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391.jpg

무선송전기술의 개념도. 이 기술은 올해 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이 선정한 10대 미래유망기술에
포함됐다.

얼마 전 아이와 광화문에 위치한 녹색성장체험관에 들른 적이 있다. 힘차게 펌프를 움직이면 오선지 상의 바람개비들이 춤을 추고, 열심히 자전거 페달을 밟으면 에너지가 발생되는 것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정부 차원에서 주도적으로 추진되는 녹색기술은 국방에서도 그 관심과 이슈가 매우 큰 사항이다.

 배낭을 메고 걷기만 해도 전기가 발생될 수 있다면 얼마나 놀라운 일일까? 더군다나 전투원들이 유사시 전기공급을 받기 어려울 때, 또한 충전을 받을 수 있는 전기선들이 없을 때, 배낭의 운동에너지를 전기로 변환하는 기술과 무선송전기술은 이를 가능하게 해준다.

 미국 펜실베이니아대학교 연구진은 걸을 때 몸이 위아래로 움직여 발생하는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해 휴대폰, GPS 장비, 각종 디바이스들과 같은 이동형 장비에 배터리를 별도로 휴대할 필요 없이 야외에서 사용할 정도의 에너지인 7.4W의 전력을 생산하는 배낭을 개발했다고 한다. 이전에 신발에 장착된 장비는 비록 신발이 지면에 세차게 힘을 주지만 단거리이기 때문에 운동에너지의 양이 매우 작아 단지 20mW의 매우 적은 전력만을 생산할 수 있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처음으로 사람의 이동으로 상당한 양의 전기를 생산하는 배낭을 개발한 연구진은 걷는 동안에 발생하는 5~7㎝에 달하는 둔부의 위아래 움직임을 이용했다고 한다.

 연구진은 가방에 짐을 싣고 움직이면 둔부가 움직인 수직거리만큼 가방도 역시 움직이는 것을 밝혔으며, 37㎏의 가방을 5㎝ 높이는 데는 한 걸음당 18J의 기계적 일이 소요된다고 계산했으며, 이 기계적인 일이 전기로 변환되는 것이다.

 배낭은 등산객이 사용하는 것과 비슷한 단단한 프레임으로 만들어졌지만, 짐을 나르는 칸막이는 수직 스프링에 의해 프레임에 매달려 있다. 둔부의 움직임에 따라 가방 프레임이 위로 움직이게 되면 관성에 의해 가방과 짐의 움직임에 차이가 생기게 된다. 운동에너지는 톱니 모양의 선반을 짐 받침대에 부착시켜 톱니 기어가 프레임에 맞물리게 함으로써 얻어졌다.

 이 기어는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에 부착되고, 전기는 사용되거나 가벼운 재충전 배터리에 저장된다. 연구진에 따르면, 더 빨리 걷거나 무거운 짐을 이용함으로써 전기를 더 많이 생산할 수 있었다고 한다.

 이렇게 발생한 전기에너지를 선 없이 전기가 필요한 군 장비에 전송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그것이 바로 ‘무선송전기술’이다. 무선송전이란 선이 없이 전기를 보내는 기술을 의미한다. 지금 우리는 스마트폰을 이용해 영상과 음악 등의 데이터를 무선으로 주고받고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전기도 전선 없이 주고받을 수 있다. 만약 이 기술이 완성된다면 실내에서 가전제품의 코드 꽂을 곳을 찾아 헤맬 필요도 없어지겠으며 무거운 배터리도 휴대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러한 전자제품과 충전기를 전선으로 연결하지 않아도 충전이 되는 원리에는 ‘공명’의 원리가 이용된다. 다른 양의 물이 들어 있는 유리잔을 두드리면 서로 소리가 다른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각 유리잔의 ‘주파수가 다르다’고 할 수 있다. 이때 악기로 특정 유리잔과 같은 주파수의 소리를 내주면, 그 유리잔만 흔들리게 된다. 이것이 바로 ‘공명현상’이다.

 전기도 마찬가지로 전자기파(전자파)가 발생하는데, 이 전자파도 같은 주파수끼리는 공명하게 된다. 그래서 코일을 이용해 전기를 보내는 쪽과 받는 쪽의 주파수를 같게 한 후, 보내는 쪽에 전력을 공급하면 받는 쪽 코일로 전자파가 이동해 충전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거리가 조금만 멀어져도 효율이 크게 떨어지기 때문에 지금은 거의 붙어 있어야 하는 방식만 쓰고 있지만 이미 4~5m 거리에서 80~90% 효율의 무선송전 실험이 성공하는 등 기술이 발전하고 있어 머지않아 전선이 사라지는 시대가 올 것이다.

 얼마 전 북한의 연평도 포격도발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모든 기반시설이 파괴됐을 때 군의 원활한 작전을 위해서는 전기공급이 필수불가결한 사항이다. 이럴 때 전투원이 메고 있는 배낭을 통해 전기를 충전하고 무선송전기술을 통해 필요한 장비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면, 우리 군은 유사시 어떤 환경에서도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환경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서민우 국방기술품질원 선임연구원 / 국방일보 2011.5.31>



  1. 군 구조의 기본에 대한 이해<상>

    군 구조에 관한 논의에 있어서 아쉬운 것은 기본적인 개념, 용어에 대한 합의가 없이 구구한 논란만 하고 있다는 것이다. 기본에 대한 공감대 없이 이루어지는 논의는 무의미하다. 이 글은 군 구조를 논의하는 데 있...
    Date2011.03.28 By운영자 Views5424
    Read More
  2. No Image

    한국군 해외파견현황

    한국군 해외파견 현황(1월18일 기준)입니다. 한국군 해외파견 현황(1월18일).hwp
    Date2011.03.16 By운영자 Views4892
    Read More
  3. 작고 가벼운 게 신형 침낭 `세시봉<아주 훌륭함>' 따뜻하기까지…”

    특전사의 신형 기능성 침낭(왼쪽)과 구형 침낭(오른쪽)의 부피 차이. 신형 기능성 침낭은 좀 더 작은 부피로도 더욱 뛰어난 보온성과 방수성능을 확보했으며, 압축휴대주머니를 이용해 좀 더 간편하고 빠른 정리를 가...
    Date2011.03.14 By운영자 Views10614
    Read More
  4. 계룡대근무지원단 헌병대대

    계룡대근무지원단 헌병대대 신속대응팀 장병들이 차량 탑승하차 및 전개 훈련을 하고 있다. 전군에서 최초로 창설된 자전거 순찰대가 계룡대 영내 순찰활동을 하고 있다. 16일 오후 2시 계룡산 자락에 자리잡은 우리 ...
    Date2011.02.16 By운영자 Views16225
    Read More
  5. 융원필비 - 1812년 편찬한 조선시대 무기 백과사전

    조선시대에는 활ㆍ칼ㆍ창ㆍ조총ㆍ총통 등 다양한 무기들이 사용됐다. 이들 전통무기들은 흔히 냉병기와 화약무기로 나눈다. 화약무기는 화약을 사용하는 조총·총통 등을 지칭하는 것이고, 냉병기는 화약무기를 사용하...
    Date2011.02.16 By운영자 Views5858
    Read More
  6. 육군의 복장과 계급장

    육군 복장과 계급장 계급장의 의미와 형태
    Date2011.02.16 By운영자 Views14585
    Read More
  7. 여군 최초 천리행군의 주인공 특전사 김정아상사의 파병후기

    ’10년 8월 31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는 뜻 깊은 행사가 열렸습니다. 아시아기자협회가 자신의 안일과 이해관계를 넘어 의미 있는 가치와 행복을 추구하는 각계각층의 도전자를 찾아서 격려하는 행사, 이른바 “Cheer C...
    Date2011.02.14 By운영자 Views9113
    Read More
  8. 불만들기,불만드는법

    마그네슘 막대’ 비가 와도 가능 / 2009.02.13 지난 9일 경남 창녕에서 발생한 ‘화왕산 억새태우기’ 산불사고를 뉴스를 통해 접했다.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사망자들의 명복을 빌고, 유가족들에게 심심한 조의를 표하...
    Date2011.02.13 By강성호 Views9910
    Read More
  9. 기초생존의학

    응급처치는 상황 발생 후 5분 내에 / 국방일보 2009.05.29 누구나 한 번쯤은 자신이나 타인의 실수로 몸을 다치는 경우를 경험한다. 넘어지거나, 떨어지거나, 부딪히거나, 날카로운 물체에 베이거나 하는 등 외부 압...
    Date2011.02.13 By강성호 Views6910
    Read More
  10. No Image

    군사법원법 일부개정법률안

    의안번호 : 1810776 제안일자 : 2011년 2월 10일 제안자 : 대표발의 신학용의원 등 21인 발의의원 명단 강창일 김부겸 김상희 김성곤 김을동 김진표 김효석 백원우 신학용 안규백 양승조 이윤석 이윤성 이찬열 장병완...
    Date2011.02.12 By운영자 Views5871
    Read More
  11. No Image

    군인사법 일부개정법률안

    의안번호 : 1810765 제안일자 : 2011년 2월 10일 제안자 : 대표발의 신학용의원 등 21인 발의의원 명단 강창일 김부겸 김상희 김성곤 김을동 김진표 김효석 백원우 신학용 안규백 양승조 이윤석 이윤성 이찬열 장병완...
    Date2011.02.12 By운영자 Views5801
    Read More
  12. No Image

    군수품관리법 일부개정법률안

    의안번호 : 1810763 제안일자 : 2011년 2월 10일 제안자 : 대표발의 신학용의원 등 21인 발의의원 명단 강창일 김부겸 김상희 김성곤 김을동 김진표 김효석 백원우 신학용 안규백 양승조 이윤석 이윤성 이찬열 장병완...
    Date2011.02.12 By운영자 Views4945
    Read More
  13. No Image

    국방개혁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신학용의원 대표발의)

    국방개혁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 (신학용의원 대표발의) 의안번호 10764 발의연월일 : 2011. 2. 10. 발 의 자 : 신학용․김을동․양승조 홍사덕ㆍ이윤성ㆍ김성곤 조정식ㆍ홍영표ㆍ김상희 김진표ㆍ김효석ㆍ최영희 ...
    Date2011.02.12 By운영자 Views6382
    Read More
  14. 해병대독립 및 4군체제추진을 위한 국군조직법 일부개정법률안

    국군조직법 일부개정법률안 의안번호 : 1810762 제안일자 : 2011년 2월 10일 제안자 : 대표발의 신학용의원 등 21인 발의의원 명단 강창일 김부겸 김상희 김성곤 김을동 김진표 김효석 백원우 신학용 안규백 양승조 ...
    Date2011.02.12 By운영자 Views6307
    Read More
  15. K-1 교량전차

    <사진 국방홍보원 블로그 임영식기자> 전장에서 전투부대가 효과적으로 전투를 벌여 승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임무를 수행하는 병과, 바로 공병이다. 특히 전투공병은 기동지원, 즉 전투부대가 전장에서 기동력을 ...
    Date2011.02.08 By운영자 Views6315
    Read More
  16. 신형전투복

    Date2011.02.04 By운영자 Views12568
    Read More
  17. 위그선

    물의 저항없이 항공기만큼 빠르게 달리는 배 배가 가장 빨리 달릴 수 있는 한계는 얼마일까? 배는 꼭 물 위에만 달릴 수밖에 없는가? 그동안 물 위를 달리는 고속함의 속력은 80~90㎞/h로 한계가 있는데 이는 배가 물...
    Date2011.01.25 By운영자 Views4026
    Read More
  18. No Image

    군인복제령 일부개정령안 입법예고

    군인복제령 일부개정령(안) 입법예고입니다. 입법예고 기간은 '11.1.24.~'11.2.13.이며, 주관부서는 국방부 병영정책과(02-748-5167)입니다. 자세한 사항은 붙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국방부 공고 제2011-21호 ...
    Date2011.01.24 By운영자 Views521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 17 Next
/ 17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