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에 간 아들 넘이 넘보고 싶지만 ...장한 내 아들이 자랑스러워요"

 

 "아들 넘을 포항 해병대훈련소에 바래다주고 온 지 48일만에 목소리를 들었습니다. '필승! 노 훈, 엄마 아빠께 인사드립니다. 많이 보고 싶습니다'... 그 목소리에 저도 덩달아 왈칵 눈물을 쏟고 말았습니다."

 기자가 자주 찾는 한 카페에 올라온 글이다. 아들을 해병대 훈련소에 보내 놓고 늘 아들 생각에 가슴을 조렸다는 이 어머니는 이 세상 모든 부모가 그렇듯이 아들에 대한 애틋한 마음을 그대로 담아냈다. 그 어머니의  글을 보면서 기자 또한 아득한 군 초년시절로 돌아가지 않을 수 없었다.

 육군 소위 임관 후 첫 부임지인 강원도 전방으로 떠나기 앞서 "아버지 어머니 이제 가겠습니다. 건강히 계십시오"하고 거수 경례로 인사를 올리자 아버지께선 "집안 걱정은 하지말고 몸 건강하게 임하거라"하며 시골 동네 어귀에서 어깨를 쓰다듬다 등을 떠미셨다.

 그러나 어머니는 한사코 "돌아가시라" 만류하는 아들의 말에도 괘념 않고 뭍을 오가는 선착장 뱃머리까지 따라나오셔서 외아들의 모습이 한 점 까만 점이 될 때까지 그 자리 그대로 서서 멀어져 가는 아들의 그림자를 한없이 지켜보고 계셨다.

 그리고 시간이 한참 흘러 홀로 되신 후에도 잘 찾아뵙지 못한 아들녀석이 전화로 인사를 대신해도 오직 아들 걱정과 함께 군복무에 임하는 막내아들 같은 병사들 염려가 또 하나의 일상이 되곤 하셨다. 어쩌면 자식을 군에 보낸 모든 부모들의 한결같은 마음일 것이다.

 아들을 해병대 훈련소에 보낸 그 훈련병의 어머니도 마찬가지였을 것이다. 그 아들도 대부분 여느 젊은이와 같이 자신의 결정에 의해 해병대에 자원입대를 했다고 했다.

 콜렉트 콜로 걸려온 수신 상태가 좋지 않은 전화 음으로 인해 처음에는 잡음인 줄 알았지만 나중에 보니 아들의 목소리에도 터져 나오는 울음을 참는 모습이 역력했다는 이 어머니는 얼마 전 아들이 입대한 훈련병 그 기수(1129기)를 대상으로 한 TV프로그램 '해병은 살아 있다'(취재파일)를 보면서 밤을 설치며 한참을 훌쩍였다고 털어놨다.

 "지난 19일(12월) 밤 취재파일 4321 '해병은 살아 있다'를 보는데 우리 아들의 훈련 기수인 1129기 아들들에 대한 훈련 내용을 촬영한 거 에요. 비가 오는데도 총을 메고 진흙탕을 기어다니는 겁니다. 상의를 벗고 너무도 무거워 보이는 목봉인가 하는 것을 여러 명이 들고 하는 모습을 보면서 가슴이 떨려 제대로 보기가 겁이 났습니다. 그 날 지 외할머니도 울고 저는 한참을 훌쩍였답니다. 이게 부모의 마음인지요...."

 "아들 넘 전환 처음엔 떨리더니만 그래도 군기가 바짝 들어 있더라구여. 6주 훈련이 끝나고 수송병으로 백령도로 배치를 받았다는데, 다시 경산에서 4주 훈련을 받고 있고요, 오는 1/21일 백령도로 입도 한다네요. 요즘 연평도 사건도 있고 해서 마음은 심란한데 울 아들이 잘 하리라 믿는답니다."    

 전화 상으로 목소리만 들은 아들이었지만 예전과는 달라도 확연히 달라졌다고 밝힌 이 어머니는 해병대에 자원 입대한 아들을 처음엔 말렸지만 꺾이지 않는 고집에 결국 아들의 뜻을 받아주어야 했다고 적었다.

 최근 모 방송에서 인기 리에 방영되고 있는 드라마 '시크릿 가든'의 주인공 탤런트 현 빈 군이 해병대에 자원입대 키로 한 사실이 밝혀져 어제(13일)인터넷 상 뉴스의 한가운데 서기도 했다.

 연예인들의 병역 기피를 위한 꼴사나운 모습에 혀를 차던 네티즌들이 한 연예인의 영웅과도 같은 행동에 대리만족감을 형성하며 폭발적인 열기가 인터넷을 뜨겁게 달구게 한 것이다.  더구나 그의 입대가 연평도 포격 이후 결심한 것으로 알려져 더 대견하고 신선한 모습으로 다가오는지도 모르겠다.

 최근 김해진 특임차관의 외아들이 지난 3월 천안함 폭침이 일어나기 며칠 전 해병대 입대해 백령도 6여단에서 복무중인 것으로 확인되기도 했다. 이 또한 평범한 일상이지만 지도층 자제나 공인들의 병역 면탈 행위가 시시때때로 이어지는 시점에서 이게 진정 '노블레스 오블리주'(noblesse oblige)의 실천이 아닌가 생각된다.

 연평도 포격 이후 해병대를 자원하는 젊은이들이 평상시에 비해 갑절로 늘고 최근 들어서도 그 비율이 4대1을 넘게 몰리고 있다 하니 연약하게만 보였던 우리 젊은이들이 새삼 자랑스럽지 않을 수 없다. 

 해병대 입소해 극기(克己)속에 훈련중인 아들의 목소리에서 더 장한 아들로 성장해 가는 아들의 모습을 본 듯한 훈련병 어머니가 가슴 저림에도 "장한 내 아들"로 다가오는 것처럼 우리 모든 어버이 또한 동일한 마음이겠지만 힘든 해병대를 통해 미래를 향하는 젊은이들의 기상에서 밝은 내일의 미래 한국을 보는 것 같아 마음 더욱 든든해진다.

 '사랑하기 때문에 헤어진다'는 말이 역설적인 의미도 담고 있겠지만 '박수칠 때 떠난다'는 말이 바로 이런 즈음을 두고 하는 말이 아닌가 더 크게 다가오는가 한다.

KONAS 이현오 기자(holeekva@hanmail.net)





TAG •

  1. 소중한 인연 그리고 해병대 

    병영문화 혁신의 생활화·신념화 해병대교육훈련단 장병 소감문 / 국방일보 2011.10.25 김영삼병장 사람이 옷깃만 스쳐도 인연이라는 말이 있다. 군대는 전국 방방곡곡에서 이름도 얼굴도 처음 보는 사람들이 모여 동...
    Date2011.10.24 Views3825
    Read More
  2. 해병대 지휘관리 개선 법안 시행 - 보도자료

    - 해군 소위가 해병소위로 임관, 해병대 사령관 명의의 전역증 발급 - 합동참모회의에 해병대 관련 사항 심의 시 해병대사령관도 구성원으로 투표권 행사 - 해병대 복무기록 정본, 38년 만에 해병대사령부로 이관 ❍ ...
    Date2011.10.14 Views3523
    Read More
  3. 헬기타고 백령도 해병대 국감장에 가보니....

    해병대사령관, 해군본부 국감 배석하다 단독국감받아 뿌듯 해병대 인사ㆍ예산 독립 강화 속 “아직은 갈 길 멀다”목소리 천안함 46용사가 심청이처럼 부활해 남북화합의 연꽃이 된다면… 4일 오전 백령도 해병대 제6여...
    Date2011.10.05 Views3296
    Read More
  4. 강한 국군 그리고 더 큰 대한민국

    김상민 이병 해병대2사단 포병연대 빨간 날만이 특별한 날처럼 여겨지는 요즘 검은 날이지만 나에겐 특별한 10월의 첫째 날을 생각해본다. 2011년 10월 1일은 건군 제63주년 대한민국 국군의 날로 6·25전쟁 당시 전쟁...
    Date2011.09.29 Views1727
    Read More
  5. 지금 우리는 무엇을 해야하나?

    해병대가 6·25전쟁, 월남전 등 수많은 전투에서 얻은 명성은 하루아침에 이뤄진 것이 아니다. 창설 이후 60년 동안 수없이 많은 역경에서도 오늘이 있기까지 우리 선배들의 부단한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하였다. 천안...
    Date2011.09.22 Views3462
    Read More
  6. 땅 속 깊은곳 잠들어 있는 영웅들을 찾아서

    그때의 젊은 병사는 오늘 시신이 되어 돌아왔다. 지금까지 아무도 찾아주지 않는 차가운 땅 속에서 불편한 자세로 누워 있었던 그 젊은병사. 그의 시신은 이 나라가 물이 흐르듯 그렇게 유지되어온 나라가 아니라고 ...
    Date2011.09.22 Views2832
    Read More
  7. 해병대 병영문화 개선과 해외파병

    한동기 해병대 중령 / 국방대학교 PKO센터 요즘처럼 해병대가 대중 매체에 자주 오르내린 적은 베트남전에서 ‘신화(神話)를 남긴 해병’의 전공을 세운 이후로는 별로 없었던 것 같다. 좋은 일로 그래야 할 텐데, 그렇...
    Date2011.09.14 Views3181
    Read More
  8. 해병대 전문작가 김환기에게 듣는 스타 현빈, 해병 김태평

    지난해 말 연평도 포격 사건을 시작으로 총기 난사 사건, 그리고 현빈의 해병대 입대까지. 근래만큼 해병대가 사람들 입에 오르내렸던 적이 없는 것 같다. 3년 동안 포항과 김포, 서해 5도를 돌며 해병대를 취재해온 ...
    Date2011.09.02 Views3576
    Read More
  9. 국민기대 부응하는 병영문화 - 공정식

    공정식 전해병대사령관님께서 국방저널 9월회에 특별기고한 글입니다. 국방저털 전자북에서 캡춰하였습니다.
    Date2011.09.01 Views2676
    Read More
  10. No Image

    인천상륙작전의 강의안 - 김현기

    인천상륙작전의 강의안 / 해병대전략연구소 김현기 序 論 1. 연구 배경 ▲ 전장에서의 기습효과의 중요성 ㅇ 전장의 흐름을 주도할 수 있는 주도권 확보에 결정적으로 기여 ㅇ 기습의 파급효과 - 물리적 효과, 심리적 ...
    Date2011.09.01 Views4786
    Read More
  11. No Image

    통영상륙작전과 한국 해병대

    '한국군이 단독으로 수행한 최초의 상륙작전... 전세(戰勢)를 역전시키는 불씨를 지핀 전투" <코나스넷 김성만> 해병대는 6.25전쟁 당시 한국군 단독 상륙작전으로‘귀신 잡는 해병’이란 신화 탄생시킨 통영상륙작전 ...
    Date2011.08.25 Views2739
    Read More
  12. 통영상륙작전의 교훈

    국방일보 기고 2011.8.16 - 엄영환 해군중령 / 해군대학 상륙작전 교관 내일(17일)은 우리 해군·해병대가 통영상륙작전을 수행한 지 61주년이 되는 날이다. 이 작전은 6·25전쟁 초기 우리 국군이 단독으로 실시한 최...
    Date2011.08.15 Views3459
    Read More
  13. 해병대는 ‘상륙기동군’이고 싶다

    7월 4일 인천 강화도에 주둔한 해병대 2사단(청룡) 예하 부대에서 한 소대원이 동료 네 명을 쏴 숨지게 하자 “소수정예를 자랑하 는 해병대에서 어떻게 이런 일이 일어날 수 있느냐”는 탄식이 터져 나왔다. 군을 안다...
    Date2011.08.14 Views3605
    Read More
  14. 통영상륙작전 - 문화일보 오후여담 / 김종호 논설위원

    <문화일보 김종호 논설위원> 충무공 이순신 장군이 이끈 조선 수군(水軍)의 한산도대첩(閑山島大捷)은 진주대첩·행주대첩과 함께 임진왜란의 3대 대첩으로 일컬어진다. 1592년(선조 25년) 7월8일 한산도 앞바다에서 ...
    Date2011.08.08 Views4614
    Read More
  15. 서해5도 이상없다

    안승환 이병 / 해병대6여단 지난달 12일 한미연합기동훈련을 무사히 마쳤다. 이번 훈련은 대한민국 서해 최북단 백령도에 근무하는 한국 해병대와 미국 해병대가 함께 훈련을 받으며 서로의 기술을 공유하고 파트너십...
    Date2011.08.06 Views369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37 Next
/ 37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