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69108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첨부

해병대 70년사 625전쟁기

 

해병대와 6.25전쟁

 

해병대는 창설된 지 불과 1년 뒤인 1950년 6월 25일, 6·25전쟁이 발발하자 장항·군산·이리지구에 투입되어 적의 남진을 지연시켰고 진동리지구 전투에서는 전 장병 1계급 특진의 빛나는 영예를 차지하였으며 통영상륙 작전에서는‘귀신잡는 해병대’라는 영원한 애칭을 얻는 등 연전연승하였다. 특히, 북괴군의 발악적인 최후 공격으로 낙동강 전선이 위기에 처했을 때, 우리 해병대는 동년 9월 15일 한반도 전세를 완전히 역전시킨 인천상륙작전에 미 제1해병사단과 같이 참가하여 북진의 발판을 마련하였고, 9월 20일부터 수도 서울 탈환작전을 감행하여 중앙청에 태극기를 게양하는 수훈을 세웠다. 인천에서 함정으로 원산·함흥지역으로 이동, 분전하던 해병대는 중공군의 개입으로 철수하였고, 1951년 1·4후퇴 이후 국군과 유엔군이 반격전을 실시할 때 북진하던 중 적의 철옹성과 같았던 도솔산과 펀치볼 일대를 공격, 이를 탈취하여 이승만 대통령으로부터 ‘무적해병’ 휘호를 하사받고‘신인이 경탄할 공훈’이라는 격찬을 받았다. 한편, 해병대는 1951년 2월부터 동·서해안 전략도서 확보 작전을 수행하여, 휴전 뒤 서해 5개 도서를 아군의 통제 하에 두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1952년 3월, 중동부전선에서 서부전선으로 이동한 해병대는 장단(사천강)지구 전투를 1년 4개월 동안 수행하면서 중공군의 인해전술 공격을 격퇴하고 현 전선에서 휴전을 맞이하였다.

 

 

장항·군산·이리지구전투(1950. 7 .15. ~ 21.)

 

북괴군이 남침을 개시한 이후 북괴군 제6사단 제13연대는 1950년 7월 초천안을 점령하였고 서해안을 따라 남하하면서 호남지역으로 진입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우리 해병대의 고길훈부대는 제주기지를 떠나 7월 16일 군산에 상륙한 후 장항 북쪽으로 기습 공격을 감행하여 북괴군의 진출을 지연시켰고 7월 20일까지 군산, 이리 방면에서 적과 치열한 전투를 벌여적이 순조롭게 남하하지 못하도록 저지하였다.

 

장항 군산 이리지구 전투 전적비.jpg

장항 군산 이리지구 전투 전적비

 

 

진동리 지구 전투(1950. 7 .31. ~ 8. 13.)

 

1950년 8월 3일, 경남 진동리 서쪽 고사리에서 북괴군 제6사단 정찰대대에 기습공격을 감행하여 적 제6사단 공격의 예봉을 꺾고 침공을 저지, 창군이래 최대의 전공을 세워 전 장병 1계급 특진의 영예를 얻었다. 동년 8월 7일부터 미 육군 제25사단을 주축으로 편성된 킨(Kean)특수임무부대가 방어작전시 공세활동의 일환으로 진주 방향에 대규모 역공격(1950.8.7.~ 8.12.)을 실시하는 동안, 우리 해병대는 서북산 일대의 적을 격퇴하여 진동리와 마산 간의 보급로에 대한 적 위협을 완전히 제거함으로써 낙동강 방어선을 튼튼히 구축하는데 기여하였다.

 

진동리 지구전투 상황도.jpg

진동리 지구전투 상황도

 

 

통영상륙작전(1950. 8. 17. ~ 9. 22.)

 

낙동강 방어선에서 교착 상태에 빠진 북괴군은 거제도를 점령하여 전략요충지인 마산과 진해를 봉쇄하기 위하여 적 제7사단 예하 제51연대 1개 대대(약 370명)를 통영 방면으로 진출시켰다. 이후 약 250명의 적이 후속하여 통영 시내에는 약 600명의 적이 준동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우리 해병대의 김성은부대는 1950년 8월 17일 18:00에 7척의 해군 함정 지원 아래 장평리 해안에 한국군 최초의 단독 상륙작전을 감행하였다. 이 작전에서 해병대는 작전의 승패를 가름하는 망일봉 고지를 적보다 5분 먼저 점령하여 공격해 올라오는 적을 격퇴시킨 후 통영시내에 잔존하고 있던 적을 완전히 격멸하였다. 이후 원문고개를 점령하여 적의 퇴로를 차단하고 여러 차례에 걸쳐 증원을 시도하던 적 부대를 격퇴시킴으로써 낙동강 교두보선의 서측방 위협을 제거하였다. 통영상륙작전은 당시 우군의 낙동강 교두보 방어작전 중에서 한국군 단독 상륙작전이자 유일한 공격작전이었고 당시 뉴욕 헤럴드 트리뷴지의 여 종군기자인 마가렛 히긴스가 본국으로 타전한 기사에서 ‘귀신도 잡을 수 있는 부대’라고 격찬하여, 여기에서 유래된‘귀신잡는 해병대’라는 표어는 오늘날까지 우리 해병대를 대표하는 표어로 국민에게 기억되고 있다.

 

통영 상륙작전 상황도.jpg

통영 상륙작전 상황도

 

 

경인지구작전(1950. 9. 15. ~ 10. 7.)

 

국군과 유엔군이 낙동강 방어선에서 북괴군의 발악적인 최후 공세를 저지한 가운데 맥아더 장군은 병참선을 차단하여 남침한 적을 고립시킨 후 섬멸함으로써 조기에 전쟁을 종결한다는 계획 아래 1950년 9월 15일, 261척의 함정으로 구성된 유엔군 제7합동상륙기동부대가 미 제1해병사단과 한국 해병대를 선두로 세계 전사에 빛날 인천상륙작전을 전개하였다. 이 작전에서 제7합동상륙기동부대는 48시간 동안 항공모함 함재기 약 200대를 활용한 공중폭격과 함포사격을 실시하면서, 9월 15일 06:30에 미 제5해병연대 제3 대대가 20척의 상륙주정으로 녹색해안에 상륙, 저항하던 적을 완전히 격멸하고 월미도를 탈취·확보하였다. 동일 17:30 한·미 해병대가 400여 척의 상륙장갑차 및 상륙주정에 분승하여 적색해안과 청색해안에 상륙하여 인천을 방어하던 북괴군을 격파하고 인천 시가지와 해안두보를 탈취·확보함으로써 낙동강 전선에서 총반격작전을 실시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고 수도 서울을 조기에 탈환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였다. 해안두보를 확보하여 인천상륙작전을 성공적으로 완수한 미 제10군단은 9월 18일부터 서울 방향으로 진격하여 11일 동안 작전을 전개한 끝에 서울 외곽 지역과 시가지에서 저항하던 북괴군을 격멸하고 서울을 탈환하였다. 이 작전에서 미 제1해병사단과 한국 해병대는 선봉부대로 서울 서측방에서 중심부로 공격을 개시하였고, 미 육군 제7보병사단과 한국 육군 제17보병 연대는 서울 남측방과 동측방으로 우회기동하여 적의 퇴로를 차단하는 작전을 전개하였다. 한국 해병대는 9월 20일, 한강을 도하하여 수색방향으로 진격한 뒤 적의 최후방어선인 104고지와 연희고지군 일대에서 저항하던 적을 격파하여 수도 서울탈환에 결정적인 기여를 하였으며, 시가지 전투를 전개한 끝에 9월 27일 06:10, 중앙청에 태극기를 게양함으로써 90일 동안 적의 점령 아래 있었던 서울을 탈환하고 9월 29일, 이승만 대통령과 맥아더 장군이 참석한 가운데 역사적인 환도식을 거행하였다. 이후 양주군 북한강 일대에서 잔적을 소탕하다가 명에 의거, 인천으로 이동하여 차후작전을 준비하였다.

 

 



  1. notice

    해병대연혁

    1940년대 1949년 4월 15일 해병대 창설 경상남도 진해 덕산비행장 / 병력 - 해군에서 전과한 장병 380명 / 초대 사령관 - 해병대령 신현준 1949년 5월 5일 해병대領 공포 (대통령령 제 88호) 1949년 8월 1일 해병 제 ...
    Date2010.11.03 Views738453
    read more
  2. 해병대 진동리지구전투 전적비

    해병대 진동리지구전투 전적비 위치 : 경남 창원시 마산함포구 진북면 지산리 314-3 건립일자 : 1992.12.03. 건립기관 : 해병대사령부 <사진 임영식기자>
    Date2021.04.04 Views780727
    Read More
  3. 해병대창설 70주년

    해병대창설 70주년 대한민국 해병대는 1949년 4월 15일 진해 덕산비행장에서 380명의 소수병력으로 창설된 이래, ‘6ㆍ25전쟁’과 베트남전, ‘연평도 포격전’ 등 수많은 전투에 참전하여 특유의 전우애와 충성심을 바탕...
    Date2021.01.17 Views781225
    Read More
  4. 해병대주요행사 안내

    해병대주요행사 안내 ▶해병대창설기념행사 1949년 4월15일 진해 덕산비행장에서 소수의 병력과 열악한 장비로 출발한 이래 험난한 시련과 역경을 강인한 정신력과 인내심, 가족적인 단결과 투지로 극복하면서 '무적해...
    Date2021.01.15 Views778115
    Read More
  5. 해병대 70년사 기반조성기

    해병대 70년사 기반조성기 상륙지원단 창설(1994.4.4.) 1977년 1월 1일부로 제1해병사단 해안지원단으로 창설되었다가 1994년 4월 4일 해병대사령부 직할부대인 상륙지원단을 창설하였다. 이후 2014년 2월 4일부로 해...
    Date2021.01.14 Views777386
    Read More
  6. 해병대 70년사 해병대 재창설

    해병대 70년사 해병대 재창설 해병대사령부 재창설(’87. 11. 1) 해병대사령부 재창설(1987. 11. 1) 경제적 군 운용이라는 미명하에 해병대사령부 및 교육, 군수지원부대가 해체되어 해군에 14년간 통합 운용된 해병대...
    Date2021.01.14 Views777082
    Read More
  7. 해병대 70년사 시련과 도약기

    해병대 70년사 시련과 도약기 해병대 사령부 해체(’73.10.10) 군은 유신과업 수행을 위한 군 본연의 사명을 충실히 완수하고, 전투력 위주로 정비를 강화하여 자주국방 태세를 조속히 확립하며, 국가 자립경제 발전을...
    Date2021.01.14 Views697507
    Read More
  8. 해병대 70년사 베트남파병기 ②

    해병대 70년사 베트남파병기 ② 개선 및 파병 결과 베트남전을 평화적으로 종식시키기 위해 열린 파리평화협정이 진행되어 미 대통령인 닉슨이‘베트남 전쟁의 베트남전화 계획’을 추진하면서 이에 따라 철군계획을 발...
    Date2021.01.14 Views696554
    Read More
  9. 해병대 70년사 베트남파병기 ①

    해병대 70년사 베트남파병기 해병대 베트남전쟁 파병 1965년 8월 13일, 정부와 국회는 북베트남 침략에 직면한 자유베트남 공화국을 지원하기 위하여 한국군의 베트남 파병을 결정하였다. 이러한 결정에 따라 파병부...
    Date2021.01.14 Views695906
    Read More
  10. 해병대 70년사 전후정비기

    해병대 70년사 전후정비기 교육단 창설(1953. 2. 1.) 6·25전쟁 기간 중 교육훈련의 중요성을 절감, 독자적인 해병대의 장교, 부사관, 병을 양성하기 위하여 해병학교 및 해병훈련소를 기간으로 해병 교육단을 창설하...
    Date2021.01.13 Views693581
    Read More
  11. 해병대 70년사 625전쟁기 ②

    해병대 70년사 625전쟁기 ② 북진.철수.재 반격작전(1950년 10월 ~ 1951년 6월) 1950년 10월 1일, 국군과 유엔군이 38도선을 돌파하여 한·중 국경의 혜산진까지 북진할 때, 해병대는 10월 7일부터 대대별 순차적으로 ...
    Date2021.01.13 Views692501
    Read More
  12. 해병대 70년사 625전쟁기 ①

    해병대 70년사 625전쟁기 해병대와 6.25전쟁 해병대는 창설된 지 불과 1년 뒤인 1950년 6월 25일, 6·25전쟁이 발발하자 장항·군산·이리지구에 투입되어 적의 남진을 지연시켰고 진동리지구 전투에서는 전 장병 1계급 ...
    Date2021.01.13 Views691088
    Read More
  13. 해병대 70년사 해병대 창설기

    해병대 창설(1949.4.15.) 초대사령관 신현준 삼면이 바다인 우리나라의 지리적여건과 여·순사건의 전훈에 따라 상륙작전을 수행할 부대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1949년 4월 15일 진해 덕산비행장에서 상륙작전을 주 임무...
    Date2021.01.13 Views689925
    Read More
  14. 해병대교육훈련단 연혁 및 상징 편성

    해병대교육훈련단 상징 해병대교육훈련단 연혁 해병대교육훈련단 편성
    Date2021.01.13 Views479
    Read More
  15. 대전지방보훈청, 호국영웅알리기 프로젝트 강길영해병중위

    대전지방보훈청이 10일 호국영웅 알리기 프로젝트에 '강길영 해병중위'를 선정했다. 1930년 경북 상주군 출생인 강 중위는 6․25전쟁이 한창이던 1951년 9월에 소위 신분으로 강원도 양구 전방의 전술적 요충지 확보(...
    Date2017.05.10 Views2666
    Read More
  16. 미 해병도 실패한 도솔산 탈환 ‘무적해병’ 신화 창조

    도솔산 탈환 후 적정을 감시하는 해병대 용사들(1951년 7월) ‘귀신 잡는 해병’이라는 영광스러운 별명을 가진 대한민국 해병대! 그들은 참으로 용감했고 백적백승이었다. 인천상륙작전보다 먼저 한국 해병대 단독으로...
    Date2017.03.16 Views2700
    Read More
  17. 순직5인의해병(강대현.유중광.김규산.오경환.유문선)해병대장

    순직5인의해병(강대현.유중광.김규산.오경환.유문선)해병대장 순직5인의해병(강대현.유중광.김규산.오경환.유문선)해병대장 / 국가기록원 자료
    Date2017.01.13 Views2139
    Read More
  18. 해병대, 장단·사천강지구전투 전승행사… 참전용사 등 500여 명 참가

    6·25전쟁 당시 5000여 명의 병력으로 중공군 4만2000여 명의 거듭된 공격을 격퇴하며 수도권을 사수한 해병대의 대표적인 전투인 장단·사천강지구전투 전승행사가 지난 22일 경기도 파주시 임진각 전승기념비에서 열...
    Date2016.10.26 Views2124
    Read More
  19. 제66주년 서울수복 기념 해병대, 시청 앞 광장서 행사

    24일 오후 서울광장에서 열린 ‘제66주년 서울수복 기념행사’에서 6·25전쟁 당시 전투복을 입은 플라잉 요원들이 중앙청에 태극기를 게양했던 모습을 재연하기 위해 대형 태극기와 함께 하늘을 날고 있다. 해병대 제공...
    Date2016.09.27 Views2147
    Read More
  20. 9월의 호국인물 강길영 해병 중위

    전쟁기념관은 6·25전쟁 당시 924고지 탈환에 앞장서다 산화한 강길영(姜吉永·1930~1951) 해병 중위를 2016년 ‘9월의 호국인물’로 선정했다. 1930년 9월 경북 상주에서 태어난 강 중위는 1949년 해병대에 자원입대해 ...
    Date2016.09.19 Views602
    Read More
  21. 제주 해병대의 날 기념식

    해병대는 8월31일과 9월1일 양일간 제주 해병대의 날 기념식을 진행했습니다. 1950년 9월 1일 6ㆍ25전쟁 당시 인천상륙작전을 위해 제주항에서 출정식을 가진 3천명(여군 126명)의 해병들을 기념하기 위해 진행된 이...
    Date2016.09.01 Views98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10 Next
/ 10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