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592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첨부

전문간부 양성 차원 지원제도 강화 / 국방일보 2008.12.24

 

국군의 부사관(당시 하사관이라 칭함) 제도는 건군기 당시부터 존재해 왔다. 현역병에서 선발해 사단 하사관교육대에서 교육 후6-1.jpg 하사로 임관했는데, 당시 병장 계급이 없었으므로 주로 일등병에서 충원했다. 그러나 인사관리 측면에서 보면 부사관은 상당 기간 사병의 인사관리와 구분돼 있지 않았다.

전쟁기의 혼란한 상황을 거쳐 비로소 1953년 경력관리를 위해 1년 전 장교에게 부여한 주특기(MOS) 제도를 사병에게 적용했다. 그리고 55년 사병 만기제대에 따라 부사관 확보를 위한 복무자 획득을 시도해 2300명을 획득하기도 했다. 56년 6월에는 부사관 모집에 5000여 명이 응시해 2378명을 선발했으며, 다시 그해 7월에는 사병·민간인으로부터 장기복무자 획득을 위한 인력충원 계획을 수립했다. 그러나 61년 군 개혁까지 부사관제도는 큰 변화가 없었다.

1961년 1군하사관학교(원주), 66년 2군하사관학교(여산), 73년 3군하사관학교(가평)가 창설됐다. 각 하사관학교에서 부사관을 양성해 임용함으로써 부사관 양성과 진급 임용으로 부사관을 획득하게 됐다. 당시 대상자를 중졸 이상으로 제한했는데, 77년부터 모집자격 기준을 고졸 이상으로 상향 조정했다.

특히 62년 1월 10일 군인사법을 개정해 하·중·상사의 3단계 계급 운영과 45세까지 복무하는 연령 정년 제도를 시행, 부사관의 직업제도화를 실행했다. 이어 67년 3월 1일에는 부사관과 병을 대표하는 주임상사 제도를 제정해 주임상사를 핵심으로 하는 부사관단의 활동지침이 마련됐다.

한편 카투사 부사관 제도는 64년 11월 종래 심사선발 방식과 달리, 선발 기준에 따라 지휘관 재량에 의거 차출토록 개선했다. 그리고 68년 6월에는 부사관의 신속한 전역을 위해 1·2군사령관에게 전역권을 위임했고, 69년부터 각군 사령관 및 진급권 부대장의 지휘관 평가를 반영한 능력 본위의 선발 기준을 적용, 각 부대에서 선발해 진급시킬 수 있도록 개선했다.

또 67년 4월 1일 사병의 군번관리를 단일화하고 부사관의 권익 신장을 위해 기존 부사관과 신규임용 부사관에 대해 부사관 고유의 신군번으로 변경, 부여했다. 그리하여 종래 6·25 이전에 사용하던 연대 단위 및 사단 단위로 7계단 군번의 53종과 전쟁 이후 교육대·훈련소 단위로 부여한 7계단(혹은 8계단) 97종이, 당시 복무 부사관 4만6000명에게는 80000001번으로, 그리고 67년 1월 1일 이후의 신규 임용자에게는 80050001번부터 연간 1만1000명에게 부여했다.

이러한 부사관 제도에 일대 전기를 마련한 것이 ‘하사관종합발전계획’이었다. 98년 7월 2일 대통령에게 보고된 계획은 현재와 미래의 전장환경에 부합하고 군 전투력 발전에 부응할 수 있는 정예부사관의 기능과 역할을 재정립해 군 하부구조를 강화하기 위한 부사관 획득제도 및 양성, 보수교육 개선, 각종 복제 개정 및 신분명칭 개선 등을 포함한 내용이었다.

2000년 12월 26일 법률 제6290호에 의거, 종래의 ‘하사관’이란 명칭이 ‘부사관’으로 변경됐다. 현재 부사관 제도는 군의 근간을 이루는 전문간부 양성 차원에서 인원의 증원 및 지원제도를 강화해 나가고 있다.

<백기인 군사편찬연구소 책임연구원>



  1. No Image

    군인복제령 일부개정령안 입법예고

    군인복제령 일부개정령(안) 입법예고입니다. 입법예고 기간은 &#039;11.1.24.~&#039;11.2.13.이며, 주관부서는 국방부 병영정책과(02-748-5167)입니다. 자세한 사항은 붙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국방부 공고 제2011-21호 ...
    Date2011.01.24 By운영자 Views5245
    Read More
  2. [대한민국 특수부대 '일당백'의 비밀] 6일 잠 안자고… 지휘관 옆에 과녁 놓고 실사격 훈련하는 '인간병기'

    육군 707특수임무대… 암실에서 실탄 사격훈련 해군 UDT/SEAL… 85㎏ 보트 머리 이고 식사 공군 CCT &#039;붉은 베레&#039;… 707·UDT 훈련 모두 거쳐 세계 정상급 인정 받지만 일부 장비는 미군에 의존해군 최정예 특수부대인 UDT...
    Date2011.01.24 By해순이 Views7823
    Read More
  3. 아이티 지진 1년과 단비부대

    최소 23만 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산되는 아이티 대지진 참사가 12일로 발생 1주년을 맞는다. 대지진 이후 자연재해와 콜레라 등이 계속되고 있지만 우리나라가 `분쟁지역&#039;이 아닌 `구호지역&#039;에 처음 파견한 해외파병...
    Date2011.01.10 By운영자 Views6655
    Read More
  4. 1975년도 반공만화 공모전 1등 수상작

    북한이 우리의 안보를 지속적으로 위협하던 1970년대는 우리에게 반공과 승공의식이 무엇보다 필요했다. 육군9885부대가 실시한 반공만화 전시 공모작품에서 1등상을 받은 작품으로, 북한군의 땅굴 도발을 섬뜩하게 ...
    Date2011.01.04 By운영자 Views5634
    Read More
  5. 군인봉급 6.49% 인상 - 군인월급표, 군인봉급표

    ●사관생도:1학년 241,500원, 2학년 271,500원, 3학년 300,600원, 4학년 377,700원 ●사관후보생·입영훈련 중인 학생군사교육단 사관후보생:300,600원, 부사관후보생:124,400원 ●본인의 지원에 의하지 아니하고 임용된 ...
    Date2011.01.04 By운영자 Views11545
    Read More
  6. 현역병 복무기간 변천표

    &lt;국방백서 2010&gt;
    Date2011.01.02 By운영자 Views12133
    Read More
  7. 남북한군사력 비교표 - 국방백서 2010

    2010년 국방백서 남북한군사력비교 - 2010년 11월기준 - 남북 군사력 비교를 위해 육군 부대·장비 항목에 해병대 부대·장비도 포함하여 산출함 - 한군 야포문수는 보병 연대급 화포인 76.2㎜를 제외하고 산출함 - 질...
    Date2010.12.30 By운영자 Views11303
    Read More
  8. 2011년도 북한정세와 남북관계 전망 <국가안보전략연구소 보고서>

    해병대 연평부대 장병들이 해무가 잔뜩 낀 해안도로를 따라 순찰활동을 벌이고 있다. 연평도=박흥배 기자 국가정보원 산하 국가안보전략연구소는 최근 ‘2010년 정세평가와 2011년 전망’이라는 연례 정세전망 보고서를...
    Date2010.12.29 By운영자 Views4601
    Read More
  9. 화물용낙하산

    Date2010.12.29 By운영자 Views4703
    Read More
  10. K307 155㎜ 곡사포용 항력감소 고폭탄

    최대 사거리 40㎣ K-9과 궁합 맞추면 천하무적 / 국방일보 2010.12.27 K307 155㎜ 항력감소 고폭탄 국방기술품질원과 생산업체인 풍산 관계자가 155㎜ 곡사포탄의 품질보증 활동을 하고 있다. 야포의 사거리 연장은 ...
    Date2010.12.26 By운영자 Views12301
    Read More
  11. 언론재단 토론회 지상중계

    연평도 포격도발 이후 군과 언론이 국익과 국민의 알 권리 사이의 적절한 타협점을 찾아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특히 전문가들은 무분별한 군사기밀 노출을 방지하면서도 민주주의의 원동력인 언론의 자유를 ...
    Date2010.12.26 By운영자 Views4590
    Read More
  12. 국군방송 위문열차 공개방송 `출발'

    1961년 12월 17일 당시 최고의 여자 가수였던 박재란 씨가 KBS 홀에서 열린 국군방송 위문열차 공개방송에서 노래하고 있다. 그해 10월 첫 방송을 한 위문열차는 이후 한 주도 거르지 않고 방송해 왔으며, 지난 9월 3...
    Date2010.12.19 By운영자 Views5352
    Read More
  13. 2011년 국방예산 주요 내용

    &lt;K-200 장갑차, K-277 지휘장갑차, KF-16 전투기 등과 함께 성능개량 예산이 배정된 K-55 자주포. 국방일보 사진DB&gt; 8일 국회 본회의에서 확정된 2011년 국방예산은 북한의 연평도 포격도발과 천안함 피격사건에 따른...
    Date2010.12.10 By관리자 Views4537
    Read More
  14. 2011년 국방예산 31조4천억

    국방부는 “국회 본회의 예산안 통과로 최종 확정된 국방예산 규모는 31조4031억 원”이라고 9일 밝혔다. 국방부는 이날 “최종 확정된 2011 국방예산 규모는 올해 대비 6.2% 증가한 31조4031억 원”이라며 “그중 국방부 ...
    Date2010.12.10 By관리자 Views6153
    Read More
  15. No Image

    국방부 군가산점 제도 재도입 안내자료

    정책고객님, 안녕하십니까? 오늘은 국방부 인사복지실에서 적극 추진하고 있으며, 최근 각계에서 논의되고 있는 &#039;군 가산점 제도 재도입&#039;에 관하여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군 가산점 제도가 1999년 헌법재판소의 위헌...
    Date2010.12.07 By관리자 Views6789
    Read More
  16. No Image

    특수임무수행자 보상에 관한 법률 시행령

    특수임무수행자 보상에 관한 법률 시행령 [시행 2010.11. 2] [대통령령 제22467호, 2010.11. 2, 타법개정] 국방부(국방정보본부 기획행정조정실), 02-748-2199 제1조(목적) 이 영은 「특수임무수행자 보상에 관한 법...
    Date2010.12.06 By관리자 Views5655
    Read More
  17. No Image

    한미 국방협력지침

    2010년 10월 4일 제42차 SCM시 발표한 한미간 국방협력지침입니다. 101009-국방협력지침 최종안[1].hwp
    Date2010.12.06 By관리자 Views3963
    Read More
  18. No Image

    군비통제세미나 발표 및 토론 내용 요약자료

    제20회「국제군비통제세미나」발표 및 토론 내용 요약입니다. - 주제 : 천안함 사건 이후 한반도 문제의 현주소와 전망 - 일시/장소 : 2010.9.30/서울프라자호텔 - 주관 : 국방부/국방연구원/국방대 공동개최 군비통...
    Date2010.12.06 By관리자 Views414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7 Next
/ 17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