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1기생은 구축함 실습 중 임관돼 임관기념 사진이 없다. 졸업식도 2기생 입교식 날 더부살이처럼 가졌다. 60년이 넘은 해군사관학교 역사상 이런 일은 그것이 처음이자 마지막이었다.
그럴 만한 사유가 있었기 때문에 아무도 그걸 탓하는 사람은 없다.1기생 임관일은 1946년 12월 15일이다. 재학 중에, 그것도 승선실습을 하는 동안 그래야 할 까닭은 몰랐지만 일찍 임관한 것을 싫어할 이유는 없었다.
승선실습 중 임관 해사 역사상 처음
46년 9월 1일 국방경비대 군사영어학교(육사 전신) 일부 재학생과 졸업생 22명이 해방병단으로 전과해 진해로 내려왔다. 해군에도 영어에 능통한 요원이 있어야 한다는 군정청 방침에 따라 해군사관학교가 1개월 남짓 그들에게 해군 기본교육을 시키게 됐다. 교육이 끝나 임관시킬 때가 되자 손원일 제독은 잠시 혼란을 겪는다. 고민 끝에 그는 동시 임관 방침을 굳힌다.
파벌의식을 없애려면 생도 1기생과 같이 임관시키는 게 좋겠다고 생각한 것이다. 그래서 우리도 모르는 사이 임관이 된 것이다. 행정 실무자들 사이에 우리의 군번을 부여하는 문제 때문에 많은 곡절이 있었다는 소문이 있었다. 그러나 우리는 군번 같은 데는 아무도 신경을 쓰지 않았다. 실습훈련에 정신을 쏟느라고 그럴 겨를도 없었다. 내 군번은 해군 80125번이다.
내 앞 군번 124명은 모두 해방병단 출신이고, 사관학교 동기생 가운데서는 내 군번이 제일 빠르다.임관된 동기생은 모두 61명이었다. 편입생까지 합쳐 113명이었던 1기생 가운데 50% 조금 넘는 생도들만 임관된 것은 해군사관학교 운영의 엄격성을 말해 준다. 물론 개인 사정으로 자퇴한 사람도 있지만 의지 부족과 체력 미달이 중도탈락의 제일 큰 원인이었다.
우리가 구축함에서 내려 학교로 돌아온 것은 47년 1월이었다. 실습 중 임관된 것이 좋기도 하고 서운하기도 했다. 임관과 동시에 근무지가 결정돼 하나 둘 떠날 채비를 서두르는데 졸업식도 못하고 갈 수는 없다는 얘기가 나돌았다.몇몇 동기생들이 김일병 교장을 찾아가 졸업식을 건의하자 2기생 입교식 날로 절충이 됐다. 후배들이 들어오는 날 졸업식을 올린 첫 사례는 그렇게 생겨났다.
졸업식은 47년 2월 7일 진해시 앵곡동 새 교사에서 근사하게 거행됐다. 무엇보다 캠퍼스가 멋져 다들 좋아했다. 손제독의 오랜 노력으로 옛 고등상선학교 교사로 이전한 것이다. 졸업식에는 대통령 격인 러치 군정장관을 비롯해 국방부장관 격의 유동열 통위부장도 참석해 어깨가 으쓱했던 기억이 새롭다.
좌익사상 생도 많아 훈육 애먹어
나는 김광옥·김영관·김윤근·이기종과 함께 모교에 남게 됐다. 훈육관이라는 직책이었다. 2기생들 생활을 지도하는 임무였다. 훈육관 시절의 기억 가운데는 좌익계열 학생들 때문에 애먹은 일이 제일 선연하다. 당시 군정청은 사상의 자유를 보장한다고 해 좌익 활동을 단속하지 않았다. 그래서 좀 배웠다는 사람들 사이에는 좌익사상이 유행병처럼 번져 갔다.
이런 방침과 분위기를 이용한 북한은 남로당에 지령을 내려 갖가지 파괴·납치·교란전술을 자행했다. 그런 사회 분위기 탓에 사관생도들 가운데도 좌익사상을 가진 사람이 많아 훈육에 애를 먹었다. 사상문제로 말썽을 일으킨 사람들은 예외 없이 엄격한 처벌을 받았다. 2기생이 86명 입학해 48명이 졸업한 것은 그런 사정과도 연관이 있다.
한국 출신인 해밀턴 쇼 교관과의 추억도 잊을 수 없다. 평양에서 선교사의 아들로 태어난 그는 우리말이 유창했다. 한번은 그와 함께 짚을 타고 가는데 정문 위병이 “그 코쟁이 코 한번 더럽게 크네”하고 뒷말을 했다. 쇼가 즉시 차를 돌려 위병에게 다가가 “코가 커서 미안해요”하고 능청을 떨던 장면이 어제 일 같이 떠오른다. <공정식 前 해병대사령관/정리= 문창재·언론인>
6대 공정식
2011.01.28 01:51
바다의 사나이·영원한 해병-7-해군장교 임관
조회 수 4937 댓글 0
-
열병하는 김계환 해병대사령관
김계환 중장 신임 해병대 사령관과 김태성 중장 전임 해병대 사령관이 7일 해병대사령부 연병장에서 열린 제36·37대 해병대사령관 이·취임식 및 전역식에서 열병을 하고 있다. <사진= 해병대 사령부 제공>Date2022.12.22 Category37대 김계환 Views599831 -
김계환 해병대사령관, 서북도서 작전대비태세 점검
지난 12월8일~9일(금) 김계환 해병대사령관(겸 서북도서방위사령관)은 7일 취임 후 첫 공식 일정으로 서해 최북단 접적부대인 6여단 (백령도), 연평부대 (연평도)를 방문해 작전대비 태세를 점검 했다. 김계환 사령관...Date2022.12.12 Category37대 김계환 Views603635 -
김명환 제24대 해병대사령관 블로그
김명환 제24대 해병대사령관 블로그 안내입니다.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면 김명환 제24대 해병대사령관 블로그로 이동됩니다. http://www.haebyeong.com/rokmcDate2020.12.13 Category24대 김명환 Views666124 -
서울수복 63주년 참전용사 환영오찬 이호연사령관
서울수복 63주년 기념 참전용사 환영오찬 이호연사령관 / 2013년 9월 27일Date2017.01.23 Category31대 이호연 Views49344 -
이호연 전 해병대사령관 세계 4대 사막마라톤 ‘그랜드슬램’ 달성
이호연(예비역 중장) 전(前) 해병대사령관이 한국인으로는 11번째로 세계 4대 사막마라톤 ‘그랜드슬램’을 달성했다. 이 전 사령관은 지난달 21일부터 26일까지 개최된 제7회 남극마라톤대회(The Last Desert)를 완주...Date2017.01.08 Category31대 이호연 Views1185 -
제32대 해병대사령관 이영주 중장 취임
제32대 해병대사령관 제3대 서방사령관 이영주 중장 취임 / 해병대지 50호Date2013.12.12 Category32대 이영주 Views7338 -
1969년 강기천사령관 청룡부대시찰 및 훈장수여
1969년 강기천 해병대사령관 청룡부대시찰 및 훈장수여사진입니다. <사진 국가기록원>Date2012.09.02 Category7대 강기천 Views7728 -
최갑진해병대사령관 진급 및 보직신고
1988년 9월1 일 노태우대통령에게 진급 및 보직신고를 하고 있는 최갑진 제18대 해병대사령관 <사진 : 국가기록원 보존자료>Date2012.09.01 Category18대 최갑진 Views8580 -
이호연 해병대사령관, 백령도·대청도 초도순시
이호연 해병대사령관이 31일 첫 부대순시로 백령도를 방문, 장병들과 악수하며 격려하고 있다. 이 사령관은 이날 백령도와 대청도를 방문해 장병 및 지역주민들과 함께 서북도서 방어에 대해 논의했다. <사진 부대제...Date2011.10.31 Category31대 이호연 Views8144 -
이호연 제31대 해병대사령관 약력
안녕하십니까? 대한민국 해병대 홈페이지를 방문해 주신 네티즌 여러분! 진심으로 환영합니다. 우리 해병대는 1949년 4월 15일 소수의 병력으로 창설된 이래 6.25전쟁과 베트남전 등 생사를 넘나드는 전투를 치르며 ...Date2011.10.18 Category31대 이호연 Views5189 -
진급신고하는 이호연 해병대사령관
진급신고하는 이호연 해병대사령관 이명박 대통령이 17일 오전 청와대에서 최윤희 해군참모총장, 권오성 연합사 부사령관, 박성규 제1야전군사령관, 이호연 해병대사령관으로부터 진급신고를 받고 있다. 이명박 대통...Date2011.10.18 Category31대 이호연 Views4806 -
인천상륙작전전승행사 참석한 유낙준 해병대사령관
인천상륙작전전승행사 참석한 유낙준 해병대사령관Date2011.09.19 Category30대 유낙준 Views55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