.

공수교육으로 교대되기 하루 전날 발칸 진지 공사 때문에 태어나서 처음으로 시멘트 작업을 했다. 근무자를 제외한 소초 총원이 동원돼 지하에 있는 시멘트 포대를 어깨에 지고 계단을 오르내리며 운반하고 포대를 뜯어 시멘트를 부은 뒤 물을 부어 삽으로 개는 작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공사 현장에서만 보던 시멘트 작업을 해보는구나!” 하면서 신기하기도 하고 재미도 있었다.

그때였다. 갑자기 굵은 빗방울이 떨어지더니 순식간에 비바람이 몰아치기 시작했다. 이미 물을 부은 상태라 하루에 끝내야 해서 총원은 군말 없이 묵묵히 시멘트 작업을 했고 결국 그날 안에 완료했다. 공사를 마치고 고개를 들어 서로 얼굴을 보는 순간 웃음이 터져 나왔다. 시멘트 가루에 비바람까지 더해 얼굴을 회색빛으로 만들어 놓았기 때문이다. 53대대·정보대·방공·수색대 등 서로 다른 소속, 잘 모르는 사이지만 그때만큼은 피곤함을 잊고 한바탕 웃을 수 있었다.

말도에서는 중국 어선 때문에 자다가 중간에 상황이 걸려서 허겁지겁 일어나 방탄복을 입고 병기를 꺼낸 적도 많았다. 또한, K6를 짊어지고 산에 올라 진지에 도착해 실탄을 쏴야 하는 상황도 있었다. 나는 말도에 와서 대한민국 영토와 영해를 위협하는 세력을 막기 위해 실 작전에 투입돼 임무를 부여받고 실탄을 격발하는 그 순간만큼은 상당한 긴장감이 들었고 느낌도 너무나 달랐다. 사격연습과 실제로 국경지대에서 무언가를 향해 경고사격을 하는 것의 긴장감 차이는 완전히 달랐다. 임무를 마치고 K6를 짊어지고 다시 산에서 내려와 트럭을 타고 소초로 복귀할 때는 ‘군인’으로서 책임감이 밀려왔다. ‘입대하기 전에는 다른 세상 이야기였는데 실제로 실탄을 쏴야 하는 상황이 우리나라에서도 있구나. 통일되기 전까지 전방에서는 이런 일이 하루에도 몇 번이나 있겠구나’ 하며 경각심으로 그치지 않고 통일까지 진지하게 생각할 수 있었던 귀한 경험이었다.

나는 해병대에 지원하고 우연히 경계작전이 많은 2사단으로 배치돼 진귀한 경험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단지 좋은 경험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부여받은 임무를 수행해야 하는, 단지 21개월 동안 복무하고 사회로 나가는 전역일만 기다리는 군인이 아니라 지금 이 순간 나는 군인이다.

말도 소초 수색대 중대가 교대했을 때 웃으며 반겨줬던 주민들, 소속은 다르지만 ‘서측 도서방어’ 임무를 같이 수행했던 전우들이 벌써 보고 싶다.


  1. <르포> 北 포격도발 1년… 연평도를 가다

    각종 시설 새로 교체… 상흔 일부 간직 K-9·벌컨포 배치 등 전력 대폭 강화 / 국방일보 지금도 남아 있는 북한의 기습포격 피해 현장. 연평도 포격전 전승기념관(위). 7중대 포상(아래) 해병대 연평부대 장병들이 가상...
    Date2011.11.21 Views2424
    Read More
  2. 해병 1000명 증강… 방어작전서 도발지 응징 거점으로

    서북도서 전력 어떻게 바꿨나 / 서울신문 “단 한 뼘의 영토, 풀 한 포기도 내줄 수 없다.” 북한의 연평도 포격 1주년(23일)을 앞두고 김관진 국방장관이 18일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 1주년에 즈음하여’라는 제목의...
    Date2011.11.19 Views3364
    Read More
  3. 공부의 신이 말하는 수능 공략법

    구본석 일병 / 해병대6여단 마라톤을 포함한 모든 육상 경기를 보면 기본적으로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다. 그것은 바로 막판 스퍼트다. 각 선수는 자기 페이스를 조절하기 위해서 처음부터 필사적으로 달리지 않는다....
    Date2011.11.10 Views2868
    Read More
  4. No Image

    [스크랩] 해병대 여러분께 드리는 글

    저는 현역 육군 대위(포병)으로서 현재 일본에서 유학중인 사람입니다. 현역인 관계로 성명과 소속을 밝히지 못 한점 죄송하게 생각합니다. 한동안 떠들석했던 특수전 계시판이 잠시 소강상태에 들어간것 처럼 느껴지...
    Date2011.11.07 Views2824
    Read More
  5. 해군·해병대, 상륙 기동헬기 운용권 갈등

    입체적 상륙작전에 꼭 필요, 2016년까지 40대 도입 예정… 해군 &quot;한대도 넘길 수 없다&quot; &lt;조선일보 유용원기자&gt; 해병대사령부가 모체(母體)가 된 서방사 창설의 가장 큰 취지 중 하나는 지난해 11월 북한의 연평도 포격...
    Date2011.11.01 Views2824
    Read More
  6. 소중한 인연 그리고 해병대 

    병영문화 혁신의 생활화·신념화 해병대교육훈련단 장병 소감문 / 국방일보 2011.10.25 김영삼병장 사람이 옷깃만 스쳐도 인연이라는 말이 있다. 군대는 전국 방방곡곡에서 이름도 얼굴도 처음 보는 사람들이 모여 동...
    Date2011.10.24 Views3825
    Read More
  7. 해병대 지휘관리 개선 법안 시행 - 보도자료

    - 해군 소위가 해병소위로 임관, 해병대 사령관 명의의 전역증 발급 - 합동참모회의에 해병대 관련 사항 심의 시 해병대사령관도 구성원으로 투표권 행사 - 해병대 복무기록 정본, 38년 만에 해병대사령부로 이관 ❍ ...
    Date2011.10.14 Views3523
    Read More
  8. 헬기타고 백령도 해병대 국감장에 가보니....

    해병대사령관, 해군본부 국감 배석하다 단독국감받아 뿌듯 해병대 인사ㆍ예산 독립 강화 속 “아직은 갈 길 멀다”목소리 천안함 46용사가 심청이처럼 부활해 남북화합의 연꽃이 된다면… 4일 오전 백령도 해병대 제6여...
    Date2011.10.05 Views3296
    Read More
  9. 강한 국군 그리고 더 큰 대한민국

    김상민 이병 해병대2사단 포병연대 빨간 날만이 특별한 날처럼 여겨지는 요즘 검은 날이지만 나에겐 특별한 10월의 첫째 날을 생각해본다. 2011년 10월 1일은 건군 제63주년 대한민국 국군의 날로 6·25전쟁 당시 전쟁...
    Date2011.09.29 Views1727
    Read More
  10. 지금 우리는 무엇을 해야하나?

    해병대가 6·25전쟁, 월남전 등 수많은 전투에서 얻은 명성은 하루아침에 이뤄진 것이 아니다. 창설 이후 60년 동안 수없이 많은 역경에서도 오늘이 있기까지 우리 선배들의 부단한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하였다. 천안...
    Date2011.09.22 Views3462
    Read More
  11. 땅 속 깊은곳 잠들어 있는 영웅들을 찾아서

    그때의 젊은 병사는 오늘 시신이 되어 돌아왔다. 지금까지 아무도 찾아주지 않는 차가운 땅 속에서 불편한 자세로 누워 있었던 그 젊은병사. 그의 시신은 이 나라가 물이 흐르듯 그렇게 유지되어온 나라가 아니라고 ...
    Date2011.09.22 Views2832
    Read More
  12. 해병대 병영문화 개선과 해외파병

    한동기 해병대 중령 / 국방대학교 PKO센터 요즘처럼 해병대가 대중 매체에 자주 오르내린 적은 베트남전에서 ‘신화(神話)를 남긴 해병’의 전공을 세운 이후로는 별로 없었던 것 같다. 좋은 일로 그래야 할 텐데, 그렇...
    Date2011.09.14 Views3181
    Read More
  13. 해병대 전문작가 김환기에게 듣는 스타 현빈, 해병 김태평

    지난해 말 연평도 포격 사건을 시작으로 총기 난사 사건, 그리고 현빈의 해병대 입대까지. 근래만큼 해병대가 사람들 입에 오르내렸던 적이 없는 것 같다. 3년 동안 포항과 김포, 서해 5도를 돌며 해병대를 취재해온 ...
    Date2011.09.02 Views3576
    Read More
  14. 국민기대 부응하는 병영문화 - 공정식

    공정식 전해병대사령관님께서 국방저널 9월회에 특별기고한 글입니다. 국방저털 전자북에서 캡춰하였습니다.
    Date2011.09.01 Views2676
    Read More
  15. No Image

    인천상륙작전의 강의안 - 김현기

    인천상륙작전의 강의안 / 해병대전략연구소 김현기 序 論 1. 연구 배경 ▲ 전장에서의 기습효과의 중요성 ㅇ 전장의 흐름을 주도할 수 있는 주도권 확보에 결정적으로 기여 ㅇ 기습의 파급효과 - 물리적 효과, 심리적 ...
    Date2011.09.01 Views4786
    Read More
  16. No Image

    통영상륙작전과 한국 해병대

    &#039;한국군이 단독으로 수행한 최초의 상륙작전... 전세(戰勢)를 역전시키는 불씨를 지핀 전투&quot; &lt;코나스넷 김성만&gt; 해병대는 6.25전쟁 당시 한국군 단독 상륙작전으로‘귀신 잡는 해병’이란 신화 탄생시킨 통영상륙작전 ...
    Date2011.08.25 Views2739
    Read More
  17. 통영상륙작전의 교훈

    국방일보 기고 2011.8.16 - 엄영환 해군중령 / 해군대학 상륙작전 교관 내일(17일)은 우리 해군·해병대가 통영상륙작전을 수행한 지 61주년이 되는 날이다. 이 작전은 6·25전쟁 초기 우리 국군이 단독으로 실시한 최...
    Date2011.08.15 Views3459
    Read More
  18. 해병대는 ‘상륙기동군’이고 싶다

    7월 4일 인천 강화도에 주둔한 해병대 2사단(청룡) 예하 부대에서 한 소대원이 동료 네 명을 쏴 숨지게 하자 “소수정예를 자랑하 는 해병대에서 어떻게 이런 일이 일어날 수 있느냐”는 탄식이 터져 나왔다. 군을 안다...
    Date2011.08.14 Views3605
    Read More
  19. 통영상륙작전 - 문화일보 오후여담 / 김종호 논설위원

    &lt;문화일보 김종호 논설위원&gt; 충무공 이순신 장군이 이끈 조선 수군(水軍)의 한산도대첩(閑山島大捷)은 진주대첩·행주대첩과 함께 임진왜란의 3대 대첩으로 일컬어진다. 1592년(선조 25년) 7월8일 한산도 앞바다에서 ...
    Date2011.08.08 Views4614
    Read More
  20. 서해5도 이상없다

    안승환 이병 / 해병대6여단 지난달 12일 한미연합기동훈련을 무사히 마쳤다. 이번 훈련은 대한민국 서해 최북단 백령도에 근무하는 한국 해병대와 미국 해병대가 함께 훈련을 받으며 서로의 기술을 공유하고 파트너십...
    Date2011.08.06 Views369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 28 Next
/ 28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