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59.jpg


조선시대에는 활ㆍ칼ㆍ창ㆍ조총ㆍ총통 등 다양한 무기들이 사용됐다. 이들 전통무기들은 흔히 냉병기와 화약무기로 나눈다. 화약무기는 화약을 사용하는 조총·총통 등을 지칭하는 것이고, 냉병기는 화약무기를 사용하지 않는 칼ㆍ창ㆍ활 등을 의미한다. 여기에 갑옷이나 방패 등 방호구가 추가된다.

 냉병기와 화약무기, 방호구를 망라해서 이처럼 다양한 조선시대 전통무기를 종합적으로 소개하고 있는 책은 군기도설과 융원필비(戎垣必備·사진) 두 종류뿐이다. 이 중 군기도설은 국조오례의서례 내용 중 군례 편의 일부 항목에 불과한 것이기 때문에 한 권의 책이라고 표현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결국 융원필비는 조선시대 전통 화약무기와 냉병기, 방호구를 종합적으로 소개하는 유일한 책이라고 간주할 수 있는 셈이다.

 조선시대 무기 관련 서적 중 신기비결이나 화기도감의궤ㆍ화포식언해 같은 책들은 화약무기의 사용법이나 제조방법 등을 설명하고 있을 뿐 냉병기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는다. 훈국신조군기도설과 기계도설 같은 책에는 갑옷ㆍ활 등 상당수 냉병기와 방호구가 빠져 있어 조선시대 전통무기를 전반적으로 다룬 책이라고 말하긴 힘들다.
이에 비해 ‘융원필비’는 갑옷에서부터 칼·창·화약무기 등 조선 후기의 무기를 총망라해 조선시대 무기 종합백과사전이라고 할 만하다. ‘융원필비’에서 설명하는 무기와 장비는 천자총통과 조총 등 화약무기와 관련 장비 28종, 환도와 마병창 등 봉인류 14종, 활과 관련 장비 4종, 편곤 같은 타격무기 1종, 장패 같은 방패류 1종, 두정갑 같은 갑옷류 1종 등 모두 50여 종에 달한다.

 이처럼 수많은 전통무기를 소개하는 것만으로도 의미가 크지만 각 무기마다 그림을 첨부하고 있다는 점은 융원필비의 가치를 더욱 높여준다. 융원필비에 실린 무기 그림에는 크기와 무게 등 제원도 명시하고 있다. 구조가 복잡할 경우 전체 완성품의 그림과 함께 주요 부품을 분해한 상태의 분해도도 수록하고 있다.

 ‘병기도설’에도 그림이 첨부돼 있지만 조선 초기에 치우쳐 있다. 화약무기 전문 서적인 화포식언해에는 그림이 없고 화포에서 발사하는 발사체의 구체적인 규격이 누락돼 있다. 하지만 융원필비에 그림이 첨부되고 발사체의 규격도 상세히 묘사돼 자료적 가치에서 뚜렷한 차이가 있다.
특히 임진왜란 당시 개발된 혁신적인 신무기인 비진천뢰의 상세한 개념도 등은 융원필비에 처음으로 실렸다. 이런 점을 고려한다면 융원필비는 군사사 측면에서 우리나라 전통 무기를 연구하고 복원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되는 매우 귀중하고 희귀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한국 과학발달사를 연구한 원로 학자인 전상운 박사가 융원필비에 대해 “조선시대 화약무기 등 군사 기술의 내용을 그림과 글로 잘 설명하고 있는 보기 드문 책”이라고 강조한 것도 그 때문이다. “과학사 연구에도 귀중한 자료일 뿐만 아니라 게재된 그림의 정확성은 기술 서적으로서 높은 가치를 보여 준다”는 것이 전 박사의 평가다.

 한국과학사학회와 성신여대 출판부가 1986년 한국의 전통 과학문헌 중 고전으로서의 가치가 높은 책을 수집해 영인본을 펴내면서 융원필비를 포함시킨 것도 전통과학사에서 차지하는 융원필비의 중요성을 고려했기 때문이다. 이처럼 중요성을 지닌 융원필비는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의 강신엽 박사가 2004년 처음으로 우리말로 번역했다.

 융원필비는 국왕 순조의 외삼촌이자 정조ㆍ순조대 주요 요직을 역임한 관료였던 박종경(1765~1817)이 1812년 무렵 편찬했다. 박종경이 융원필비를 집필한 것은 1811년 발발한 홍경래의 난이 계기가 됐다.

 1812년 4월 19일 조선군은 홍경래군을 진압하는 데 성공했지만 나라를 뒤흔든 대규모 반란이 반년 가까이 지속될 정도로 조선군의 군비 태세가 허약하다는 사실은 고민거리였다. 군의 훈련태세, 무기, 어느 것 하나 제대로 된 것이 없다는 자괴감이 박종경을 괴롭혔다.

 군비 강화의 필요성을 절감한 박종경은 조정에 건의, 무기 제조를 위한 임시 부서인 감조도감(監造都監)을 설치했다. 총통·완구·비진천뢰·조총·비몽포 등 수많은 무기를 새롭게 제조하고 수리했다. 그때의 경험이 바탕이 돼 당시 제조하고 수리한 무기들을 설명한 책이 바로 융원필비다. 

<국방일보 김병륜 기자   lyuen@dema.mil.kr >


TAG •

  1. 육군 정보통신병과

    육군정보통신병과가 15일로 창설 65주년을 맞았다. 병과의 시작은 광복 이후 남한 내 군사조직의 창설과 함께했다. 1946년 6월 15일 남조선 국방경비대 총사령부 내에 통신과를 설치하고 경비대의 지휘통제 및 지원업...
    Date2011.06.14 By운영자 Views9682
    Read More
  2. 독일군의 국방개혁(상)

    독일 연방군은 1955년 창설 이래 여러 차례에 걸쳐서 변혁을 통해 새로 태어나는 것을 반복해 왔다. 통일 이후에는 대대적인 군사력 정비계획과 함께 국방개혁을 시작해 냉전시기에 유지하던 49만5000명의 군인을 90...
    Date2011.06.08 By운영자 Views3283
    Read More
  3. 인터넷에 올린 軍생활관 사진은 적법한가?

    <황보근 공군중령 국방부조사본부 사이버범죄수사과장> <국방일보 기고 2011.6.3 > 최근 인기 절정의 연예인 현빈 씨가 29세의 나이로 해병대에 자원 입대해 사격훈련 중인 사진이 인터넷에서 인기다. 이 사진에 댓글...
    Date2011.06.05 By운영자 Views5114
    Read More
  4. No Image

    한국 국방개혁 관련 법제화, 어떻게 추진되고 있는가?

    <국방일보 2011.6.1 > 오늘부터 ‘세계의 국방개혁’란을 10회에 걸쳐 연재합니다. 이 코너를 통해 우리의 국방개혁 관련 법률 내용 및 추진 계획과 함께 미국ㆍ대만ㆍ독일 등 세계 각국에서 진행됐던 국방개혁의 배경,...
    Date2011.05.31 By운영자 Views2994
    Read More
  5. 무선송전기술 - 미리보는 미래무기

    무선송전기술의 개념도. 이 기술은 올해 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이 선정한 10대 미래유망기술에 포함됐다. 얼마 전 아이와 광화문에 위치한 녹색성장체험관에 들른 적이 있다. 힘차게 펌프를 움직이면 오선지 상...
    Date2011.05.31 By운영자 Views5282
    Read More
  6. No Image

    한미 지휘관계와 조화

    상부지휘구조 개편은 2015년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에 대비해 우리 군이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대적 과업이다. 오늘은 상부지휘구조 개편에 따른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전후의 한미 지휘관계에 대해...
    Date2011.05.24 By운영자 Views3152
    Read More
  7. No Image

    군 장성 2015년까지 30여명 감축

    국방부, 국방군수본부(가칭)도 창설 추진 / 국방일보 이주형기자 2011.05.17 국방부가 추진 중인 상부지휘구조 개편에 따라 육군대장직 1개를 비롯한 30개 내외의 군 장성 직위가 2015년까지 감축된다. 또 물자와 비...
    Date2011.05.16 By운영자 Views3721
    Read More
  8. 합참 중심의 전구작전 지휘·수행체계 구축

    전작권 전환으로 안보 상황 새로운 변화 우리 군 주도 작전 수행위해 군 체계 정비 /국방일보 2011.05.17 2015년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은 우리 군 역사의 일대 전환점이라 할 수 있을 만큼 전혀 새로운 안보 상황의 변...
    Date2011.05.16 By운영자 Views4306
    Read More
  9. 육군3군단 특공부대, 한미 연합 공중강습훈련

    육군3군단 특공부대 장병들이 지난 13일 실시된 한미 연합 공중강습훈련에서 공중기동을 위해 미군의 UH-60 블랙호크 기동헬기에 탑승하고 있다. 육군3군단 특공부대는 지난 13일 강원 양구군 일대에서 육군항공작전...
    Date2011.05.16 By운영자 Views7377
    Read More
  10. No Image

    2011년 4월 15일 국방위원회 임시회의록

    제299회-국방소위제1차(2011년4월15일) 1 第299回國會 (臨時會) 國防委員會會議錄 ( 法律案審査小委員會) 第 1 號 (임 시 회 의 록 ) 國 會 事 務 處 日 時 2011年4月15日(金) 場 所 國防委員會小會議室 議事日程 1. ...
    Date2011.05.11 By운영자 Views4018
    Read More
  11. 1955년 보전포 협동공격 시범훈련

    보전포 협동공격 시범훈련이 1955년 5월 6일 광주 상무대 훈련장에서 펼쳐지고 있다. 보병 전투원과 전차 사이에서 휴대용 대전차 로켓 발사기인 바주카 포로 가상 적을 겨냥하고 있는 한 병사의 늠름한 모습에서 오...
    Date2011.05.10 By운영자 Views4078
    Read More
  12. 국군 최초 보유 전차 M36

    우리 육군은 6·25전쟁 개전 초 전차를 단 1대도 보유하지 못한 탓에 소련제 T-34 전차를 앞세우고 남침한 북한군을 상대로 고전을 면치 못했다. 우리 육군이 기갑전력 확보를 시급한 과제로 생각했음은 물론이다. 그 ...
    Date2011.04.28 By운영자 Views5238
    Read More
  13. 특별부대와 특수부대

    1946~48년 군수·특수부대 잇따라 창설 / 국방일보 2008.03.12 건군기 육군은 조선경비대 시기에 창설한 특별부대인 보급부대와 육군 개편 이후에 설치한 특수부대인 유격부대를 운용했다. 보급부대는 1946년 7월 1일 ...
    Date2011.04.28 By운영자 Views6242
    Read More
  14. 현충일의 제정

    평화에 대한 열망에도 불구하고 전쟁은 개인적인 호악(好惡) 여부와 무관하게 역사상 피할 수 없는 현실로 존재했다. 6·25전쟁 역 시 한국인의 모든 삶을 일시에 혼란과 고통의 나락으로 내몬 비극이었다. 그러나 자...
    Date2011.04.28 By운영자 Views3792
    Read More
  15. 부사관(하사관)제도의 발전

    전문간부 양성 차원 지원제도 강화 / 국방일보 2008.12.24 국군의 부사관(당시 하사관이라 칭함) 제도는 건군기 당시부터 존재해 왔다. 현역병에서 선발해 사단 하사관교육대에서 교육 후 하사로 임관했는데, 당시 병...
    Date2011.04.28 By운영자 Views586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20 Next
/ 20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