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장 싸워 이길 수 있는 군대  쾌속 질주 / 국방일보 2011.12.23

 

34627.jpg

해병대1사단 장병들이 고무보트(IBS)를 타고 기습상륙훈련을 하고
 있다. 올 한 해 전군은 전투형 군대 육성의 열기로 뜨거웠다. 국방
일보 DB

 

 올 한 해 최일선 야전부대부터 정책부서에 이르기까지 전투형 군대 육성의 열기는 그 무엇보다 뜨거웠다. ‘싸우는 방법대로 훈련하고, 훈련한 대로 싸운다’는 모토 아래 우리 군은 전투임무 위주의 실전적 교육훈련에 집중했다. 김관진 국방부장관 취임 이래 가장 역점을 두고 있는 핵심과제가 바로 ‘당장 싸워 이길 수 있는 전투형 군대 육성’이다.     

◆ 교육훈련체계 개선  

 전투형 군대 육성의 성과는 야전부대에서부터 나타났다. 우선 신병교육이 5주에서 8주로 늘어나면서 신병들의 전투기술 향상 성과가 뚜렷하다. 신병들의 체력단련 요망수준 달성률은 2010년 58.1%에서 2011년 87.3%로 높아졌다. 개인화기사격 요망수준 달성률도 81.3%에서 90.1%로 향상됐다. 요망수준 자체가 체력단련 4급 이상에서 3급으로, 행군거리도 30㎞ 완주에서 40㎞로 높아졌지만 목표 달성률이 오히려 더 높아진 것은 더욱 고무적이다.

 육군 관계관들은 “5주 동안의 신병 기본교육은 사복 입은 민간인을 군인으로 만드는 군인화 기간이라면, 좀 더 심화된 교육을 하는 3주 동안은 진정한 전투원으로 만드는 기간”이라며 늘어난 3주의 효과에 대해 강조하고 있다.

 간부 능력 극대화를 위한 간부자격 인증제, 측정식 합격제, 임관종합 평가제 등도 시행 또는 시범 적용하면서 전투형 군대 육성의 밑거름이 되고 있다. 간부 교육에 시범 적용된 전술담임교관제도 전투력 창출에 기여하고 있다. 특히 새해 1월 1일부터는 임관종합 평가제, 전투자격 인증제를 본격적으로 시행하는 등 유능한 간부 육성을 위한 학교교육체계 개선방안을 본격 적용할 예정이다.

 전 장병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개인전투력 평가도 가시적 성과가 나왔다. 올해 상반기에 육군에서 실시하는 개인전투력 평가 결과 육군의 목표인 ‘전투프로 이상 부대원 30% 육성’을 달성한 부대가 전체 부대의 98%를 차지했다.

 전투임무 위주의 실전적 교육훈련을 정착시키기 위한 노력도 많이 이뤄졌다. 일례로 마일즈 장비를 이용한 실전적 전술훈련 강화 지침도 지난 5월 19일 하달했다. 관련 예산도 편성돼 예산안이 국회를 통과할 경우 내년부터 중대급 마일즈 장비 확대 보급이 본격적으로 시작될 전망이다. 사(여)단장 중심의 창의적인 교육훈련체계 정착도 올해 중점적으로 추진했던 사안 중 하나다.  

 ◆ 야전부대 행정 간소화

 올해 국방부는 교육훈련에 집중할 수 있는 여건 조성에도 상당한 관심을 기울였다. 대표적인 것이 행정 간소화다. 지난 2월 1일 전투임무 위주의 행정업무 간소화 추진계획이 수립·시달된 후 육군 대대급 부대의 보유 서류는 59건에서 26건으로 줄었다.

 특히 북방한계선(NLL) 등 최일선에서 뛰는 해군 고속정의 경우 89건에서 51건으로, 해군 초계함(PCC)도 94건에서 45건으로 줄었다. 공군 비행대대도 44건에서 13건으로 보유 서류를 감축했다.

 ‘일하는 방식’ 그 자체를 개선하는 노력도 강도 높게 이뤄졌다. 구두 보고를 활성화하고 문서 보고의 경우에도 분량을 줄이려는 노력이 확산되고 있다. 국방부의 경우 지난 3월 4일 국방부 위임전결 훈령을 개정해 장관의 결재 비율은 5.7%에서 4.0%로 줄였다. 또 4월 28일에는 과장급 이상 전자결재율을 성과평가에 반영하도록 결정해 전자결재를 활성화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국방기획관리 및 문서체계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도 이뤄졌다.

 지난 3월 31일 상급부대 중복 검열방지 지침을 시달하는 등 검열과 지도 방문에 따른 예하 부대의 부담도 줄였다. 국방부 관계관은 “단순히 일이나 행정업무를 줄이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야전부대가 전투준비와 교육훈련에 집중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는 것이 목표”라며 “정책부서도 일하는 방식 개선으로 업무 추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 전투지원체계 개선  

 전투장비 가동률을 높이기 위한 노력도 강도 높게 이뤄졌다. 국방부는 지난 1월 장비 가동률의 산정기준을 대폭 강화해 ‘즉각 전투임무 수행이 가능한 상태의 장비’로 정하고, 조정된 기준을 3월 1일부터 시행 중이다. 이후 전투장비 전투수행 능력을 대대적으로 검증해 육·해·공군의 주요 전투장비가 가동률이나 전투수행 능력 측면에서 문제가 없는지 확인했다.

 2012년 예산안을 편성하면서 수리부속 예산구조를 장비별로 편성하도록 개선해 효율적 장비관리 기반도 조성했다. 수리부속관리센터 설립을 추진하는 등 수요 예측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조치도 다각도로 추진 중이다. 이 같은 노력을 통해 효율적인 수리부속 재고관리가 가능하도록 하고, 결과적으로 가동률을 높여 국방경영 효율화나 전투형 군대 육성 등 두 가지 측면에서 긍정적 효과를 거둘 전망이다. 상용품 적용 확대도 추진해 예산을 절감하면서도 장비 확보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적정 수준의 전쟁 지속 능력을 보장할 수 있도록 탄약지원체계도 개선됐다. 다양한 국가와 탄약 지원을 위한 상호 호환성 데이터베이스를 구축, 탄약 취급 장비의 능력과 편제도 보강했다. 국방부 관계관은 “전투지원체계 개선은 교육훈련 강화, 일선 부대의 행정 부담 경감과 맞물려 야전부대의 전투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해 전투형 군대 육성의 실질적 기반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  정신교육 강화-장병 눈높이에 맞춘 맞춤형 콘텐츠 제공

 올 한 해 장병들의 정신전력도 크게 강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국방연구원(KIDA)이 지난 3월과 11월 두 차례에 걸쳐 각각 우리 군 간부 1200여 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간부 중 90%가 “적과 싸워 이길 수 있다”고 답했다. 국방대 안보문제연구소가 현대리서치연구소에 의뢰해 장병 1667명을 대상으로 지난 9월 조사한 결과 “주한미군이 한국 안보에 중요하다”는 답변도 92.7%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1년을 기준으로 본인의 안보의식 수준이 높다고 답한 장병들의 비율도 꾸준히 증가하는 등 장병들의 안보의식 강화 추세는 뚜렷하다.

 이처럼 장병들의 안보의식이 높아지고 정신전력이 강화된 것은 우선 지난해 천안함 피격사건, 연평도 포격도발 등 안보문제를 근본적으로 성찰할 수 있는 사건이 발생했기 때문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여기에 국방부 차원의 강도 높은 정신교육 강화 방침도 주효했다는 평가다. 국방부 관계관은 “올 한 해 장병 눈높이에 맞춘 동영상과 파워포인트 자료,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는 등 정신교육 혁신을 통해 장병들의 정신무장 강화를 위해 노력해 왔다”고 설명했다.

 이 밖에 국방부는 올해 신병과 부대 정신교육을 혁신하고, 장병 정신교육 지원활동과 국민 안보교육 지원활동에 중점을 두고 업무를 추진했다. 또한 정훈장교 워크숍과 학군단 정신교육 교관 대상 워크숍을 국방부 차원에서 시행해 교관 요원의 전문성 향상을 뒷받침했다. 지난 11월 국방부가 군과 공무원, 기업 관계자와 학자들까지 참여한 정신교육방법 혁신토론회를 개최하는 등 교육 방법을 질적으로 높이기 위한 노력도 연중 계속됐다.  <김병륜기자>



  1. No Image

    군사기밀보호법

    군사기밀 보호법 [시행 2011. 6. 9] [법률 제10792호, 2011. 6. 9, 일부개정] 국방부(국방정보본부 보안정책과), 02-748-2341 제1조(목적) 이 법은 군사기밀을 보호하여 국가안전보장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
    Date2011.07.22 By배나온슈퍼맨 Views5944
    Read More
  2. No Image

    국군사이버사령부령

    국군사이버사령부령 [시행 2011. 7. 1] [대통령령 제23006호, 2011. 7. 1, 제정] 국방부(조직관리담당관실), 02-748-6563 제1조(설치) 국방 사이버전(戰)의 기획, 계획, 시행, 연구·개발 및 부대 훈련에 관한 사항을 ...
    Date2011.07.22 By배나온슈퍼맨 Views4365
    Read More
  3. 황보현 영도부대 해상대 부대장 - 내가 겪은 6·25

    군번도 계급도 없었다. 그저 주어진 임무를 완수하겠다는 마음뿐. 부대 위치는 부산 영도 태종대, 북한에는 19번이나 다녀왔다. 매순간이 사선(死線)의 연속. 아직도 그때 그 시절의 전투가 또렷이 떠오른다. 6ㆍ25전...
    Date2011.06.28 By운영자 Views5405
    Read More
  4. 美처럼 독립조직에 軍전문가 둬야 명품무기 개발

    명품 무기를 만들기 위해서는 설계·제작 능력에 걸맞은 수준의 무기 시험평가 능력을 갖추는 것이 필수다. 사진은 함대함 미사일인 해성 발사시험 모습. 우리 육군의 차기 전차가 될 K2 흑표가 전자파 간섭 시험을 받...
    Date2011.06.27 By운영자 Views4207
    Read More
  5. 훈련용 수류탄

    Date2011.06.27 By운영자 Views7407
    Read More
  6. 군인정신 6대 요소

    연평도 포격도발 시 대응 사격을 준비하는 해병대원 ◆토의 주제◆ 주제 1:군인정신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지 얘기해 보자. 주제 2:군인정신을 확립하고 실천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토의해 보자. 지난해 11월 26일, ...
    Date2011.06.14 By운영자 Views20330
    Read More
  7. 육군 정보통신병과

    육군정보통신병과가 15일로 창설 65주년을 맞았다. 병과의 시작은 광복 이후 남한 내 군사조직의 창설과 함께했다. 1946년 6월 15일 남조선 국방경비대 총사령부 내에 통신과를 설치하고 경비대의 지휘통제 및 지원업...
    Date2011.06.14 By운영자 Views9682
    Read More
  8. 독일군의 국방개혁(상)

    독일 연방군은 1955년 창설 이래 여러 차례에 걸쳐서 변혁을 통해 새로 태어나는 것을 반복해 왔다. 통일 이후에는 대대적인 군사력 정비계획과 함께 국방개혁을 시작해 냉전시기에 유지하던 49만5000명의 군인을 90...
    Date2011.06.08 By운영자 Views3283
    Read More
  9. 인터넷에 올린 軍생활관 사진은 적법한가?

    <황보근 공군중령 국방부조사본부 사이버범죄수사과장> <국방일보 기고 2011.6.3 > 최근 인기 절정의 연예인 현빈 씨가 29세의 나이로 해병대에 자원 입대해 사격훈련 중인 사진이 인터넷에서 인기다. 이 사진에 댓글...
    Date2011.06.05 By운영자 Views5114
    Read More
  10. No Image

    한국 국방개혁 관련 법제화, 어떻게 추진되고 있는가?

    <국방일보 2011.6.1 > 오늘부터 ‘세계의 국방개혁’란을 10회에 걸쳐 연재합니다. 이 코너를 통해 우리의 국방개혁 관련 법률 내용 및 추진 계획과 함께 미국ㆍ대만ㆍ독일 등 세계 각국에서 진행됐던 국방개혁의 배경,...
    Date2011.05.31 By운영자 Views2994
    Read More
  11. 무선송전기술 - 미리보는 미래무기

    무선송전기술의 개념도. 이 기술은 올해 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이 선정한 10대 미래유망기술에 포함됐다. 얼마 전 아이와 광화문에 위치한 녹색성장체험관에 들른 적이 있다. 힘차게 펌프를 움직이면 오선지 상...
    Date2011.05.31 By운영자 Views5282
    Read More
  12. No Image

    한미 지휘관계와 조화

    상부지휘구조 개편은 2015년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에 대비해 우리 군이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대적 과업이다. 오늘은 상부지휘구조 개편에 따른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전후의 한미 지휘관계에 대해...
    Date2011.05.24 By운영자 Views3152
    Read More
  13. No Image

    군 장성 2015년까지 30여명 감축

    국방부, 국방군수본부(가칭)도 창설 추진 / 국방일보 이주형기자 2011.05.17 국방부가 추진 중인 상부지휘구조 개편에 따라 육군대장직 1개를 비롯한 30개 내외의 군 장성 직위가 2015년까지 감축된다. 또 물자와 비...
    Date2011.05.16 By운영자 Views3721
    Read More
  14. 합참 중심의 전구작전 지휘·수행체계 구축

    전작권 전환으로 안보 상황 새로운 변화 우리 군 주도 작전 수행위해 군 체계 정비 /국방일보 2011.05.17 2015년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은 우리 군 역사의 일대 전환점이라 할 수 있을 만큼 전혀 새로운 안보 상황의 변...
    Date2011.05.16 By운영자 Views4306
    Read More
  15. 육군3군단 특공부대, 한미 연합 공중강습훈련

    육군3군단 특공부대 장병들이 지난 13일 실시된 한미 연합 공중강습훈련에서 공중기동을 위해 미군의 UH-60 블랙호크 기동헬기에 탑승하고 있다. 육군3군단 특공부대는 지난 13일 강원 양구군 일대에서 육군항공작전...
    Date2011.05.16 By운영자 Views7377
    Read More
  16. No Image

    2011년 4월 15일 국방위원회 임시회의록

    제299회-국방소위제1차(2011년4월15일) 1 第299回國會 (臨時會) 國防委員會會議錄 ( 法律案審査小委員會) 第 1 號 (임 시 회 의 록 ) 國 會 事 務 處 日 時 2011年4月15日(金) 場 所 國防委員會小會議室 議事日程 1. ...
    Date2011.05.11 By운영자 Views4018
    Read More
  17. 1955년 보전포 협동공격 시범훈련

    보전포 협동공격 시범훈련이 1955년 5월 6일 광주 상무대 훈련장에서 펼쳐지고 있다. 보병 전투원과 전차 사이에서 휴대용 대전차 로켓 발사기인 바주카 포로 가상 적을 겨냥하고 있는 한 병사의 늠름한 모습에서 오...
    Date2011.05.10 By운영자 Views4078
    Read More
  18. 국군 최초 보유 전차 M36

    우리 육군은 6·25전쟁 개전 초 전차를 단 1대도 보유하지 못한 탓에 소련제 T-34 전차를 앞세우고 남침한 북한군을 상대로 고전을 면치 못했다. 우리 육군이 기갑전력 확보를 시급한 과제로 생각했음은 물론이다. 그 ...
    Date2011.04.28 By운영자 Views523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 17 Next
/ 17


CLOSE