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국군의 명예를 회복해야 한다.  신원배(예비역 해병 소장, 대한민국재향군인회 사무총장)
 
 우리 모두는 적을 적이라고 부르지도 못하고, 도발에 대해 즉각적인 응징도 하지 못하는 무기력한 군대를 만드는데 일조하지 않았는가.
 
  2010년 11월 23일 북한군이 연평도에 무차별적인 기습포격을 자행함으로써 해병 2명이 전사하고 민간인 2명이 숨졌으며, 10여명이 부상을 입는 도발사건이 발생했다. 지난 3월 26일 천안함 폭침 사건으로 46명의 국군장병이 전사한데 이어 또다시 북한의 대남무력도발로 다수의 인명이 희생된 것이다.
 
  국민들은 천안함 폭침사건과 연평도 무력도발을 통해 북한공산집단의 잔악무도함에 울분을 토하는 한편, 군의 무기력한 대응에 실망감을 금치 못하고 있다.
 
  과장된 측면도 있겠지만 연평도 포격도발 이후 언론에 비친 군 간부들의 모습은 참담할 정도이다. 국토방위 수호와 전술전기 연마 등 당면한 과제는 외면한 채 정치권을 기웃거리거나, 진급과 보직을 위해서라면 물불도 가리지 않는 초라한 모습으로 비추어 지고4918.jpg 있다.
 
  심지어는 “군의 정신력이 완전히 무너졌다.”, “군 장교들은 나라를 지키는 전사(戰士)가 아니라 행정화 또는 관료화집단으로 변질된 한심한 지경에 이르렀다.”는 극단적인 평가까지 받고 있다.
 
  이러한 질타에 대해 대다수의 군 간부들은 극심한 모멸감을 느끼고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 이면에는 과거 정권이 잘못된 방향으로 강행 추진한 군 운용에 대해 고언(苦言) 또는 항변을 하기는커녕, 오히려 비위를 맞추는데 급급했던 대다수 군 간부들에 대한 뿌리 깊은 배신감이 깔려 있다는 사실을 잘 알아야 한다.
 
  우리 군의 간부들이 이렇듯 초라한 모습으로 변모한 이유는 무엇인가? 이 점에 대해 군의 수뇌부는 진지한 자세로 뼈를 깎는 성찰을 해야 할 것이다.
 
  북한의 대남무력도발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북한은 휴전 이후 지금까지 청와대 기습, 8·18도끼만행, 아웅산 테러, KAL858기 폭파, 남침용 땅굴 굴착 등 무려 2,800여 회의 무수한 무력도발을 감행해 왔다. 또한 분단 이후 지금까지 북한의 도발로 인해 16만 5천여 명의 국군장병들이 목숨을 잃었다.
 
  우리 군은 이렇듯 호전적인 북한군과 대치하고 있다. 따라서 북한공산집단의 도발책동을 분쇄할 수 있는 국방대비태세 완비와 함께, 만약 도발이 있을 경우 즉각적이고 단호하게 응징을 할 수 있는 만반의 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그러나 우리 군의 단호한 응징 조치는 1999년 6월에 발발한 제1차 연평해전까지였다고 생각한다. 당시 우리 해군은 북한군의 선제도발에 즉각 대응했고, 전투가 발발한지 불과 14분 만에 북한 어뢰정 1척을 침몰시키고 중형경비정 1척을 반침몰시켰으며, 4척을 대파했다.
 
  이러한 결과가 나온 것은 그 때까지만 해도 군 수뇌부들의 응징 의지가 확고했기 때문이다. 그 당시의 우리 군은 “남북관계가 어떻게 변하든 우리 군의 임무는 절대 변할 수 없다.”는 확고한 의지와 자세를 견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북한군 도발에 대한 군의 응징은 여기까지였다. 2002년 6월에 발발한 제2차 연평해전과 2009년 11월에 발발한 대청해전은 우리 군이 패했다고는 할 수가 없지만 단호한 응징과 보복이라는 차원에서는 대단히 미흡했다.
 
  제2차 연평해전에서는 수세적인 밀어내기식 전술로 대응하다가 북한군의 선제공격으로 참수리 고속정 1척이 침몰당하고 6명이 전사했다. 대청해전에서는 북한 경비정을 침몰시킬 수 있는 상황에서 곱게(?) 돌려보냈다. 당시 브리핑에 나선 군 고위 장성은 충분히 격침시킬 수 있었지만 남북관계를 고려해 공격을 자제했다고 자랑스레 말했다. 이렇듯 피동적이고도 무기력한 대응자세는 금년에 발생한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으로 이어진 것이다.
 
  이러한 對應자세는 국민의 정부가 뿌린 ‘불량씨앗’이 원인이다. 국민의 정부는 1999년 6월 15일 남북정상회담 이후 “이제 한반도에서 전쟁은 없다.”라고 공언했다. 심지어 “NLL에서 밀리지 말라, 먼저 쏘지 말라, 확전하지 말라.”로 요약되는 소위 ‘3대 말라’의 해괴한 교전규칙을 하달함으로써 우리 장병들을 총알받이로 내몰았다. 이 교전규칙은 참여정부까지 이어졌다.
 
  이 뿐만이 아니다. 더 이상 북한에 대한 적대적인 자세를 취하지 못하도록 군 수뇌부들에게 무언의 압력을 가했으며, 그 본보기로 제1차 연평해전에서 대승을 거둔 지휘관의 군복을 벗겼다. 이러한 ‘햇볕정책’의 여파로 북한군은 싸워 이겨야 할 주적이 아니라 오히려 눈치를 봐야 할 대상으로 바뀌기 시작했고, 장병들의 적개심도 희박해지기 시작했다. 그 결과가 제2차 연평해전에서 고속정 침몰과 6명의 해군장병 전사로 나타난 것이다.
 
  적군의 도발로 함정이 침몰되고 다수의 장병들이 전사한 상황에서 정상적인 사고방식을 가진 국군통수권자라면 당연히 분노하고, 단호한 응징과 보복을 병행했어야 했다. 그러나 당시 정권은 영해를 지키려다 전사한 장병들의 주검을 철저히 외면하고 무시했다. 국군통수권자는 월드컵 경기에 참관하여 활짝 웃으며 박수를 치고, 군 수뇌부들은 장병들의 영결식에 참석조차 하지 않았다.
 
  제2차 연평해전에서 전사한 故 한상국 중사의 부인 김종선씨는 전사자를 홀대하고 유가족을 냉대하는 당국의 행태에 울분을 참지 못했다. 결국 김씨는 남편이 목숨 바쳐 지킨 조국을 등지고 미국으로 이민을 갔다.
 
  뒤를 이은 참여정부는 한술 더 떴다. 그나마 명맥만 유지하던 ‘주적개념’도 “시대에 맞지 않는다.”는 궤변으로 삭제해 버리고, 주적개념에 대한 교육도 하지 못하도록 했다.
 
  그리고 국민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한미연합사 해체와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추진을 강행했고, 병력 대폭 감축과 복무기간 단축을 골자로 하는 ‘국방개혁2020’을 추진함으로써 국군의 무장해제와 국방력 약화에 앞장섰다.
 
  이처럼 지난 정권은 한반도공산화를 최종목적으로 하는 북한의 대남적화전략전술을 간과한 채 ‘햇볕정책’, ‘남북화해협력정책’으로 불리는 친북일변도의 대북정책으로 일관하면서 군의 손발을 묶고 장병들의 정신무장을 와해시켰다.
 
  북한으로 하여금 대남적화전략전술을 실천에 옮기도록 부추기는 일련의 정책들이 입안되고 결정되던 그 때, 그 시점에서 대부분의 군 간부들은 어떠한 행동도 하지 않았다.
 
  북한은 노동당규약에 명시된 한반도 공산화를 달성하기 위해 약20만 명에 달하는 특수전부대를 비롯하여 120만 명에 가까운 병력과 핵을 비롯한 생화학무기, 각종 미사일 등 압도적인 비대칭전력으로 무장하고 있다. 그리고 지상군의 70%, 해군의 60%, 공군의 40% 이상을 각각 평양과 원산을 연하는 선 이남에 전진 배치하고 있다.
 
  세계 유일의 분단국으로서 호시탐탐 도발의 기회만을 노리고 있는 북한집단과 대치하고 있는 우리의 안보현실을 고려한다면 만반의 국방대비태세 구축은 지극히 당연한 일이다. 이를 위해 군 간부들은 국방정책이 올바르게 수립되도록 노심초사해야 한다. 또한 국방정책이 잘못 추진될 경우에는 용기 있게 소신을 밝히고, 시정조치를 강구해야 한다.
 
  미국의 경우 싱글러브 장군은 주한미군 완전 철수를 공약으로 내건 카터 대통령에게 철수반대를 공개적으로 주장했다. 그러나 우리 군의 간부들은 이적행위에 가까운 국방정책이 결코 실행에 옮겨져서는 안 된다고 건의하거나 공개적으로 소신을 밝히는 등 무인(武人)이 견지해야 할 올바른 기개를 보여 주지 못했다.
 
  군인의 충성대상은 국가이지 정권이 아니다. 따라서 사리사욕과 개인의 영달을 위해서 조국과 군 조직을 외면하는 유형의 군인이 되어서는 안 된다. 모름지기 군인은 조국수호의 마지막 보루라는 자부심을 바탕으로 확고한 국가관과 사생관, 군인정신으로 무장되어야 한다. ‘필사즉생 필생즉사(必死則生 必生則死)’의 정신으로 왜적과 맞서 싸우던 충무공 이순신장군의 얼을 이어 받아 국가와 민족을 위해 초개와 같이 목숨을 버릴 줄 아는 의연한 자세를 견지해야 한다.
 
  스스로를 되돌아보자. 우리 모두는 敵을 敵이라고 부르지도 못하고, 도발에 대해 즉각적인 응징도 하지 못하는 무기력한 군대를 만드는데 일조하지 않았는가. 제1차 연평해전에서 적을 격파하고 전투를 승리로 이끈 용맹한 장군과, 적개심 교육을 해서는 안 된다는 정권나팔수의 궤변에 강력히 반박한 용기 있는 장군이 부당한 압력으로 군복을 벗게 되었을 때 분노하면서 강력히 항변한 적이 있었는가. 전작권 전환과 한미연합사 해체, 국방개혁2020이 지극히 잘못된 국방정책임을 알면서도 신상에 불이익을 받지나 않을까 두려워 소신을 제대로 밝히지 못하거나, 오히려 자신의 영달을 위해 악용한 사실은 없었는가. 적을 격멸할 수 있는 강력한 군대건설에 헌신하기보다 좋은 보직, 좋은 자리를 찾는데 혈안이 된 적은 없었는가를 진지하게 되돌아 볼 필요가 있다.
 
  군의 존재목적은 평상시 전쟁억제와 유사시 싸워 이기는 전쟁승리에 있다. 군의 장수(將帥)는 이를 달성하는 핵심이며 주체이다. 따라서 대한민국의 군 간부들은 국군장병으로 하여금 적과 싸워 반드시 이기는 최정예 전투요원으로 육성할 책임이 있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간부들 스스로가 변해야 한다.
 
  정치적이고 관료적인 자세에서 벗어나 군 본연의 자세로 돌아와야 한다. 국군의 임무와 사명에 충실하고, 국토방위라는 숭고한 사명감에 젖어 있어야 한다. 나아가 장병과 생사고락을 같이하는 임전무퇴의 전형적인 참군인이 되어야 한다.
 
  장병들로 하여금 확고한 대적관과 필승의 신념으로 무장시키고, 실전 같은 교육훈련으로 전투프로로 거듭나게 해야 한다. 이를 위해 군 간부들의 전투복은 항상 땀에 절어 있어야 하고, 전투화는 흙투성이가 되어 있어야 한다.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다. 북한의 도발책동을 분쇄하고, 나아가 대한민국의 자유와 평화를 지키기 위해서는 완벽한 국방태세 완비에 헌신하겠다는 굳은 결의를 정신적 지주로 삼아야 한다.
 
  최근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무력도발로 실추된 대한민국 국군의 명예가 하루빨리 회복될 수 있도록 군 간부 모두가 심기일전의 정신자세로 재무장하고, 완벽한 국방을 위해 혼신의 역량을 경주해 주기를 기대한다.(KONAS)
 
  신원배(예비역 해병 소장, 대한민국재향군인회 사무총장)

TAG •

  1. 지금 우리는 무엇을 해야하나?

    해병대가 6·25전쟁, 월남전 등 수많은 전투에서 얻은 명성은 하루아침에 이뤄진 것이 아니다. 창설 이후 60년 동안 수없이 많은 역경에서도 오늘이 있기까지 우리 선배들의 부단한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하였다. 천안...
    Date2011.09.22 Views3424
    Read More
  2. 땅 속 깊은곳 잠들어 있는 영웅들을 찾아서

    그때의 젊은 병사는 오늘 시신이 되어 돌아왔다. 지금까지 아무도 찾아주지 않는 차가운 땅 속에서 불편한 자세로 누워 있었던 그 젊은병사. 그의 시신은 이 나라가 물이 흐르듯 그렇게 유지되어온 나라가 아니라고 ...
    Date2011.09.22 Views2801
    Read More
  3. 해병대 병영문화 개선과 해외파병

    한동기 해병대 중령 / 국방대학교 PKO센터 요즘처럼 해병대가 대중 매체에 자주 오르내린 적은 베트남전에서 ‘신화(神話)를 남긴 해병’의 전공을 세운 이후로는 별로 없었던 것 같다. 좋은 일로 그래야 할 텐데, 그렇...
    Date2011.09.14 Views3103
    Read More
  4. 해병대 전문작가 김환기에게 듣는 스타 현빈, 해병 김태평

    지난해 말 연평도 포격 사건을 시작으로 총기 난사 사건, 그리고 현빈의 해병대 입대까지. 근래만큼 해병대가 사람들 입에 오르내렸던 적이 없는 것 같다. 3년 동안 포항과 김포, 서해 5도를 돌며 해병대를 취재해온 ...
    Date2011.09.02 Views3513
    Read More
  5. 국민기대 부응하는 병영문화 - 공정식

    공정식 전해병대사령관님께서 국방저널 9월회에 특별기고한 글입니다. 국방저털 전자북에서 캡춰하였습니다.
    Date2011.09.01 Views2641
    Read More
  6. No Image

    인천상륙작전의 강의안 - 김현기

    인천상륙작전의 강의안 / 해병대전략연구소 김현기 序 論 1. 연구 배경 ▲ 전장에서의 기습효과의 중요성 ㅇ 전장의 흐름을 주도할 수 있는 주도권 확보에 결정적으로 기여 ㅇ 기습의 파급효과 - 물리적 효과, 심리적 ...
    Date2011.09.01 Views4735
    Read More
  7. No Image

    통영상륙작전과 한국 해병대

    '한국군이 단독으로 수행한 최초의 상륙작전... 전세(戰勢)를 역전시키는 불씨를 지핀 전투" <코나스넷 김성만> 해병대는 6.25전쟁 당시 한국군 단독 상륙작전으로‘귀신 잡는 해병’이란 신화 탄생시킨 통영상륙작전 ...
    Date2011.08.25 Views2697
    Read More
  8. 통영상륙작전의 교훈

    국방일보 기고 2011.8.16 - 엄영환 해군중령 / 해군대학 상륙작전 교관 내일(17일)은 우리 해군·해병대가 통영상륙작전을 수행한 지 61주년이 되는 날이다. 이 작전은 6·25전쟁 초기 우리 국군이 단독으로 실시한 최...
    Date2011.08.15 Views3415
    Read More
  9. 해병대는 ‘상륙기동군’이고 싶다

    7월 4일 인천 강화도에 주둔한 해병대 2사단(청룡) 예하 부대에서 한 소대원이 동료 네 명을 쏴 숨지게 하자 “소수정예를 자랑하 는 해병대에서 어떻게 이런 일이 일어날 수 있느냐”는 탄식이 터져 나왔다. 군을 안다...
    Date2011.08.14 Views3563
    Read More
  10. 통영상륙작전 - 문화일보 오후여담 / 김종호 논설위원

    <문화일보 김종호 논설위원> 충무공 이순신 장군이 이끈 조선 수군(水軍)의 한산도대첩(閑山島大捷)은 진주대첩·행주대첩과 함께 임진왜란의 3대 대첩으로 일컬어진다. 1592년(선조 25년) 7월8일 한산도 앞바다에서 ...
    Date2011.08.08 Views4552
    Read More
  11. 서해5도 이상없다

    안승환 이병 / 해병대6여단 지난달 12일 한미연합기동훈련을 무사히 마쳤다. 이번 훈련은 대한민국 서해 최북단 백령도에 근무하는 한국 해병대와 미국 해병대가 함께 훈련을 받으며 서로의 기술을 공유하고 파트너십...
    Date2011.08.06 Views3654
    Read More
  12. 이제부터는 해병대를 사랑으로 품어주자

    이세영 건양대학교 국방공무원학과 교수 지난달 4일 우리들은 강화도에서 들려온 정말 가슴 아픈 사건을 접하게 된다. 2005년 6월에 전방부대에서 발생했던 끔찍했던 총 격사건을 잊은 지 꽤 오래되었는데 그만 금번 ...
    Date2011.08.05 Views2829
    Read More
  13. 이젠 조국이 그들을 지켜야 한다

    시론 - 이젠 조국이 그들을 지켜야 한다 / 국방일보 2011.7.27 신원배 (예)해병대소장 / 대한민국재향군인회 사무총장 # 지금으로부터 58년 전인 1953년 7월 23일, 유엔군 대표 윌리엄 해리슨 중장과 북한군 대표 남...
    Date2011.07.27 Views2607
    Read More
  14. No Image

    다시 태어나는 해병대의 모습을 보이길

    <대한매일신문 홍성봉의 是是非非> 홍성봉 편집국장 귀신도 잡는다는 우리나라의 해병대가 구타와 폭언 등 후진적인 군기문화를 퇴출시키기 위해 최근 발생한 해병 2사단 총기난사 사건을 계기로 ‘병영문화 혁신 100...
    Date2011.07.25 Views2618
    Read More
  15. "젊은 해병을 명예롭게 대우 안하면 戰場 선봉에 설 수 없다"

    해병대 사령부 병영문화 혁신 대토론회 각계 200여명 참석 - 金국방 "구타는 식민 잔재"… 현역 부사관 "期數는 악습" 어떤 대안이 논의됐나 - 가혹행위 땐 붉은명찰 떼고 해당 부대는 해체, 재창설 <조선일보 유용원...
    Date2011.07.24 Views362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37 Next
/ 37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